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trepreneurial Intention Questionnaire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5초

경력지향성과 노후준비도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네트워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Individual Career Orientation and Preparation of Old Age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Focused on the Effects of Moderating Role of Social Networks)

  • 김은경;김종근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6호
    • /
    • pp.27-36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잠재적 창업가의 개인 경력지향성, 노후준비도, 사회적 네트워크, 그리고 창업의지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고자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거주하는 잠재적 창업가들이며, 총 408명의 표본을 분석자료로 활용했다. 자료 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온라인 구글 설문방법과 오프라인인 면대면 설문 방법으로 수집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타당성분석, t-test, ANOVA,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지향성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창업의지에 대하여 혁신지향성과 사업지향성, 자율지향성은 정(+)의 영향을 미치고 안정지향성은 부(-)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노후준비도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창업의지에 대하여 경제적 준비와 정서적 준비가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사회적 네트워크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창업의지에 대하여 조력과 롤모델 모두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경력지향성과 창업의지와의 관계를 사회적 네트워크가 조절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안정지향성과 사회적 네트워크의 조절효과가 있었으며, 이를 제외한 나머지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섯째, 노후준비도와 창업의지와의 관계를 사회적 네트워크가 조절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The Impact of Entrepreneurial Education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 Empirical Study from Pakistan

  • SOHU, Jan Muhammad;JUNEJO, Ikramuddin;KHUWAJA, Faiz Muhammad;QURESHI, Naveed Akhtar;DAKHAN, Sarfraz Ahmed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3호
    • /
    • pp.95-103
    • /
    • 2022
  • This study aimed to find the mediating impact of entrepreneurial education during COVID-19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from major cities of Pakistan. Majority of businesses shifted to online from offline mode as a result of COVID-19 pandemic. This created a great opportunity for university students to become entrepreneurs without much investment during COVID-19. Primary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with the help of an adopted questionnaire from previous studies. An online survey was considered appropriate due to the COVID-19 situation in the country. The number of data samples collected from the major cities of Pakistan was 460. The research hypothesis was tested with the help of SmartPLS by using least squar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indings revealed there is full mediation of entrepreneurial education during COVID-19 between the self-efficacy, subjective norms, and attitude towards entrepreneurship for entrepreneurial intention during COVID-19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refore, the research confirmed the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Pakistan with regards to factors such as self-efficacy, subjective norms, attitude towards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present study also concludes that all students regardless of their area of study such as Business and Engineering look forward to become entrepreneurs during COVID-19. The students opting for entrepreneurship had either formal or informal entrepreneurial education during COVID-19.

전문대학생의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고용가능성과 기업가정신의 매개 및 실습경험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the Protean Career Attitude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Mediating Role Employability and Entrepreneurship & Moderating Role of Mentoring Experience)

  • 김정인;가혜영
    • 벤처창업연구
    • /
    • 제13권6호
    • /
    • pp.89-101
    • /
    • 2018
  •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의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고용가능성과 기업가정신을 매개로 하여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실습경험 유무에 따라 영향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분석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 전문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240여명을 대상으로 2018년 6월 1일부터 1개월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220부 가운데 결측치가 있거나 불성실한 응답지 6부를 제외하고 총 214부를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티언 경력태도는 고용가능성과 기업가정신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창업의도에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고용가능성과 기업가정신은 창업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셋째, 고용가능성과 기업가정신이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창업의도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역할을 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넷째, 취업전문기관인 전문대의 특성을 고려하여 실습경험 유무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고용가능성과 기업가정신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에는 차이가 없으나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고용가능성과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력에는 실습경험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직장인만을 대상으로 프로티언 경력태도를 다루었던 기존 연구와는 달리 청년층의 취업 및 창업 활성화 측면에서 대학생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창업의도 간의 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연구대상과 범위를 확장하였다.

전문대학생의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고용가능성과 기업가정신의 매개 및 실습경험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the Protean Career Attitude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Mediating role Employability and Entrepreneurship & Moderating role of Mentoring Experience)

  • 가혜영;김정인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01-213
    • /
    • 2018
  • 본 논문은 전문대학생의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고용가능성과 기업가정신을 매개로 하여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실습경험 유무에 따라 영향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 전문대학교에 재학중인 학생 240여명을 대상으로 2018년 6월 1일부터 1개월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220부 가운데 결측치가 있거나 불성실한 응답지 6부를 제외하고 총 214부를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티언 경력태도는 고용가능성과 기업가정신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창업의도에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고용가능성과 기업가정신은 창업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셋째, 고용가능성과 기업가정신이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창업의도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역할을 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넷째, 취업전문기관인 전문대의 특성을 고려하여 실습경험 유무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고용가능성과 기업가정신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에는 차이가 없으나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고용가능성과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력에는 실습경험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직장인만을 대상으로 프로티언 경력태도를 다루었던 기존 연구와는 달리 청년층의 취업 및 창업 활성화 측면에서 대학생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창업의도 간의 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연구대상과 범위를 확장하였다.

  • PDF

대학생의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창업동기 및 창업계획시기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Factors on College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s: Focused on the Motivation and Intended Startup Time)

  • 김종운
    • 벤처창업연구
    • /
    • 제9권1호
    • /
    • pp.79-87
    • /
    • 2014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영향을 분석하여 어떤 요인들이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이론적 연구모형을 구축하고 실증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개인의 특성과 경험, 그리고 창업에 대한 태도와 창업능력, 그리고 사회적평가 등 계획행동이론의 창업의지 3대요소 뿐만 아니라, 창업에 관심을 가지는 동기 및 창업을 하려는 시기 등을 창업의지설문(Entrepreneurial Intention Questionnaire)을 통하여 7점 척도의 리커트스케일로 조사하고 그 신뢰도를 확인하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계획행동이론의 3대 의지요인은 모두 창업의지에 매우 유의하게 영향을 주었고, 그 중 특히 창업에 대한 태도 변수와 기업가적 자질이 가장 큰 영향을 끼쳤다. 둘째, 대학생들이 창업에 관심을 가지는 동기에 따라 창업의지가 유의하게 다른 경우가 있었다. 독립성 추구나 수입 또는 자아실현 등 적극적 의지로 창업 관심을 가진 경우보다 가업승계 기타의 사유로 창업에 관심을 가지는 경우에는 창업의지 지표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셋째, 창업에 관심을 가지는 대학생들 중 창업실행의 시기를 재학 중이나 취직 직장생활 후로 설정하는 학생들보다 졸업 직후로 잡는 이들이 창업의지가 유의하게 높았다. 넷째, 부모의 창업 사업 경험이 자녀의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부모의 창업 사업 업종과 대학생인 자녀의 창업 관심업종의 통계적 유사성은 기각되어서, 서로 같다고 할 수 없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기존 연구와는 달리 부모의 창업경험 및 업종 등의 영향이 거의 없이 독립성 및 자아실현 등 적극적 창업동기를 가진 대학생들의 창업의지가 높으므로 대학생들의 잠재적인 창업능력과 의지를 발현할 수 있는 교육체계를 통해 창업의지의 선행요소를 개발 자극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 PDF

Factors Affecting Entrepreneurial Decision of Nascent Entrepreneurs Belonging Generation Y in Vietnam

  • NGUYEN, Xuan Truong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8호
    • /
    • pp.407-417
    • /
    • 2020
  • Entrepreneurship has become an important topic for governments to shape and influence the quantity and quality of entrepreneurship and improve policy toward the entrepreneurial econom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affecting the entrepreneurial decision of nascent entrepreneurs belonging to Generation Y in Vietnam. A mixed-method including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ologies was utilized. A focus group was carried out with 11 participants for exploring, reviewing, and testing content validity of constructs and measurement items. The conceptual model and hypotheses were developed using data collected by a questionnaire survey. The cross-sectional survey method was applied. A sample of 221 respondents was constituted, by both electronic and paper surveys with non-probability and convenience sampling techniques. SmartPLS 3 software was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The results show that nine factors were affecting the entrepreneurial decision of nascent entrepreneurs belonging to Generation Y in Vietnam, including entrepreneurial education, family background, entrepreneurial ecosystem,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social valuation, perceived opportunity, attitude,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findings show the importance of entrepreneurial education, social value, and ecosystems.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successful entrepreneurship,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have a strategy for the improvement of the entrepreneurship ecosystem.

베이비부머의 자기효능감, 사회적 자본, 경제적 준비도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aby Boomer's Self-Efficacy, Social Capital, and Economic Preparation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 이종열;허철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0호
    • /
    • pp.41-50
    • /
    • 2020
  • 베이비부머들의 대량 은퇴를 맞이하여 이들의 진로 전환이나 창업이 새로운 연구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은퇴를 시작한 베이비부머들이 인생 2막으로 시작하는 창업에 대해 연구를 한 것이다. 베이비부머들의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칠 요인들을 중심으로 연구 모형을 구성하였다. 연구 모형을 검정하기 위해 베이비부머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그중 유효한 204명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가설 검정은 AMOS 23 통계 패키지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으로 하였다. 가설 검정 결과 베이비부머의 창업과 관련한 자기효능감, 사회적 자본은 창업의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 관계가 있었다. 경제적 준비도는 창업의도에 유의한 부(-)의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자본이 베이비부머의 창업의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성취 경험이나 롤 모델 학습 경험 등이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변수였다. 이들의 관계를 검정한 결과 성취 경험, 롤 모델 학습 경험은 자기효능감에 정(+)의 유의한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술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Perceived Motivators and Barriers for Entrepreneurship: An Empirical Study of SMEs in Oman

  • GUPTA, S.L.;HODA, Najmul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5호
    • /
    • pp.863-872
    • /
    • 2021
  • The main goal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how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MEs) owners in Oman perceive the factors that drive or impede their growth and sustainability. Based on survey data of 395 SMEs in Oman,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check if all the items load as one factor in each of the constructs. The results show that all the items measuring motivators and barriers loaded significantly for the respective scales, with high reliability (Cronbach alpha for Motivators = 0.991 and Barriers = 0.995). Relationships between the demographic factors of entrepreneurs and firm characteristics were tested and it was found that all the four variables: age of the entrepreneur (p = 0.00), qualification of the entrepreneur (p = 0.00), SME sector (p = 0.00), and age of the firm (p = 0.00)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both the Motivators and the Barri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policymakers in Oman and other Middle Eastern countries. Since SMEs face similar problems and are given priority around the world, the findings could be applicable to other countries, as well. The findings also add important results to the empirical literature on SMEs.

중·고령자의 긍정심리자본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위험 감수성의 매개 및 자산상태의 조절 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mong middle-aged and elderly individuals: Mediation of Risk Sensitivity and Moderating Effects of Asset Status)

  • 최주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233-245
    • /
    • 2020
  • 본 연구는 최근 창업에 관심을 가지는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위험 감수성의 매개 및 자산상태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중·고령자의 긍정심리 자본이 창업 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지역 중·고령 직장인 250여명을 대상으로 2019년 12월 1일부터 31일까지 설문조사를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 통계량, 신뢰성, 요인분석을 통해 연구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구축 후 AMOS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연구가설 검증과 매개 효과와 조절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긍정심리 자본이 위험 감수성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자기효능감과 창업 의지, 복원력과 창업 의지 간의 경로는 0.042와 0.026으로 매개효과가 지지가 되며 창업 의지에 영향은 모형 간의 χ2 차이가 7.096으로 자산상태의 조절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으로 중·고령자의 창업에 필요한 긍정심리 자본과 창업자산 상태를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융복합적인 개발이 요구된다. 후속 연구로는 대상 지역을 확대하고 다른 창업요인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예비창업자의 진로불확실성과 진로교육이 기업가정신 및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자기결정성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Career Uncertainty and Career Education o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Potential Entrepreneur in Korea: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 박재춘;김성환
    • 벤처창업연구
    • /
    • 제12권1호
    • /
    • pp.73-85
    • /
    • 2017
  • 본 연구는 예비창업자(특성화고, 대학생)들의 기업가정신 및 창업의지를 함양하기 위해, 예비창업자들이 지각하는 진로불확실성과 진로교육이 기업가정신 및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동시에 진로불확실성과 창업의지(또는 기업가정신)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의 매개 효과를 규명하였다. 예비창업자인 특성화고 및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 381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Statistics 22를 이용한 실증분석 결과, 첫째, 예비창업자들이 지각하는 진로불확실성과 창업의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예비창업자들이 지각하는 진로불확실성은 기업가정신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진로교육은 창업의지에 유의미한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넷째, 진로교육은 기업가정신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다섯째, 진로불확실성은 자기결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여섯째, 자기결정성은 진로불확실성과 창업의지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자기결정성은 진로불확실성과 기업가정신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예비창업자의 창업의지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육현장에서 진로교육의 범위를 확대 및 강화하여 진로불확실성을 낮추고, 창업자의 자기결정성을 강화하여 내재적 동기부여를 높여야 하겠다. 이때 창업의지와 기업가정신의 고취는 예비창업가의 자기결정성을 높이는 노력과 동시에 진로교육에 창업교육을 포함시키는 제도적 노력 또한 병행되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