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glish Teaching

검색결과 857건 처리시간 0.023초

Chasing ideas in phonetics

  • Ladefoged, Peter
    • 음성과학
    • /
    • 제5권2호
    • /
    • pp.7-16
    • /
    • 1999
  • Starting as a poet, I learned about the sounds of words with David Abercrombie. Then, remembering my background in physics, I moved to studying acoustic phonetics and speech synthesis. From there I learned about psychology and how. to test perceptual theories. A meeting with a physiologist led to work on the use of the respiratory muscles in speech. Later I landed in Africa teaching English phonetics and learning about African languages. When I went to UCLA to set up a lab I was able to find bright students who helped make computer models of the vocal tract and taught me linguistic theory. And I was able to continue wandering around the world, describing the sounds of a wide range of languages.

  • PDF

Bilingualism and Bruneian Identity

  • Haji-Othman, Noor Azam
    • 수완나부미
    • /
    • 제8권2호
    • /
    • pp.161-176
    • /
    • 2016
  • This paper discusses how the concept of "bilingualism" can be used to reflect changes within Bruneian society since the 1940's. It argues that within the context of a linguistically diverse population, the various indigenous groups of Brunei used to speak their own traditional languages, but eventually learned to speak the language of the politically dominant Malays. The Malay language became a necessary additional language, hence leading to a population which could speak their own languages, alongside the Malay language. But the rise of schools teaching in English in the 1970's began to sow seeds of a different kind of bilingualism, encouraged by language shift processes among ethnic minority groups.

  • PDF

Psychosocial Risk Management in the Teaching Profession: A Systematic Review

  • Wischlitzki, Elisabeth;Amler, Nadja;Hiller, Julia;Drexler, Hans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1권4호
    • /
    • pp.385-396
    • /
    • 2020
  • Teachers are facing various job demands with psychosocial aspects being fundamental due to the nature of the occupation. Although teachers' work is associated with different psychosocial health risks, little is known on how to identify and tackle those. Thus, a systematic literature search as per the PRISMA statement was conducted via MEDLINE (PubMed), PSYNDEX (PubPsych), and ScienceDirect. Two reviewers independently screened 2261 titles and abstracts and 169 full-texts. According to the inclusion criteria established a priori, articles from peer-reviewed journals (English or German) on psychosocial risk management in teachers were incorporated. Despite a comprehensive and sensitive search, only four publications could be identified, outlining a process to implement risk management and different assessment tools. Taken together, data presented in the articles were scarce. Recommendations for process steps and the assessment of psychosocial risks can be derived from the findings. To implement effective psychosocial risk management in the teaching profession, further research is needed, though. Effective and practicable approaches, which are accepted by the target group, should be further developed and investigated. Relevant causes of occupational strain in the teaching profession must be identified and assessed reliably. Low-threshold interventions should be implemented, and the outcome must be evaluated afterward.

교사의 수업전문성에 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차이 (Differences of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on Teaching Skills)

  • 이옥화
    • 한국교육논총
    • /
    • 제43권1호
    • /
    • pp.125-15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수업전문성에 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교사의 교실수업을 이해하기 위하여 교사의 수업관찰과 학생 설문은 흔히 사용되는 방법이다. 그러나 학생과 교사의 인식이 다른 경우 수업교사는 결과 해석에 혼란스럽다. 본 연구에서는 수업의 대상인 학생들의 수업전문성에 관한 인식은 학생 배경에 따라 어떻게 나타나는지, 교사의 인식과 학생참여에의 예측력은 어떻게 다른지 비교해 보았다. ICALT의 수업관찰도구와 학생 설문지(MTQ)를 사용하였다. 이 두 도구는 교사의 수업전문성에 관한 6영역 및 학생참여 영역 등 총 7개 영역 구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결과를 비교할 수 있다. 2016년도 대전 충북 충남 지역 소재 중학교에서 수업관찰 전문교사가 106개의 수업을 관찰하였고, 이 수업에 참여한 2866명의 학생이 설문에 응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수업에 관한 인식은 대체로 높았으나 학생의 배경변인별로 다른 성향을 보였다. 학생들의 인식은 주요교과목을 배울 때, 또 학년이 낮을수록 수업전문성을 더 높게 인지하는 경향을 보였다. 남학생들은 수업기술의 난이도가 높은 영역에서 수업전문성을 더 높게 인식하였다. 학생의 학생참여에의 예측력은 수업기술의 난이도가 높은 영역에서 교사의 예측력보다 높았다. 향후 예비교사와 교사를 위해 학생설문자료를 어떻게 연수에 적용할 수 있는지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Using Multimedia to Improve Listening Comprehension in the EFL Classroom

  • Park, Seung-Won
    • 영어어문교육
    • /
    • 제8권2호
    • /
    • pp.105-115
    • /
    • 2003
  • The four skills of a language are basically required for a communication. They are very important for a learner to develop the balanced language acquisition. Today both listening and speaking skills are emphasized in the global era rather than reading and writing proficiencies. The reason is really why the learners' communicative competence is more needed than the accurate knowledge of a structure in the language. For this reason, the listening comprehension should be taught effectively using the following strategies. First, the sound difference of a language must be taught. Language is a complicated process to convey the comprehensive meaning combined with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of a language. In other words, the meaning for the sound of language should be transmitted by the unit of vocabulary and syntax. Second, a good listening comprehension requires the familiarity and much experience with a lot of English words to understand English sentences unconsciously. Third, as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language is effective for the listening comprehension, the better listening comprehension can be possible through the meaningful exercise. Fourth, the compound process of listening comprehension requires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language, but not the separate understanding of language. Fifth, the appropriate application of the multimedia courseware helps improve the listening comprehension better than that of the existing audio, video, tape recorder and so on. Using multimedia courseware is useful as follows: A learner is able to take as much lesson as he/she wants. It does take little time to repeat about what he/she takes a lesson. It gives the lively picture with the native speakers' voices. It gives him/her(a learner) a feedback effect continuously through the interaction of computer. It controls his/her lesson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a learner.

  • PDF

간호학과 학생과 일반학과 학생의 자기 조절학습 능력과 영어 성취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English learning achievement for students majoring in the science of nursing and other major)

  • 신명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3959-3966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학년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온다는 결과를 가져온 공과대학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 수준에 관한 선행연구의 타당성이 다른 대상자에게서도 타당한지를 검증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간호학과 학생과 일반학과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 능력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높은 학생이 영어 성취도도 높은지 알아보고자 2010년 3월 10일부터 2010년 6월 10일까지 교양 영어 과목을 수강하는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 능력은 어떤 수준인지, 계열 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비슷한 성적의 두 집단을 동일한 조건 하에 온라인과 오프라인 수업을 병행하면서 자기조절학습 능력을 고찰한 결과, 전공 계열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왔고 영어 성취도 역시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왔다. 뚜렷한 목표지향성과 학습에 대한 내재적 동기 유발이 잘 되어있는 학생의 경우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자기조절학습 능력의 훈련이 잘 되어있고 이는 결국 영어 성취도에도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온다는데 의의가 있다.

비지니스 이메일 영작문에 나타난 오류분석: 사례연구 (An Error Analysis on Business E-mails in English : A Case-Study)

  • 황선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273-279
    • /
    • 2018
  • 본 연구는 번역기를 활용한 영작문 수업에서 대학생들이 작성한 비즈니스 이메일 영작문에 나타난 오류를 분석하고 설명하려는 연구이다. 연구는 취업실무영어 수업을 수강한 대학생들이 3가지 과제에 대해 작성한 21개 이메일을 분석하여 이에 나타난 문법오류를 분석 정리하였다. 이메일에 나타난 문법오류를 살펴보면, 동사의 용법을 제대로 알지 못해서 발생한 언어 내 오류가 가장 빈번했으며, 완료 시제를 사용해야 하는 문장에서 과거동사를 사용하는 시제에 관한 오류와 명사 앞에 정관사를 사용하지 않은 정관사 오류와 전치사 잘못 사용한 오류와 같은 언어 간 오류도 있었다. 문맥과 관련된 오류를 보면 지칭하는 명사에 맞게 단 복수대명사를 제대로 사용하지 못한 오류라던가, 문장을 연결하다가 생략할 수 없는 주어를 생략한 오류는 의미전달에 문제가 될 수 있는 심각한 오류이다. 이러한 오류분석을 통하여 영어를 학습하고 있는 학습자가 특정한 문법사항을 학습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과 학생들의 영어능력 발달단계를 가늠해 주는 정보를 제공함으로 연구의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The Effects of Utilizing a Videoconferencing System for International Discussions on Global Issues at a Japanese High School

  • NAGATA, Shigefumi;HIRAKAWA, Yukiko;IWAMOTO, Mitsuhiko;MORI, Hajime;KOUHATA, Masahiro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7권2호
    • /
    • pp.45-68
    • /
    • 2006
  • Living in the Information Age, schools and teachers are expected to utilize new information technology in education to make teaching more effective. In Japan, the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MEXT) has been strongly implementing policies to promote information education (IE) in schools since 1988. According to a survey in 2005 (Japan MEXT, 2005), 100% of high schools in Japan at present have computers and the Internet connections. However, videoconferencing systems have only been introduced only in a small number of schools. This paper is the result of a pilot research to see the effects of using a videoconferencing system in a Japanese high school.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to clarify the effects of introducing videoconferencing system in a Japanese high school and of utilizing it for conferences with other schools abroad on the studies of global issues. The target students were in the 12th Grade in the year 2006. The counterpart school was an Australian high school in Sydney and the conferences were held in English. International discussions on global warming were conducted between the Japanese and Australian students. Affective competence and cognitive competence were measured using questionnaires and worksheets given to students both before and after the videoconferences.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cognitive and affective competences rose after each videoconference. Not only the students who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conference but also those who were in the audience showed positive effects.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on global issues, especially, the effects were large.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teach global issues in which international effort and cooperation are needed, direct contacts with foreign students are effective in increasing student cognitive and affective competences. On the other hand, as English was the main communication tool in the conferences, Japanese students faced a certain difficulty in communication. Also, teachers, especially English teachers, were required to make great efforts to assist students in preparing for the conferences. The effectiveness of an international videoconference depends largely on students' English skills and teachers' efforts.

멀티미디어 기기 활용과 유비쿼터스 영어 교육환경 (Multimedia Application and Ubiquitous English Education Environment)

  • 미쉘 미희 최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393-399
    • /
    • 2012
  • 학생들이 다른 언어를 배우고 익히도록 동기부여를 하기 위해 기발한 독창성과 새로운 기술을 필요로 할 것이다. 멀티미디어를 이용하면 수업과 과제를 모든 학생들에게 흥미롭게 해줄 것 이다. 그들에게 관심이 있는 스마트 폰의 사용과, 노트북과 무선 인터넷의 사용으로 학생들은 그들의 언어 기술을 실제로 어디에서나 공부할 수 있을 것 이다. 예를들어 팟캐스트, 인터넷망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Podcasts 도구 방법 등을 통해 ESL(English as a Second Language) 학습이 매우 용이하게 되었다. 즉 이러한 멀티미디어 tools를 이용한 외국어 듣기 연습 서비스 등 다양한 교수 학습방법 개발이 필요하다. 효율적인 영어 교육을 위한 도입된 이러한 여러 멀티미디어 기기의 사용은 여러 가지 독특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 영어 교육을 최대화하기 위해 멀티미디어의 특징과 그 활용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디지털교과서 및 영어 수업을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도구 활용, 인터넷 방송은 물론 원격화상 수업, 사이버 학습 등 1:1 영상 교육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학습 환경을 제시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최첨단 u-러닝 기기의 체험을 통해 미래 교육 변화를 조망하고 또한 다양한 수업기기와 변화된 수업시스템 모델을 통해 영어 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성별의 차이가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영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ender Difference on English Learning with Technology)

  • 김나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403-416
    • /
    • 2019
  • 본 연구는 성별의 차이가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영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으로, 2017년 국내 한 대학에서 영어 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204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위해 모든 참가자들은 일주일에 3시간씩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영어 수업에 참여하였다. 강의 요강, 강의 노트 등의 학습 자료는 모두 학교 웹 사이트에 업로드 되었으며, 과제, 퀴즈 및 시험 역시 모두 웹 사이트를 통해 진행되었다. 남녀 성별에 따라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영어 학습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업 전후 사전 사후 영어 말하기 시험을 실시하였고, 이후 인터뷰 역시 진행하였다. 양적 데이터 분석은 대응표본 t검정 및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이루어졌고, 질적 데이터 분석은 내용 분석을 토대로 하였다. 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영어 학습을 통해 남학생과 여학생의 영어 말하기 실력은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하였다. 하지만 남학생과 여학생 사이의 성별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나,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영어 학습이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에게 똑같이 효과적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인터뷰 결과,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영어 학습에 대한 반응 역시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에게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영어를 가르치고 있는 교사들에게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영어 학습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