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gineering graduates

검색결과 166건 처리시간 0.024초

Model전문대학 공업경영과 특성화 교육과정 연구 (A Comparison of Flow Efficiency between To/From Ratio Method and Minimal Backward-Flow -Research for the Characterized Curriculum of Industrial Engineering-)

  • 김영균;유정모;정종식;최동순;배상윤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20권44호
    • /
    • pp.377-391
    • /
    • 1997
  • We consider the characterized curriculum of industrial engineering for training the excellent technician. We classified many kinds of jobs in the industry and information society and compared them with the curriculums of 13 junior colleges sampled randomly. Also we inquired the degree of relation of the technique qualification for graduates from industrial engineering to the current major subjects. For fostering the cultured individuals the community demands, we amended and looked into the current liberal arts course to supplement it. We analyzed the opinions of students, professors and experts from various circles through questionnaires, and then we set up the direction and the priority order for developing the curriculum for training the technician. According to the analyzed results, we presented the curriculum centering around customers and demanders and introduced it in detail. We are going to utilize developed curriculum, teaching methods by computers and practice methods step by step, and make expansion to industrial engineering of other colleges. Then we are planning to apply to the reeducation for graduates and the social education that contains the industrial human resources and the ordinary persons.

  • PDF

Current Status of Electrical Engineering Education in China

  • Li M. H;Yan Z
    • 전기의세계
    • /
    • 제54권8호
    • /
    • pp.49-53
    • /
    • 2005
  • Briefly introduce the EE education nowadays in China. Instead of the narrow and deep educational plan of different specialties in the past, now emphasize more on the fundamental and basic courses given and the independent ability cultivated. Large amount of graduates with the BS, MS or PhD degree are welcomed local or abroad for the rapid development of advanced power industry in China.

  • PDF

지역혁신을 위한 특화교육트랙 교과과정의 개발 (Specified-Track Curriculum Development for Regional Innovation)

  • 홍철현;임오강;박원규;한명철
    • 공학교육연구
    • /
    • 제10권4호
    • /
    • pp.17-28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지역균형발전의 일환으로 실시된 지방대학 혁신역량 강화사업(New University for Regional Innovation, NURI) 중 부산권 기계부품산업 혁신인력 양성사업단(Busan Educational Alliance of Mechanical Engineering, BEAM)에서 시행중인 지역대학간 공동강의 시스템인 첨단기계부품 특화교육트랙을 통한 교육효과와 교과과정 개선의 질적 향상방안을 제시하였다. 트랙은 사업단 소속 4개 대학의 기계공학부(과)가 공동주관하며, 각 대학의 특화된 교육과정(첨단기계, 환경기계, 해양기계, 기반기계)을 중심으로 상호학점 인정을 통한 교과과정으로 편성되었다. 2005년 동계학기부터 현재까지 3차례의 계절학기를 통하여 실시되었으며, 2년간 총 486명의 학생이 각 트랙과목을 수강하였다. 그 결과 새로운 시대적 요구사항과 학습의 효율성을 동시에 수용하는 성과중심 및 수요자중심의 교육내용으로 국내 최초의 전공별 지역공동강의 제도를 정착시켰으며, 트랙 실시 이전인 2005년 대비 8.5%의 졸업생 취업률 향상과 기업체 임직원을 대상으로 실시된 설문조사에서 전년대비 9.4%의 수요자 만족도 향상의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지역대학간의 교류를 통한 인적 네트워크의 확대라는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IPA 기반 프로그램 교육목표 평가 및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and Analysis of Program Educational Objectives Based on IPA)

  • 김한종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14-19
    • /
    • 2013
  • 프로그램 교육목표는 졸업생이 졸업 후 2~3년 내에 달성하어야 할 능력과 자질로 정의를 하고 있다. 교육목표 평가는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전략적 사고 및 CQI 활용 요소 도출을 위해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기법을 적용하는데 IPA 기법은 X축과 Y축에 2개의 개념을 적용시켜 4개의 매트릭스를 만들어 현재의 위치를 확인하여 우선적인 개선분야를 파악하는데 유용한 분석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설정된 교육목표가 산업 현장에서 얼마나 중요하며 어느 정도 달성되었는지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도구로 간접평가 방법에 의한 설문문항을 개발하고 제시한다. 또한, 개발된 간접평가 방법을 활용하여 교육목표의 중요도 및 달성 정도를 IPA 기법을 적용하여 분석을 하였다.

  • PDF

Influence of a Co-op Program on Participants' Academic Performance, Employment and Job Performance: Focusing on the Case of KOREATECH

  • Om, Kiyong;Lee, Sang-Kon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01-108
    • /
    • 2020
  • KOREATECH has operated a Co-op program called '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IPP)' that allows students to work full-time in relevant industries for at least four months since 2012, and also developed a systematic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on the basis of Kirkpatrick's four-stage assessment model. This study aims to share KOREATECH's Levels 3 and 4 evaluation results which are clearly what practitioners and academic investigators of cooperative education want to know the most.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KOREATECH graduates and their superiors to examine influence of IPP experiences on employment and job performance. A total of 730 alumni who graduated within last 5 yea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with 213 (29.2%) having IPP experiences, and 162 superiors rated their subordinates on seven performance criteria. The analysis results were mixed. On the one hand, employment rate of IPP participants was 89.7%, compared to 86.8% of alumni without field experiences. Participants of the IPP program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salary and felt less unfair about their career and promotion opportunities than alumni without field experiences. On the other, superiors rated their subordinates without IPP experiences slightly more positively than IPP participants in terms of job performance. These contrasting results are judged to show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IPP program at the same time.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at the last part.

STEM 전공 대학생의 진로동기, 진로탐색행동에 대한 인식 차이와 영향요인 (Differences in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mong STEM Students and Their Affecting Factors)

  • 황순희;조성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27권1호
    • /
    • pp.13-31
    • /
    • 2024
  • In recent times, STEM graduates are confronting a decline in employment rates influenced by economic, social, cultural, and policy-related factors. Career decisions are closely linked to education, college experiences, and university settings. To comprehend the reasons behind the decline in STEM employment, it is essential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factors. This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examine differences in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mong 2,393 STEM undergraduates in Korea. Additionally, factors affecting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were investigated. The findings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ived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based on individual backgrounds and university characteristics. And analyzing the data, 37.8% of career motivation is explained by contextual supports, career barriers, individual backgrounds (grade, GPA), university characteristics (major fields, location), field to enter after graduation, and timing of job preparation. For career exploration behavior, 30.1% is explained by contextual supports, career barriers, individual backgrounds (gender, grade, GPA), university characteristics (major field, location), field to enter after graduation, and timing of job preparation. Practical implications underscore the need for tailored educational and policy support, considering individual backgrounds and university characteristics, to effectively address challenges faced by STEM graduates in the evolving employment landscape.

기계, 토목, 컴퓨터 전공 공대생의 취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설문조사 분석 -수원대학교 중심으로- (Survey Analysis for Strengthening the Employment Competitiveness of Mechanical, Civil, and Computer Science Engineering Students - The University of Suwon -)

  • 장윤상;이채영;조영임;전병욱;최재원;전병철
    • 공학교육연구
    • /
    • 제12권3호
    • /
    • pp.50-5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의 어려운 경제상황과 급격하게 변화하는 교육환경에서 공대생들의 취업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공학교육에 대한 만족도 및 개선방향에 대하여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설문 조사는 기계, 토목, 컴퓨터 전공 재학생, 졸업생, 기업체 등 취업과 관련된 모든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구직 활동을 하는 수도권 대학의 현황을 보여준다는 특징이 있다. 설문조사 결과 학생들은 전문지식과 기술의 교육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반면에 기업체에서는 기술의 응용력, 자료의 분석 능력, 인성과 성실성 등 학생의 기본 소양 육성을 중요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대 재학생, 졸업생 및 기업체의 공학교육 만족도와 인식을 통한 교과과정 등 교육 환경 개선으로 교육 내실화 실현이 취업경쟁력 및 학교 이미지 제고를 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전문대학생의 취업준비활동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n Employment of Employment Preparation Activities in College Graduates)

  • 최선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556-2563
    • /
    • 2015
  •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이 경험하는 취업준비활동의 취업 효과를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특히 학생이 개인차원에서 준비하는 자격증, 직업훈련 등과 함께 대학 차원에서 운영하는 진로선택 및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취업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1대졸자 직업이동경로조사 자료의 전문대졸자 3,249명을 대상으로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특성에서는 졸업학점이 높을수록, 출신대학이 비수도권일수록 취업 확률이 더 높았다. 전공계열은 준거집단 대비 의약, 교육, 공학, 사회, 자연 계열 순으로 취업 확률이 높았다. 취업준비활동에서는 국가 자격증 수가 많을수록, 면접기술 & 이력서작성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있는 경우, 졸업 전 후 구직활동 경험이 있는 경우가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직업훈련, 진로 취업관련 교과목, 직장체험 프로그램, 진로상담 프로그램, 취업캠프, 대학 재학 중 일자리 경험, 졸업 전 취업목표 유무 등은 취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