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terococcus faecali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32초

모유에서 분리한 Enterococcus faecalis의 다제내성 균에 대한 항용혈 및 항균 효과 (Anti-Hemolytic and Antimicrobial Effects against Multidrug-Resistant Bacteria of Enterococcus faecalis Isolated from Human Breast Milk)

  • 이은지;이정은;조소연;김수빈;유두나;국무창;김애정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519-527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국내 건강한 산모의 모유에서 분리한 E. faecalis BMSE-HMP 4주의 용혈여부와 다제내성 균에 대한 항용혈 효능 및 항균 효과를 확인하였다. 분리 균주의 효소 활성을 측정 결과, E. faecalis BMSE-HMP 4주는 지질에 대한 가수분해 효소인 esterase 및 esterase lipase에 대한 활성이 우수하였다. 용혈여부를 확인한 결과, 분리균 모두 용혈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용혈을 일으키는 다제내성 균주에 대한 항용혈 효능을 검토한 결과, S. aureus CCARM 3855에 대한 항용혈 효능은 BMSE-HMP002가 75.71 ± 10.00%로 가장 높았으며, E. coli DC 2 CCARM 0238과 P. aeruginosa CCARM 0223에 대한 항용혈 효능은 BMSE-HMP001이 각각 76.92 ± 2.99%와 87.93 ± 1.9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제내성균 Staphylococcus spp., Escherichia spp., Pseudomonas spp., Salmonella spp., Klebsiella spp. 및 Enterobacter spp.에 대한 항균활성을 검토한 결과, E. faecalis BMSE-HMP 4주는 그람 양성균주와 그람 음성균주에서 모두 항균력을 보였으며, 분리균 4주 중에서는 BMSE-HMP001과 BMSE-HMP002가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모유유래 유산균 E. faecalis BMSE-HMP 4주의 안전성과 다제내성 균에 의한 용혈 및 항균 효과를 검토하여 유용 유산균으로써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Enterococcus 균주는 항생제 내성 유전자 및 독성 유전자가 없는 경우에 한하여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고시된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 분리한 모유유래 유산균 E. faecalis BMSE-HMP 4주의 항생제 내성 및 독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안전성에 대한 입증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원유 시료에서 분리한 장알균속 세균의 다중약물 유출 펌프(Multidrug Efflux Pump) 유전자의 분포도와 항생제 내성 패턴 (Distribution of Multidrug Efflux Pump Genes in Enterococci spp. Isolated from Bovine Milk Samples and Their Antibiotic Resistance Patterns)

  • 강소원;이상진;최성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26-130
    • /
    • 2013
  • 원유시료에서 분리한 장알균속 세균 245균주의 항생제 내성에 관여하는 다중약물 유출 펌프 유전자 분포도와 항생제 내성 패턴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245 장알균속 균주의 ampicillin에 대한 내성률은 44.1%, erythromycin에 대한 내성률은 79.2%, tetracycline에 대한 내성률은 76.3%, chloramphenicol에 대한 내성률은 36.3%였으며 vancomycin과 ciprofloxacin에 대해서는 모두 감수성임을 알 수 있었다. 내성 관련 유전자 중 MFS타입의 eme(A)는 82.1%의 장알균에 분포하였으며, ABC 타입의 유전자인 efr(A)는 72.7%, efr(B)는 77.1%, lsa는 71.8%의 장알균에 분포하였다. 특히 이러한 유전자의 기원 세균인 Enterococcus faecalis의 경우 eme(A)는 92.5%, efr(A)는 87.4%, efr(B)는 88.4%, lsa는 88.4%의 분포도를 나타내었다. 한편 동일한 장알균속이지만 종이 다른 장알균에서 eme(A)는 E. faecium 4균주, E. avium 7균주, E. durans 4균주 및 E. raffinosus 2균주에 분포하고 있었다. efr(A)는 E. faecium 2균주와 E. durans 2균주에 분포하였으며, efr(B)는 E. faecium 4균주, E. avium 5균주 및 E. durans 4균주에 분포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원유시료에서 분리한 장알균속의 여러 종의 세균에서 동일한 다중약물 유출 펌프(multidrug efflux pump)의 분포에 대한 첫 번째 보고라 사료되며 E. faecalis 이외의 장알균속에서 이러한 유전자의 분포는 서로 다른 종간의 유전자의 수평적인 이동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근관세정제와 상호작용시 Hydroxyethylidene bisphosphonate (HEBP)의 조직용해능력, 항균효과에 대한 연구 (Interaction of Hydroxyethylidene bisphosphonate (HEBP) with other endodontic irrigants on tissue dissolving capacity and antimicrobial effect)

  • 김난아;김윤건;김미연;송병철;김선호;김정희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3권2호
    • /
    • pp.106-113
    • /
    • 2017
  • 목적: 근관 세정제로서 Hydroxyethylidene bisphosphonate (HEBP)가 다른 근관 세정제인 Sodium hypochlorite (NaOCl), Et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 상호 작용 시 조직용해 능력, 항균효과와 온도에 따른 조직 용해 능력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소의 근육으로 제작된 동일한 단면적($2{\times}2{\times}2mm$)을 가진 80개의 시편을 8개의 그룹(n = 10)으로 임의로 나누었다. 초기 무게 측정 후 각각의 제조된 근관 세정제에 넣어 5분, 10분, 15분 후 무게를 측정하여 무게변화율을 구하였다. 항균 효과 조사를 위해 Enterococcus faecalis를 접종한 agar diffusion test를 시행하였다. 결과: 조직 용해 능력은 NaOCl group (G4, 5)이 가장 뛰어났으며, NaOCl과 HEBP의 혼합물(G7, 8)이 다음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열된($40^{\circ}C$) NaOCl과 NaOCl/HEBP의 혼합물의 경우 실온($25^{\circ}C$)보다 우수한 조직용해 능력이 나타났다. 항균 효과의 경우 EDTA > EDTA + 1% NaOCl > $1%\;NaOCl{\geq}1%\;NaOCl$ + HEBP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HEBP는 NaOCl 의 항균 효과를 방해하지 않으며, 조직 용해 능력에도 기존의 킬레이팅 제재에 비해 적은 영향을 미친다. 가열된 NaOCl, NaOCl과 HEBP의 혼합재제는 실온과 비교 시에 효율적으로 조직을 용해할 수 있다.

OrthoMTA와 ProRoot MTA의 항미생물 효과 비교 (COMPARISON OF ANTIMICROBIAL EFFECTS OF ORTHOMTA AND PROROOT MTA)

  • 김수영;최남기;박지일;김선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66-372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ProRoot MTA (Dentsply Tulsa, USA)와 최근 국내에서 새로 개발된 OrthoMTA (Bio MTA, Korea)의 감염된 근관에서 주로 발견되는 3개의 미생물에 대한 효과를 다양한 농도와 시간에서 비교하는 것이다. 50, 25, 12.5 mg/mL의 농도로 준비된 ProRoot MTA와 OrthoMTA에 Enterococcus faecalis, Fusobacterium nucleatum 그리고 Staphylococcus epidermidis를 접종 후 24, 48, 72시간에 항미생물 효과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E. faecalis의 경우 ProRoot MTA와 OrthoMTA 50, 25, 12.5 mg/mL 농도의 모든 시간대에서 세균을 완전히 억제하지는 못했지만 양성 대조군에 비해 성장이 조금 감소한 양상을 보였다(p < 0.05). F. nucleatum의 경우 ProRoot MTA 50 mg/mL 농도의 24시간에서 미생물을 억제하였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세균의 성장을 보인 반면 OrthoMTA의 경우 같은 농도에서 시간이 지나도 계속 세균을 억제하였다(p < 0.05). S. epidermidis의 경우 ProRoot MTA 50 mg/mL, OrthoMTA 50, 25 mg/mL 농도의 24시간에서 억제 효과를 보였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세균이 조금씩 성장하였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모든 농도와 시간에서 양성 대조군에 비해서는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p < 0.05). 본 연구를 통해 국내에서 새로 개발된 OrthoMTA는 기존의 ProRoot MTA보다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베타-갈락토시데이즈를 이용하여 합성한 1, 2-Hexanediol Galactoside의 보습력과 항균력에 대한 연구 (Water-holding Capac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and of 1, 2-Hexanediol Galactoside Synthesized by β-Galactosidase)

  • 김이옥;정경환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73-379
    • /
    • 2017
  • 재조합 대장균의 ${\beta}-galactosidase$ (${\beta}-gal$)을 이용하여 transgalactosylation 반응으로 1, 2-hexanediol galactoside (HD-gal) 합성을 수행하였다. 먼저, 합성 반응을 수행할 때의, ${\beta}-gal$의 양, 1, 2-hexanediol(HD)의 양, 반응 pH, 반응 온도 등 반응조건을 최적화하였다. ${\beta}-Gal$은 4.8 U/mL, HD는 75 mM, pH는 7.0, 온도는 $37^{\circ}C$의 조건이 최적 합성 조건이었으며, 이때, 약 96%의 HD가 HD-gal로 conversion 되었다. 그리고, 돼지 epidermis를 이용하여 HD와 HD-gal의 water holding capacity (WHC)를 비교 측정하여 보았는데, 이때, epidermis 표면에 HD와 HD-gal을 84.4, 126.6, 168.8, 211.0 mM을 처리하였으며, 84.4, 126.6, 168.8 mM의 HD와 HD-gal을 처리하였을 경우 HD-gal이 HD보다 더 큰 WHC 값을 보여 주었고, 168.8 mM의 경우에는 HD-gal이 HD와 비교하여 최대 약 20% 정도의 더 큰 WHC 값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HD-gal의 MIC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값을 측정해 본 결과, Enterococcus faecalis의 경우에는 HD의 MIC와 같았으나,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aeruginosa, Staphylococcus aureus의 경우에는 약 3배에서 10배까지 HD-gal의 MIC 값이 HD에 비하여 증가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HD의 transgalactosylation 반응으로 인하여 합성된 HD-gal의 보습력은 HD에 비하여 증가되고, HD-gal의 항균력은 HD와 비교하여 감소하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먹는물 약수터 장구균의 검출 특성과 반코마이신 내성 현황 (Detection of Enterococci and their Vancomycin Resistance in Drinking Spring-Water)

  • 윤태호;이향;이승주;여인학;엄석원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10호
    • /
    • pp.979-985
    • /
    • 2010
  •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먹는물 약수터를 대상으로 분변오염 지표미생물인 장구균 검출 특성과 염기서열을 이용한 동정 및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 특성을 평가하였다. 먹는물 약수터의 장구균은 212건의 시료 중 42건(19.8%)에서 0~110 CFU/100 mL의 범위로 검출되었고 대장균의 검출빈도와 유사(t-검정, p-값 0.268, 유의수준 0.05)하여 지표미생물로서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16S rDNA 염기서열을 이용한 동정에서는 표본적으로 추출한 56개 검체에서 Enterococcus faecalis (24검체), E. faecium (10검체), E. casseliflavus (10검체), E. gallinarum (3검체), E. hirae (2검체), E. durans (2검체), E. sanguinicola(1검체) 순서로 나타났으며, 가장 높은 빈도로 검출되는 E. faecalis는 국내 병원환자의 임상검체에서 분리되는 우점종 분포와 유사하였다.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은 검체 시료 53검체 중 14(26.4%)검체에서 vanB 및 vanC1/C2 형이 각각 2와 12검체가 확인 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먹는물 약수터가 분변오염 등으로 인하여 장구균 검출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소독 등 외부오염물질 유입 차단 및 저감대책이 필요할 것을 시사하였다.

Lactobacillus brevis DK25의 박테리오신과 안식향산칼륨과의 혼용에 의한 Hurdle Technology 적용 가능성 (Application Potential of Hurdle Technology by Combination of Bacteriocin Produced by Lactobacillus brevis DK25 and Potassium Benzoate)

  • 임성미
    • 미생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64-374
    • /
    • 2011
  • 동치미에서 분리된 Lactobacillus brevis DK25 균주는 생화학적 특성, 당 분해능 및 16S rD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동정하였다. L. brevis DK25가 생산한 박테리오신의 항균활성은 Enterococcus faecalis와 Listeria monocytogenes에 대해서만 나타나 항균 스펙트럼은 비교적 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배양과정 동안 L. brevis DK25의 박테리오신은 정지기 초기에 최대의 활성(1,280 AU/ml)을 나타내었으나, 그 이후에는 급격하게 감소되었으므로 박테리오신은 생산균이 증식하는 과정 동안 생성됨을 알 수 있었다. 박테리오신의 활성은 protease 처리에 의해 완전히 소실되었으나 pH 4-9의 범위에서는 활성에 변함이 없었고, $100^{\circ}C$에서 30분간 가열처리에도 활성을 유지하였으므로 열에 비교적 안정하였다. 박테리오신의 L. monocytogenes KCTC 3569에 대한 항균활성은 농도의존적으로 나타났고 특히, $4^{\circ}C$$25^{\circ}C$에 저장하는 동안 마요네즈 내에 존재하는 L. monocytogenes KCTC 3569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해선 박테리오신과 안식향산칼륨 용액을 단독으로 처리하는 것보다는 이들을 혼합하여 처리했을 때 유의적으로 더 높은 항균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L. brevis DK25가 생산한 박테리오신은 안식향산칼륨과 함께 식품의 제조 공정 중 식중독균 제어를 위해서 hurdle technology에 적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Characterization of Vancomycin Resistant Enterococci and Drug Ligand Interaction between vanA of E. faecalis with the Bio-Compounds from Aegles marmelos

  • Jayavarsha V;Smiline Girija A.S;Shoba Gunasekaran;Vijayashree Priyadharsini J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47-256
    • /
    • 2023
  • Objectives: Enterococcus faecalis is a gram positive diplococci, highly versatile and a normal commensal of the gut microbiome. Resistance to vancomycin is a serious issue in various health-care setting exhibited by vancomycin resistant Enterococci (VRE) due to the alteration in the peptidoglycan synthesis pathway. This study is thus aimed to detect the VRE from the patients with root caries from the clinical isolates of E. faecalis and to evaluate the in-silico interactions between vanA and the Aegles marmelos bio-compounds. Methods: E. faecalis was phenotypically characterized from 20 root caries samples and the frequency of vanA and vanB genes was detect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Further crude methanolic extracts from the dried leaves of A. marmelos was assessed for its antimicrobial activity. This is followed by the selection of five A. marmelos bio-compounds for the computational approach towards the drug ligand interactions. Results: 12 strains (60%) of E. faecalis was identified from the root caries samples and vanA was detected from two strains (16%). Both the stains showed the presence of vanA and none of the strains possessed vanB. Crude extract of A. marmelos showed promising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the VRE strains. In-silico analysis of the A. marmelos biocompounds revealed Imperatonin as the best compound with high docking energy (-8.11) and hydrogen bonds with < 140 TPSA (Topological polar surface area) and zero violations.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records the VRE strains among the root caries with imperatorin from A. marmelos as a promising drug candidate. However the study requires further experimentation and validation.

전북지역 임상가검물에서 분리된 세균의 종류와 항생제 감수성 (Species of Bacteria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Isolated from Clinical Specimens in Jeon Buk Area)

  • 황구연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55-67
    • /
    • 1997
  • 최근 항생제의 남용과 오용으로 인한 약제 내성균의 증가로 사회적으로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약제 내성균의 종류와 결과는 임상에서 환자의 치료에 많은 도움이 되리라 판단된다. 1996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전북지역 종합병원 임상병리과에서 분리된 6,135균주에 관한 세균의 종류와 항생제 감수성 결과는 아래와 같다. 분리동정 된 균종은 Escherichia coli 1,134 균주 (18.4%) P. aeruginosa 856 균주 (13.9%)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us 793 균주 (12.89%) Staphylococcus aureus 555 균주 (9.02%) Pseudomonas cepacia 421 균주 (6.84%) Enterobacter cloacae 366 균주 (5.95%), Enterococcus faecalis (4.86%) Klebsiella pneumoniae 220 균주 (3.85%) 순으로 나타났으며 검체별로는 소변에서는 E. coli가 40.6% (800 균주)로, 농에서는 B. cepacia가 18% (199 균주), 객담에서는 P. aeruginosa가 43.7% (306 균주) 혈액에서는 Enterobacter cloacae가 25.8% (166 균주),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us (19.6%) P. aeruginosa 56 균주 (8.1%) 순으로 분리되었으며 그람음성 간균 중에서 항생제 감수성결과 P. aeruginosa는 ceftazidime imipenem을 제 외 하고는 나머지 항생제에서는 거의 내성을 나타냈으나, 같은 포도당 비 발효그람음성 간균인 B. cepacia는 aztreonam, ceftazidime, ciprofloxacin, piperacillin, trimethoprim/sulfa에서 약 90%이상의 감수성을 보여 대조를 이루었다. 그람양성균들은 vancomycin, teicoplanin에서 90% 이상의 감수성을 보였으며, 그외는 거의 내성이었다. Enterococcus faecalis는 penicillin-G, ampicillin, ciprofloxacin에서 85%이상이 감수성을 보였다. 검체별 항생제 감수성을 보면 Enterobacter cloacae는 다른 검체에서 보다 blood에서 분리된 검체가 항생제 감수성이 낮았고, P. aeruginosa는 urine에서 분리된 검체가 감수성이 낮게 나타나 검체별 균의 감수성의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 많이 사용되고 있는 항생제는 내성이 많이 발생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내성이 그리 나타나지 않던 균들이 내성이 점차 보이기 시작하여 이들 균들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며 세균감염의 진단, 치료시 항생제의 선택시 항생제 검사 후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리라 생각된다.

  • PDF

혈액배양에서 분리된 일부세균의 항균제 감수성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Several Bacterial Species Isolated from Human Blood Culture)

  • 이천수;김광혁;장명웅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711-722
    • /
    • 1998
  • 본 연구는 혈액에서 분리되는 세균의 항균제 감수성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3년 10월 1일부터 1996년 9월 30일 사이에 K대학 부속병원의 입원 및 외래환자 13,595명을 대상으로 혈액배양에서 분리된 1,104균주중 716균주를 세균의 균종별, 연령별, 계절별 분리빈도와 항균제 감수성 검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최근 3년간 균분리 양성은 1,104명으로 8.1%의 양성률을 보였다. 연구대상 716균주의 균종별 분리빈도는 E. coli가 29.8% (213주)로 분리율이 가장 높았다. 2. 대부분의 균종은 50세, 60세군 및 2세 이하군에서 분리율이 높았고, S. typhi는 30세군에서 분리율이 높았다. 3. 계절별 분리율은 대부분의 균종이 여름철에 분리율이 높았고, E. coli는 계절에 관계없이 분리되었다. 4. 항균제 감수성은 그람양성 구균의 경우 penicillin계 항균제인penicillin-G에 E. faecalis를 제외한 균에서 높은 내성률을 보였으며, vancomycin과 teicoplanin에는 감수성이 높았다. 그람음성 간균은 amikacin, ciprofloxacin, 및 imipenem에는 감수성이 높았고, ampicillin에는 내성을 보였다. S. typhi는 cephalothin을 제외한 모든 항균제에 100%의 감수성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균혈증 환자로부터 분리된 세균에는 penicillin계 항균제에 내성인 균주가 많으며 glycopeptide계 항균제와 amikacin, ciprofloxacin 및 imipenem에는 아직 내성이 낮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