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terobacter sp.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32초

Morphological Variation of Enterobacter sp. BL-2 in Acetate-mediated pH Environment for Excretive Production of Cationic Microbial Polyglucosamine Biopolymer

  • Son, Mi-Kyung;Hong, Soo-Jung;SaGong, Kuk-Hwa;Lee, Yong-H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1호
    • /
    • pp.104-106
    • /
    • 2008
  • Enterobacter sp. BL-2 excretively produced a unique cationic polyglucosamine biopolymer PGB-1 comprised of more than 95% D-glucosamine in an acetate-mediated culture condition. The excretion of the biopolymer PGB-1 wa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cellular morphology of Enterobacter sp. BL-2, a feature highly dependable on the pH of the medium. The initially formed uneven and irregular surface cells were aggregated into the cell-biopolymer network structure connected by the adhesion modules of the cell-bound biopolymer. The excretive production of the biopolymer PGB-1 coincided with the disruption of the cell-biopolymer network, most actively at the medium pH of 8.0.

오염된 인삼으로부터 분리된 Enterobacter sp.의 동정 및 인삼사포닌의 균 생육억제효과 (An Identification of Enterobacter sp. Isolated from Contaminated Ginseng and Inhibition Effect of Ginseng Saponin on Its Growth)

  • 곽이성;이종태;여운형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6-30
    • /
    • 2002
  • 오염된 인삼분말로부터 1 종의 세균을 순수분리하여 API kit 및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형태적, 생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분리균은 직경 0.6-1.0 $mu extrm{m}$, 길이는 1.2-3.0 $\mu\textrm{m}$ 이었고 세포표면에 편모를 가진 간균이었다. 분리균은 $\beta$-galactosdase, arginine dihydrolase, omithin decarboxylase를 가지고 있으며 탄소원으로 citrate를 이용할 수 있지만 H$_2$S는 생성하지 못하였다. 또한 glucose, manitol, sorbitol, rhamnose, sucrose, melibiose, arabinose 등의 당 및 amygdalin을 탄소원으로 이용할 수 있었다. 이상의 API kit를 이용한 생리적 특성분석 및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미세 형태적 특성 관찰결과에 의해 본 균주는 장내세균과(Enterobacteriaceae) 에 속하는 Enterobacter sp.로 동정되었다. 한편 분리균주 Enterobacter sp.의 생육에 미치는 인삼사포닌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사포닌은 농도의존적으로 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즉, 사포닌을 0.05, 0.5, 2.0, 4.0% 첨가하고 38$^{\circ}C$에서 3일 동안 배양한 후 사포닌 비첨가군과 비교한 결과 균의 상대적 성장률은 각각 75.0, 37.5, 7.5, 0.5%로 나타났다. 사포닌의 미생물 생육 억제작용은 비교적 고농도인 4.0%사포닌 첨가시에도 초기의 6.0$\times$$10^{6}$에서 2.0$\times$$10^{7}$ CFU/g 으로 완만한 증가경향을 나타내어 사멸작용보다는 정균작용일 것으로 추측된다.

느릅나무로부터 분리된 Enterobacter sp. SSYL[KCTC 0687P]이 생산하는 당화합물의 항암 면역활성 연구 (Immunostimulating Exopolysaccharide with Anticancer Activity from Enterobacter sp. SSYL[KCTC 0687BP] Screened from Ulmus parvifolia)

  • 양영렬;김영주
    • KSBB Journal
    • /
    • 제16권6호
    • /
    • pp.554-561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느릅나무 뿌리껍질에서 분리한 신규 균주인 Enterobacter sp. SSYL(KCTC 0687BP)을 사용하여 세포밖 당화합물(exopolysaccharide, EPS)을 생산하여, EPS의 면역활성에 의한 항암효과를 실험적으로 제시하였다. EPS는 총당함량이 43.0% 내지 70.8%였으며, 총산성당 함량은 7.1% 내지 11.4%, 총단백질 함량은 19.3% 내지 20.6%로, 분자량은 100,000에서 1,000,000 Da의 당단백질임을 알 수 있었다. EPS의 당구성성분을 보면 glucuronic acid (46.7%), fucose(10.8%), fructose (0.2%), glucose(29.9%), galactose(11.0%)이었고, 이외 미지의 성분이 1.3% 정도였다. EPS의 면역활성 검정에 따르면 EPS는 면역세포의 증식을 자극하는 mitogen역할을 하며, 특히 T 세포에 의한 면역증강효과를 나타내었다. B16 흑색종 이식마우스를 이용한 생체내 면역활성에 의한 항암효과를 관찰한 결과 유의성 있는 항암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천연물인 유근피 추출 단백다당체의 결과(3 mg/kg에서 약 140%의 생존연장효과를 보임)와 비교해 볼 때 1/10의 농도인 0.3mg/kg에서 약 138.1%의 비슷한 항암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Enterobacter sp.의 다당 생산에 미치는 통기·교반의 단계적 증가 효과 (Stepwise Increasing Effects of Agitation and Aeration on Exopolysaccharide Production by Enterobacter sp.)

  • 이신영;이주하
    • 산업기술연구
    • /
    • 제24권B호
    • /
    • pp.171-176
    • /
    • 2004
  • The effects of agitation and aeration for exopolysaccharide(EPS) production through batch cultivation of an Enterobacter sp. isolated from the composter were investigated. During the EPS fermentation under conditions of constant agitation speed from 200 to 900 rpm and constant aeration rate of 0.5-2.5 vvm, the low yields of EPS(4.8-5.2g/L) was observed as the viscosity increase of culture broth. With the stepwise increases in agitation speed and aeration rate, the EPS production and the viscosity of EPS were increased 1.3~1.4 times and 2.3~3.6 times higher than those of the fixed conditions, respectively. Therefore, these stepwise increases were considered as the key operating parameters for enhancing EPS production. The max. EPS(6.8g/L) and viscosity(14,000cp) were obtained when the agitation speed was increased from 300 to 900 rpm for 54hrs at 1.5 vvm.

  • PDF

Phytophthora capsici의 성장을 저해하는 Enterobacter sp. B54의 선발과 Tn5 lac을 이용한 돌연변이 유기 (Tn5 lac Mediated Mutagenesis of Enterobacter sp. B54 Antagonistic to Phytophthora capsici.)

  • 윤상홍;최청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393-399
    • /
    • 1998
  • 고추역병균(Phytophthora capsici)의 성장을 in vitro에서 저해하는 길항균 Bl4를 한국토양으로부터 분리 동정하여 Enterobacter속임을 밝혔고 Pl::Tn5 lac에 의해 transposon돌연변이를 유기하여 길항력 강화주와 약화주들의 염색체내에 Tn5 lac이 각기 상이한 위치에 무작위로 삽입되었음을 southern hybridization에 의해 확인하였다.

  • PDF

Novel Cationic Microbial Polyglucosamine Biopolymer from New Enterobacter sp. BL-2 and Its Bioflocculation Efficacy

  • SON MI-KYUNG;SHIN HYUN-DONG;HUH TAE-LIN;JANG JIN-HO;LEE YONG-H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3호
    • /
    • pp.626-632
    • /
    • 2005
  • A new bacterium BL-2 excreting a novel cationic polyglucosamine biopolymer was isolated from the spoiled leaves of Chinese cabbage and identified as Enterobacter sp. BL-2. The isolated Enterobacter sp. BL-2 was cultivated in pH-stat fed-batch culture using acetic acid as the feeding stock at pH 8.0, resulting in 17.11 g/l of cells and 1.53 g/l of an extracellular biopolymer after 72 h. The excreted biopolymer was purified by a three-step procedure, involving ethanol precipitation and deproteinizations, to a nearly homogeneous state, and its molecular weight was found to be 106 kDa. It was composed of glucosamine, rhamnose, and galactose at a molar ratio of 86.4:1.6:1.0, respectively, indicating a rarely found novel high-glucosamine-containing biopolymer. The FT-IR and $^{13}C-NMR$ spectra of the novel cationic polyglucosamine biopolymer PGB-l revealed a close identity with chitosan from crab shell. It can effectively flocculate various suspended solids, including kaolin clay, $Ca(OH)_2,\;Al_{2}O_3$, active carbon, microbial cells, and acidic dyes.

새로운 수소 생산 균주인 Enterobacter sp. SNU-1453의 pH에 따른 Metabolic Flux 변화 (pH-dependent Metabolic Flux Shift in Novel Hydrogen-Producing Bacterium Enterobacter sp. SNU-1453)

  • 신종환;윤종현;안은경;심상준;김미선;박태현
    • KSBB Journal
    • /
    • 제20권6호
    • /
    • pp.464-469
    • /
    • 2005
  • 가정쓰레기 매립지 토양에서 분리된 Enterobacter sp. SNU-1453은 Enteric bacteria에 속하는 종(species)으로서 혐기 발효 시 효과적으로 수소를 생산하였다. 이러한 fermentative bacteria는 여러 가지 외부 요인에 의해 다른 metabolism을 나타내어 수소생산량에 영향을 준다. 혐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배지의 pH가 급격히 감소하여 미생물 성장과 수소생산에 영향을 미치므로, pH에 따른 metabolism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수소생산을 극대화하기 위한 최적 pH 조건을 선정하여 제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소생산에 대한 pH의 효과 및 pH 제어에 따른 metabolic flux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이 분리 균주는 매우 넓은 영역의 pH(4-7.5)에서도 수소를 생산하였으며, pH 7에서 가장 높은 수소생산량을 나타내었다. pH 7로의 제어는 butanediol pathway로부터 수소 생산에 더 유리한 mixed acid fermentation pathway로 metabolic flux를 변화시킴을 알 수 있었다.

Production of Hydrogen and Volatile Fatty Acid by Enterobacter sp. T4384 Using Organic Waste Materials

  • Kim, Byung-Chun;Deshpande, Tushar R.;Chun, Jongsik;Yi, Sung Chul;Kim, Hyunook;Um, Youngsoon;Sang, Byoung-I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2호
    • /
    • pp.189-194
    • /
    • 2013
  • In a study of hydrogen-producing bacteria, strain T4384 was isolated from rice field samples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isolate was identified as Enterobacter sp. T4384 by phylogenetic analysis of 16S rRNA and rpoB gene sequences. Enterobacter sp. T4384 grew at a temperature range of $10-45^{\circ}C$ and at an initial pH range of 4.5-9.5. Strain T4384 produced hydrogen at 0-6% NaCl by using glucose, fructose, and mannose. In serum bottle cultures using a complete medium, Enterobacter sp. T4384 produced 1,098 ml/l $H_2$, 4.0 g/l ethanol, and 1.0 g/l acetic acid. In a pH-regulated jar fermenter culture with the biogas removed, 2,202 ml/l $H_2$, 6.2 g/l ethanol, and 1.0 g/l acetic acid were produced, and the lag-phase time was 4.8 h. Strain T4384 metabolized the hydrolysate of organic waste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and volatile fatty acid. The strain T4384 produced 947 ml/l $H_2$, 3.2 g/l ethanol, and 0.2 g/l acetic acid from 6% (w/v) food waste hydrolysate; 738 ml/l $H_2$, 4.2 g/l ethanol, and 0.8 g/l acetic acid from Miscanthus sinensis hydrolysate; and 805 ml/l $H_2$, 5.0 g/l ethanol, and 0.7 g/l acetic acid from Sorghum bicolor hydrolysate.

온도변화에 기인한 토양미생물 우점종의 변화에 관한 연구 (Dominant-species Variation of Soil Microbes by Temperate Change)

  • 박갑주;이병철;이재석;박찬선;조명환
    • 환경생물
    • /
    • 제29권1호
    • /
    • pp.52-60
    • /
    • 2011
  • 식물과 그 식물의 근권미생물과의 협력관계는 이미 오래전부터 관심을 받아왔고 지구 기후변화에 따라 식물과 그 근권미생물의 생태 및 지구환경에 대한 적응성은 막대한 지장을 받을 것으로 생각되어 왔다. 따라서 지구온난화에 따라 식물뿌리에 서식하는 근권미생물인 토양미 생물의 우점종이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해 규명하고자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우선 한국 식물생태계의 대표종인 소나무 (A), 잣나무 (B), 상수리나무 (C), 오리나무 (D) 를 선발하여 각각 실온인 $27^{\circ}C$$29^{\circ}C$(실온$+2^{\circ}C$), $31^{\circ}C$(실온$+4^{\circ}C$), $33^{\circ}C$(실온$+6^{\circ}C$)에서 1년 이상 성장시킨 후 이들의 뿌리토양을 무균적으로 채취하여 미생물 screening법과 colony counting을 통하여 각각의 군에서 우점종을 선별한 뒤 16S rRNA 분석에 의해 이들 각각의 우점종을 동정하였다. 그 결과 소나무 $27^{\circ}C$에서는 Bacillus cereus와 Enterobacter sp. CCBAU 15492, 소나무 $29^{\circ}C$에서는 Bacillus sp. 210_64와 Enterobacter sp. CCBAU 15492, 소나무 $31^{\circ}C$에서는 Bacillus sp. 210_64와 Enterobacter ludwigii, 소나무 $33^{\circ}C$에서는 Bacillus sp. 210_64와 Enterobacter sp. CCBAU 15492, Bacillus marisflavistrain DS6이 검출되었고, 잣나무 $27^{\circ}C$에서는 Bacillus cereus Q1, Pseudomonas sp. PR1-3, Arthrobacter woluwensisstrain CBU05/5295, 잣나무 $29^{\circ}C$에서는 Bacillus sp. G3, Pseudomonas sp. PR1-3, Bacillus sp. 210_24, 잣나무 $31^{\circ}C$에서는 Bacillus cereus Q1, Pseudomonas sp. PR1-3, 잣나무 $33^{\circ}C$에서는 Bacillus coagulans strain, Pseudomo-Dominant-species Change of Soil Microbes 59 nas sp. PR1-3, Chryseobacterium sp. COLI2, 상수리나무 $27^{\circ}C$에서는 Bacillus cereus strain B1, Pseudomonas putida strain W30, Arthrobacter woluwensis strain CBU05/5295, 상수리나무 $29^{\circ}C$에서는 Bacillus cereus strain CICC10185, Pseudomonas putida strain W30, 상수리나무 $31^{\circ}C$에서는 Bacillus cereus strain CG-T2, Pseudomonas sp. W15Feb9B, 상수리나무 $33^{\circ}C$에서는 Bacillus sp. CCBAU 51490, Arthrobacter woluwensis strain CBU05/5295, 오리나무 $27^{\circ}C$에서는 Bacillus sp. B18, Pseudomonas sp. PD 16, Enterobacter sp. CCBAU 15492, 오리나무 $29^{\circ}C$에서는 Rhodococcus erythropolis PR4, 오리나무 $31^{\circ}C$에서는 Enterobacter cloacae, Pseudomonas sp. PD 16, 오리나무 $33^{\circ}C$에서는 Bacillus subtilis strain SYH15, Pseudomonas sp. PD16을 우점종으로 동정하였다. 이 중 소나무는 $33^{\circ}C$에서 Bacillus marisflavi strain DS6가 $27{\sim}31^{\circ}C$에서는 발견되지 않다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출현한 새로운 우점종으로 나타났고 잣나무에서는 $27^{\circ}C$에서 Bacillus cereus Q1, $29^{\circ}C$에서는 Bacillus sp. G3, $31^{\circ}C$에서는 Bacillus cereus Q1 등의 Bacillus속이 주요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나 온도가 가장 많이 상승한 $33^{\circ}C$에서는 Chryseobacterium sp. COLI2으로 우점종이 변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은 차후 더 다양한 온도에서의 토양미생물 우점종 변화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이들 연구결과들이 연계되어 지구온난화와 미생물의 관계, 그리고 새롭게 출현한 토양미생물과 식물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도움이 되는 데이터가 도출 될 것으로 기대된다.

DGGE 방법과 Pyrosequencing 방법을 이용한 지렁이 장내미생물의 다양성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Bacterial Diversity in the Intestinal Tract of Earthworm (Eisenia fetida) using DGGE and Pyrosequencing)

  • 김은성;홍성욱;정건섭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74-381
    • /
    • 2011
  • 미생물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토양의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는 지렁이 Eisenia fetida의 장내미생물 군집을 조사하기 위하여, 배양방법과 비배양방법인 DGGE와 pyrosequencing을 이용하여 8주와 16주 사육 지렁이의 장내미생물 군집을 분석하였다. 배양방법에서는 L. fusiformis(51%), B. cereus(30%), E. aerogenes(21%), 그리고 L. sphaericus (15%) 등이 우점미생물로 확인되었다. DGGE 분석에서는 B. cereus(15.1%), Enterobacter sp.(13.6%), uncultured bacterium (13.1%), 그리고 B. stearothermophilus(7.8%)가 우점미생물로 확인되었다. Pyrosequencing 분석에서는 Microbacterium soli(26%), B. cereus(10%), M. esteraromaticum(6%), 그리고 Frigoribacterium sp.(6%)가 우점미생물로 확인되었다. 그외에도 Aeromonas sp., Pseudomonas sp., Borrelia sp., Cellulosimicrobium sp., Klebsiella sp., and Leifsonia sp. 등의 미생물도 확인이 되었으며, 비배양 방법을 이용한 장내 미생물 군집 조사는 배양이 불가능한 미생물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다양한 미생물 군집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