• 제목/요약/키워드: Entrepreneurship Will

검색결과 397건 처리시간 0.022초

중국 대학생의 위험감수성과 성격5요인의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창업교육의 조절효과 (The Influence of Risk-Taking Propensity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n Entrepreneurship Intention of Chinese College student: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 문개풍;김문홍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4권1호
    • /
    • pp.93-112
    • /
    • 2023
  • Purpose - Due to the outbreak and spread of COVID-19, companies have reduced their hiring needs in the short term, reducing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most university students and putting pressure on their employment since 2019. This study aims to improve university students' employment options and increase the possibility of entrepreneurship. Design/methodology/approach - In this study, a research survey is conducted on 4-year Chinese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received entrepreneurship education courses, and statistical tests are conducted using SPSS 26.0 and PROCESS 3.3 model 1. The main focus of the study is on the effects of risk perception and five personality factor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and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the moderation of entrepreneurial intentions. Findings -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risk perception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will to start a business. Five personality factor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s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percep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support has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uence of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 that Chinese university students' exposure to entrepreneurship education support positively influenced entrepreneurial intentions. Such results imply that university students gain information and knowledge related to entrepreneurship through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support, which leads to positive perceptions and motivation towards entrepreneurship.

성격 5 요인 조절효과를 통한 창업가정신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Entrepreneurship on Career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 Through 5 Personality Factors)

  • 길명숙;류덕위;김명숙
    • 벤처창업연구
    • /
    • 제12권1호
    • /
    • pp.47-60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성격 5 요인 (외향성, 친화성, 성실성, 신경증, 지적 개방성) 조절효과를 통한 창업가정신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효율적인 창업가정신 교육과 진로교육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전에 있는 중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얻어진 연구 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창업가정신(혁신 진취성, 위험감수성)이 높을수록 중학생의 진로태도 및 진로탐색능력은 높아지나, 진로준비행동에 있어서는 창업가 정신의 하위요소 중 혁신 진취성만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준다. 둘째, 성격 5 요인은 창업가정신과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소인 진로태도에만 유의한 조절영향을 준다. 따라서 성격 5 요인에 따라 창업가정신을 함양할 수 있는 다양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개인의 성격특성 차이를 고려하여 지도한다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가 높아질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현재 중학생의 진로성숙도를 키우기 위한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자유학기제가 전면 실시되어 획일적인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학교가 많은데 성격 5 요인에 따라 창업가정신을 함양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면 진로상담 뿐만 아니라 자유학기제 프로그램이 질적으로나 양적으로나 수준이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Sustainable Entrepreneurship among Rural Women in Nigeria: An Assessment of Benefits

  • Dodo, Fardeen;Potluri, Rajasekhara Mouly;Gazara, Saratu
    • 산경연구논집
    • /
    • 제8권3호
    • /
    • pp.5-9
    • /
    • 2017
  • Purpose - While sustainability is based on the argument that the world's resources are finite and their demand will ultimately surpass supply, entrepreneurship on the other hand argues that there are inherent opportunities to address this through conserving, recycling, switching to more renewable resources and making effective use of available finite resourc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In response to the lack of scientific information on the outcomes of entrepreneurship in rural Nigeria, this paper surveys the benefits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of women engagement in waste plastic bags recycling in Adamawa State of Nigeria. A descriptive research design was adopted and data was collected from 26 respondents with the use of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which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presented in frequency tables. Results - Results indicated that 21 women have gained employment, who would have remained unemployed; 80.8% of who make profits below 10000 Naira per month and collectively, they recycle 179.3kg of waste polythene bag per month. Conclusions - It was recommended that the women should be further their education; adequate records of costs and sales should be kept; and savings should be encouraged among them.

편견과 환경요인이 창업 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실패두려움의 매개효과 (A Study on the Impact of Prejudice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Entrepreneurship Intention: Mediating Role of Fear of Failure)

  • 이지연;정찬구
    • 벤처창업연구
    • /
    • 제18권5호
    • /
    • pp.141-157
    • /
    • 2023
  • 창업은 경제발전의 원동력이자 국가경쟁력 향상에 중요한 역할임에 나라의 창업지원정책은 매년 늘어나고 있지만 이에 도전하지 않고 향후 창업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지표는 고용축소를 예측할 수 있고 실업이 더욱더 증가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아무것도 하지 않는 청년층의 증가는 경제적 고통과 미래의 소중한 인력의 방치로 국가적으로 보다 현실적인 창업정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잠재적 창업자의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고자, 편견과 환경적 요인에 대하여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창업에 관심이 있는 잠재적 창업가인 일반인을 대상으로 227부의 응답을 표본으로 SPSS.25를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행하였다. 그 결과 편견은 창업의지를 감소시키고, 실패두려움을 증가시켰다. 반면에 창업자의 환경요인은 실패두려움을 감소시키고, 창업의지는 증가시켰다. 마지막으로 실패두려움은 두 독립변수와 창업의지 간에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볼 때 편견은 창업의지에 부정적인 요소이고 환경은 긍정적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창업 활성화를 위하여 창업에 대한 창업가의 올바른 인식과 지지받을 수 있는 긍정적인 환경요인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PDF

Effects of CEO's Self-Determination on Start-up Entrepreneurship and Business Performance in Service and Distribution SMEs

  • SHIN, Hyang-Sook;BAE, Jee-Eun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11권4호
    • /
    • pp.31-44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EO's self-determination on entrepreneurship, business performance (operational and financial performance). Also, this research provide some strategic insights for improving business performance. In the proposed model, self-determination consists of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and entrepreneurship consists of innovation, initiative and risk sensitivity, and proactivenes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proposes a framework that entrepreneurship and operational performance will play mediating roles between self-determination and financial performance.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In this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SME CEOs for analysis, and a total of 122 samples were used. In the analysis process for hypothesis verification and evaluation, frequency analysis was first performed to identif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asses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model. In addition, a structural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CEO's self-determination, entrepreneurship, and business performance (operational and financial performance) using SmartPLS 3.0. Results: The findings and summary are as follows. First, the autonomy of self-determin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ship. Second, the competence of self-determination affects entrepreneurship and operational performance. Third, it affects the innovation, initiative and risk sensitivity of the CEO's entrepreneurship, and ultimately, its operational performance. The results show that the business performance of Start-up also increases when self-determination can be a factor in increasing entrepreneurship in three sub-dimensionalities. Conclusion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in order for SMEs to develop into a sustainable company by securing competitiveness after start-up, external motivation such as external help and support from the state (local government) is important, but competence and relationship, which are components of self-determination. The intrinsic motivation of the CEO may be more important. To this end, CEO's should prioritize learning for competency development, and the government should pay attention to providing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through establishment of education policies and education systems to enhance the competency of start-up CEO's.

금융이해력과 재무관리행동이 창업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기업가정신의 매개효과 (A Study on the Effects of Financial Literacy and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on Entrepreneurship Awareness: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ship)

  • 강경란;박철우
    • 벤처창업연구
    • /
    • 제18권5호
    • /
    • pp.175-183
    • /
    • 2023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금융이해력과 재무관리행동이 창업인식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가정신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부산경남지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07명의 응답을 표본으로 SPSS 2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금융이해력과 재무관리행동은 기업가정신과 창업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금융이해력과 창업인식, 재무관리행동과 창업인식간에 기업가정신은 긍정적인 매개효과를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금융이해력 향상은 바람직한 재무관리행동으로 이어져 재정적으로 책임감 있는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잠재력을 키워주며 미래에 기대하는 삶의 수준을 달성하기 위한 실천의지를 높여준다. 본 연구 결과는 잠재적 창업가인 대학생들이 혁신과 성장의 원천인 창업을 인식하고 이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대학교육 과정애서 금융이해력과 기업가정신 교육이 매우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PDF

국내 창업교육센터 운영현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ng Statu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Center in Korea)

  • 김용태
    • 벤처창업연구
    • /
    • 제11권1호
    • /
    • pp.65-74
    • /
    • 2016
  • 현 정부는 벤처 및 창업 활성화를 통한'창조경제'실현을 주요 정책과제로 발표하였으며. 이러한 창조경제의 구현을 통한 새로운 일자리 창출 및 창업정책 활성화를 위해서 창업교육은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교육과학기술부(현, 교육부)는 2012년부터 중장기적인 발전과제로 전국 61개 대학에 창업교육센터를 설치하여 창업문화 확산 및 창업교육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산학협력선도대학(LINC) 지원사업 초기 61개 대학에 설치된 창업교육센터 운영현황 및 실태조사를 통해 창업 관련 분야의 정책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해외 선진국의 창업교육센터 현황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창업교육센터 운영현황 및 실태조사에 대한 설문지를 개발하였으며, 국내 창업교육센터를 대상으로 한 조사를 통해 창업교육센터의 조직구성 및 운영 현황, 창업교육 강좌현황, 학생창업 지원 및 창업문화 확산 등에 대한 실태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사례분석을 통해 향후 국내 대학 창업교육센터의 효과적인 운영 및 창의적인 창업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참여동기와 창업멘토링이 창업교육만족도 및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학생 창업유망팀 300(U-300)'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n Experiential Entrepreneurship Education)

  • 김용태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2호
    • /
    • pp.267-277
    • /
    • 2020
  • 최근 대학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창업친화적 학사제도를 활성화하기 위해 정규 창업교과 및 비교과 활동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적용시켜 나가고 있다. 아울러 정부에서도'학생 창업유망팀 300(U-300)'과 같은 다양한 체험형 창업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전국 대학의 창업 동아리를 대상으로 창업멘토링 등 전문적인 창업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창업멘토링 등을 중심으로 한 체험형 창업프로그램 참가자를 대상으로 참여동기, 창업멘토링 기능, 멘토 역량이 창업교육만족도 및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창업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교육 참여동기와 멘토역량은 창업교육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참여동기와 멘토링 기능은 창업의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현재 양적으로 확대되어지고 있는 대학 내 창업교육을 보다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 체험적 교수방법의 확대와 창업멘토링 등 창업교육의 질적 효과 창출에 대한 다양한 제고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으며, 향후 창업멘토링을 수행하는 창업멘토의 전문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기업가정신과 진로인식간의 교육 프로그램 만족도의 매개효과 연구 - 창업영재캠프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A Study on Mediating Effect of Educational Program Satisfaction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Career Recognition - Focusing on the Founding Bizcool Startup Camp Program -)

  • 노현철;김경재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6권3호
    • /
    • pp.51-7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 중 하나인 창업영재캠프를 중심으로 청소년 기업가정신의 함양수준 및 효과성을 검증하고 기업가정신 수준이 진로인식의 변화에 어떤 영향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서 향후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활성화 및 진로교육을 위한 상호 연계 협력 방안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가설은 기업가정신이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 관계, 기업가정신과 진로인식 관계에서 프로그램 만족도의 매개효과, 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의 기업가정신 변화차이 등이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기업가정신의 구성요소인 혁신성, 위험감수성, 진취성, 자율성, 성취욕구 등의 모든 요소가 진로인식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기업가정신과 진로인식 관계에서 프로그램 만족도의 매개효과 분석결과 혁신성, 진취성, 자율성, 성취욕구 등이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위험감수성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가정신 교육 전과 후의 변화차이를 분석한 결과 기업가정신의 모든 구성요소들이 정(+)의 유의한 변화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고려할 때 현재의 기업가정신 교육의 방식과 내용에 있어 보다 학생의 참여와 체험중심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정부부처 내에 기업가정신 교육 협의체 등을 다양한 이해관계가자 참여하여 조정 운영할 필요가 있다. 셋째,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하여 소프트웨어 교육 및 기업가정신 교육, 진로교육이 종합적으로 연계 운영될 경우 보다 효과적인 교육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해외 대학의 창업교육 현황과 특징에 관한 연구 : 미국 5개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eature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Overseas Universities : Case of Five Universities in the United States)

  • 이우진;김용태;황보윤
    • 벤처창업연구
    • /
    • 제8권1호
    • /
    • pp.99-110
    • /
    • 2013
  • 본 연구는 미국 5개 대학의 창업교육센터(Entrepreneurship Center)방문을 통하여 센터가 운영하는 대학의 교과과정과 다양한 창업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국내 창업교육센터의 효과적인 운영 및 활성화를 위한 기본 틀을 제시하였다. 현장방문 대학은 선행분석 등을 통해 국내 창업교육센터 운영에 참고할 만한 아이오와 대학교, 미주리 대학교, 세인트루이스 대학교, 루이빌 대학교, 조지워싱턴 대학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상기 5개 대학의 창업교육센터를 직접 방문하여 센터의 운영 담당자와 교육 커리큘럼을 담당하는 교수와의 심도 있는 인터뷰를 통해 대학에서 학부수준의 창업교육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산학연 협동을 통한 창업교육효과를 기대하고 있는 61개 교육과학기술부 링크(LINC)사업 선정대학들이 대학 내 창업교육센터를 설치하고 운영하는 시점에서, 국내 대학 창업교육센터의 효과적 운영을 위해 도움이 될 만한 창업교육의 교과과정과 센터의 창업 프로그램 운영사례를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들이 문헌분석을 통한 해외 사례들을 종합하고 비교하여 시사점을 도출했다면, 본 연구는 지금까지 연구들과는 달리 문헌연구를 통해 선정된 대학의 창업교육센터를 직접 방문하여 주 운영자와의 인터뷰와 현지 자료 수집을 한 뒤 해외 창업교육의 현황을 재구성하였다는 데에 보다 풍부하고 정확한 정보와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