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gineering majors

검색결과 243건 처리시간 0.025초

디지털시대에 플립드 러닝을 활용한 학습자 맞춤형 소프트웨어 교육 방안 연구 (A Study on Customized Software Education method using Flipped Learning in the Digital Age)

  • 김경미;김현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7호
    • /
    • pp.55-6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그래밍을 처음 접하는 학습자들의 어려움을 파악하여 비전공 대학생들을 위한 대학 교양기초 소프트웨어교육 운영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전공자들로 구성된 H 대학의 파이썬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수업시간 전 온라인으로 제출한 수강생들의 질문과 수업 후 설문조사를 통하여 체감난이도와 체감이해도를 분석하였다. 비전공자들을 위한 효율적인 수업을 위해 플립드 수업으로 진행하였으며, 오프라인 수업에서는 사전질문을 활용한 학습자 맞춤형 피드백 방식 강의로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프로그래밍 수업을 처음 접하는 학습자들을 위해서는 컴퓨터 언어의 기본개념을 배우기 전에 교육과정 초반에 문제 파악을 통한 논리적인 추상화 과정을 배정하고, 코딩 실습 전에 단원마다 그에 대한 이해를 돕는 상향식(bottom-up) 문제풀이를 통한 충분한 연습이 필요하다. 또한, 학습자의 전공계열 및 수업 내용과 학습자의 진행 단계를 반영한 정밀한 교육과정 설계가 선행되어야 한다.

대학교 일반화학과 고등학교 화학 I, 화학 II 교과의 연계성 및 일반화학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조사 (Relationship between the High School Chemistry I, II, and the General Chemistry, and College Students' Cognition about the Subject)

  • 문숙희;이상좌
    • 대한화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112-123
    • /
    • 2011
  • 화학은 단계별로 개념이 연계 발전되는 학문 체계를 가지므로 고등학교의 화학 I II의 교육 내용은 대학 일반화학과 연계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현재 고등학교 학생들은 심화 선택 최상위 과목인 화학II를 배우지 않고도 이공계 대학에 진학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학생들이 일반화학을 수강하면서 얼마나 어려움을 겪는지 알아보기 위해 일반화학과 고등학교 화학교재의 내용 연계성 및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했다. 연구 결과, 화학I에서는 일반화학 필수 개념의 약 27%밖에 소개하고 있지 않지만, 화학II에서는 약 62%의 내용이 일반화학과 연계되었다. 전남 M대학의 학생들 중 화학II를 배우지 않은 약 70%의 학생들은 일반화학을 배울 때 상대적으로 더 어려워했고, 학업성취도도 상대적으로 낮았을 뿐 아니라, 화학에 대해 흥미도도 낮게 조사되었다.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전공자들의 취업률 제고 방안 (An improvement for the employment rate of the S/W and H/W majors)

  • 이승우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3권3호
    • /
    • pp.525-53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S/W와 H/W 전공자들의 취업률 향상을 목적으로, 첫째, S/W와 H/W 전공자들이 선호하지 않는 전공분야에 취업 관심도를 높이고 학습자의 역량을 발전시켜 다양한 전공분야로 취업을 도모하기 위한 교육사례를 제시하였고, 둘째, 향후 S/W와 H/W 분야에서 학과차원의 특수성과 실정을 반영한 취업률 향상 추진 방안에 관하여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S/W와 H/W의 학과별 4학년 40명씩을 대상으로 비선호 전공분야에서 도구로서 활용하는 확률/통계 교육내용의 이해도를 설문조사를 통하여 파악하였고, 취업률 제고를 위하여 취업선호도 사전설문조사, 확률/통계를 연계한 전공수업, 취업선호도 사후설문조사 총 3단계를 거쳐 취업인식이 변화됨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 전공수업은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대학원생의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폭력 경험, 경제적 환경, 관계갈등, 건강행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Association between Self-efficacy, Stress, Violence Experiences, Economic state, Relationship Conflict, Health Behaviors and Depression in Graduate Student)

  • 김다혜;함옥경;서민희;박시현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89-103
    • /
    • 2021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among Korean graduate students. Specifically, personal (self-efficacy, stress), environmental (violence experience, economic state, and relationship conflict), and behavioral (health behavior) factors were analyzed. Methods: This study used a cross-sectional study design. One hundred and fifty participants currently enrolled in graduate programs were recruited. Google Drive was used for online data collection.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al analyse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First, 52% of the participants were male, with an average age of 28.05(±3.19). Master's students comprised the largest proportion (63.3%). Approximately about 38.7% were engineering majors. Second, approximately 27.3% had depressive symptoms; and 7.3% had major depression.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ersonal, environmental (financial burdens), and behavioral factors. Fourt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a lower depression level to be associated with a higher self-efficacy level and health behavior. In contrast, a higher depression level was related to violence experience. Conclusion: The government should press on establishing rules on the prevention and regulation of violence in universities, and impose strong disciplinary measures to root out the problem. In addition, universities must pay attention to the mental health of graduate students and establish systems to manage them.

지역대학 간 특화영역을 연계한 대학연합-융합전공 모형개발 (Model Development of Convergence Curriculum by Specialization Area Linkage between Local Universities)

  • 경종수;김종해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251-258
    • /
    • 2018
  • 최근 들어 대학들은 학사구조의 다변화를 추구하고 있으며, 다전공 과정(연계전공, 융합전공, 자율전공, 자기설계전공 등) 도입으로 전공 및 학과 간 상호연계를 기반으로 융합인재양성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는 충청권 4개 대학이 연합으로 추진한 '글로벌 창의융합전공'의 설계 운영과정의 단계별 주요요소를 도출하고, 주요특징을 바탕으로 운영모델과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융합전공 운영모델은 대학 간 특화영역 연계를 통한 교육체계(인재상, 교육목표, 역량요소, 교육과정)의 구성하고, 역량요소(창의역량, 융합역량, 문제해결역량, 글로벌역량)를 기반으로 교과 및 비교과프로그램의 연계를 설계하였다. 융합전공 운영모델은 과정 및 단계에 따라 주요활동을 체계화함으로써 운영되고 있으며, 프로젝트 기반의 성과중심 지원프로세스를 구축함으로써 국내외 대회 참가, 국제발명대회 참가, 글로벌 역량강화를 지원하여 창의융합 인재양성에 기여하고 있다.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한 만족도 사전조사에 따른 교육 역량 예측 분석 (An Analysis of Educational Capacity Prediction according to Pre-survey of Satisfaction using Random Forest)

  • 남기훈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487-492
    • /
    • 2022
  • 대학들은 급변하는 사회 환경에 적합한 교육역량 수준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을 찾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조사 항목을 수정, 보완한 만족도 사전조사를 개강 전에 실행하여 학업성취도를 높이고 전공 이탈자의 비율을 낮춰 교육 성과를 높이는 방안을 제안한다. 일반적인 만족도 조사 이후에 시행되는 교육품질 개선(CQI) 방식을 보완하고자 만족도 사전조사를 시행하였다. 학생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설계가 진행 중인 인공지능형 메디치 플랫폼에 적용할 수 있는 머신러닝 기법의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하여 중요한 데이터의 예측 및 분석을 가능하게 하였다. 만족도 사전조사 데이터들을 전처리하여 수강 신청 학생들의 정보를 설명 변수로 정의하고 분류하여 모델 생성 및 학습하였다. 실험 환경은 주피터 노트북 3.7.7, Python 3.7에서 관련 알고리즘과 사이킷런(sklearn) 라이브러리를 함께 사용하였다. 제안하는 방안의 결과를 수업에 반영하여 수업 후에 진행하는 교육 만족도 조사의 변화와 중도 탈락생 수의 동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과학교육과 연계한 위험사회 교육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Risk Society Education Program (RSEP) in Connection with Science Education)

  • 이은주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03-132
    • /
    • 2023
  • 이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위험의 인식론적 불확실성의 이해에 도움이 되고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위험사회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대학생의 과학 관련 수업에 적용하였으며 과학 글쓰기를 통해 위험사회에 관한 대학생의 이해정도와 생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대학생들의 과학 글쓰기를 정성 분석하여 정량화한 결과 대학생들의 이공계와 인문사회계열의 전공에 관계없이 참여한 모든 계열의 학생들에서 위험사회에 대한 이해 정도가 매우 높게 나타난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위험사회 교육프로그램과 과학글쓰기는 대학생들이 코로나19 위험의 인식론적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코로나19 거리두기로 인해 어렵고 힘들었던 마음을 극복하는 자세를 갖는 데에도 도움을 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과학교육에 있어서 과학기술의 예측범위를 넘어서고 있는 기후변화와 팬데믹의 위험 시대를 살고 있는 미래세대를 위한 위험사회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위한 프로그래밍 교육 -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 (Programming Education for Digital Transformation - What to Teach and How?)

  • 박수진
    • 기술혁신연구
    • /
    • 제31권2호
    • /
    • pp.237-262
    • /
    • 2023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기업의 경영 전략적 관점에서의 조직, 프로세스, 비즈니스 모델, 커뮤니케이션의 광범위하고 근본적 변화를 요구하고 있으나, 성공적인 트랜스포메이션의 핵심 선제요건 중 하나는 구성원의 IT(Information Technology) 역량이다. 공학적 배경 지식 없이 기술경영을 전공하는 학생들은 비교적 단기간에 경영관리 능력과 IT 역량을 동시에 키워야 하는 난제에 처해 있다. 이러한 이유로 효과적인 IT 역량 교육 방법은 기술경영학 분야의 교육 이슈 중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흐름을 주도할 수 있는 학생들을 양성하기 위한 IT 역량 교육은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한 하나의 사례로서, 서강대학교 기술경영 전문대학원의 IT 관련 커리큘럼 리노베이션의 과정과 현재까지 교육과정 실행 결과를 제시한다. 특히, IT 역량 교육의 출발점이자 진입장벽이 되는 기초 프로그래밍 교육 과정의 피드백 결과에 대한 충분한 논의를 통해, 기술경영대학원 학생들을 위한 효율적인 IT 교육의 운영 방향에 대한 선행 참조사례를 제공하는 데 본 논문의 목적이 있다.

기계공학과 현업적용도 평가에 관한 사례연구 (Case Study on the Evaluation of Transfer in Mechanical Engineering)

  • 박경선;박선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16권6호
    • /
    • pp.45-51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업적용도 평가를 실시하여 교육과정, 교육방법, 교육환경 등의 교육시스템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업적용도 개념과 이론을 탐색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노혜란, 박선희(2011)가 개발한 현업적용도 연구도구를 활용하여 30명의 기계공학과 졸업생을 대상으로 설문 및 반구조화된 문항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현업적용도 설문결과 대학에서 배운 전공교과목이 업무와 관련 정도가 평균 4.27로 나타나 매우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뿐만 아니라 현업에 적용하는 기회도 평균 4.10으로 나타나 현업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에 관한 설문결과는 현업에서 필요한 전공 및 교양과목이었다고 생각하느냐에 대한 문항에 평균 3.90의 결과가 나타났고, 현업적용을 높이는 실제적인 문제나, 사례, 경험 등이 활용되는 수업을 받았는지에 대한 문항에 평균 2.63으로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인터뷰 결과 대학의 교육과정은 전공의 경우 현업에 대부분 직접적으로 활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공동아리 활동, 팀프로젝트 등의 활동을 한 것이 현업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지속적으로 강화해야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공계 대학의 유학생을 위한 물리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hysics Education Program for Foreign Students of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College in Korea)

  • 김수철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1-16
    • /
    • 2019
  • 본 연구는 국내의 이공계 대학 유학생들의 전공기초 능력 향상 및 중도탈락 예방을 위한 물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한국의 이공계 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 유학생 5명으로, 자연과학대학 또는 공과대학에 소속되어 있다. 연구자는 물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앞서 5차시 분량의 대학 기초 물리 교재와 진단 및 총괄 평가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활용하여 총 7차시의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 적용 후 학습자의 진단 및 총괄 평가 결과, 교수자의 수업일지, 수업참관자 일지, 수업전사본 등을 활용하여 삼각검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질적인 분석을 돕기 위하여 수업일지와 수업관찰지의 분석에는 Nvivo12가 활용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공계 대학의 유학생을 위한 물리교육 프로그램의 순서와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고, 대학 기초 물리 교재와 진단 및 총괄 평가 도구를 개발하였다. 둘째, 프로그램의 사전-사후 평가 결과 분석 결과, 개발된 프로그램의 적용에 따라 유학생들의 대학 기초 물리 학업 성취가 평균 40점 향상되었다. 셋째, Nvivo12를 활용한 프로그램의 적용 결과, 의미 있는 노드 생성 및 사례가 추출되었다. 생성된 노드는 총 10종으로, 수업방법, 수업이해도, 수업참여도, 수준차이, 언어문제, 전공과의 관련성, 출신국의 교육과정 및 교육방법, 협력학습, 흥미유발 등이며, 이와 관련된 사례를 토대로 국내 이공계 대학의 유학생들을 위한 물리교육 방법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