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ngineering accreditation

검색결과 231건 처리시간 0.141초

공학인증 관련 지방 사립 대학교 공학 교육 현황 조사와 분석 (Survey and Analysis of the Present State of Education in Regard to the Accreditation in Engineering Education)

  • 문상국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271-280
    • /
    • 2016
  • 최근 수년간 국내 공과대학에서는 21세기 지식 정보화, 세계화 시대에서 대외적인 경쟁력을 갖고 능동적으로 대처함으로써 지속적 국가발전의 주축이 될 고급 인력을 배출하기 위하여 공학교육의 수준을 국제적인 기준에 뒤지지 않도록 향상시켜야 하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이러한 상황을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지속적으로 공학교육 수준의 질을 국제적 기준에 맞추기 위해 계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이에 공학교육인증제(ABEEK)를 시행함에 있어 공학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 구체적인 공학교육과정을 정립하는 것과 관련하여 공학적 관점 뿐 아니라 학제적 관점을 접목시키는 이론적, 경험적 연구 활동들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목원대학교 공과대학의 예를 들어 공학인증을 대비한 지방 사립대학교 공학교육의 현황을 AS-IS 와 TO-BE 모델 기법을 적용하여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제안된 분석은 지방 사립대학교의 현황을 현실적으로 파악하도록 하고, 성공적인 공학인증을 받을 수 있는 자료가 된다.

공학계열 대학생들의 교과목 성적과 K-CESA 핵심역량의 관계 분석 (The Relationship between Course Grades and the K-CESA Core Competencies for Engineering Students)

  • 황지원;김학진;송오성
    • 공학교육연구
    • /
    • 제19권4호
    • /
    • pp.35-46
    • /
    • 2016
  • With the emphasis on core competencies, the University of Seoul has exerted efforts to reflect the importance of core competencies in university curricula. The main assessment tool used in Korea is the Korea Collegiate Essential Skills Assessment (K-CESA), developed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KRIVET). This study examined whether core competencies measured using K-CESA are valid as a tool for assessing educational achievements among college students, and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K-CESA scores and course grades. The analysis was performed on approximately 204 engineering students at the University of Seoul.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ore competencies and courses, MSC courses were shown to be related to the resource and through information use competency and higher order thinking competency. Through the Analysis of Variance, students in the accreditation programs and students living in urban area showed higher competency scores. In the multiple regression, it was shown that Accreditation and MSC courses grades were the important variables to predict the competency of the students. Based on these findings, we confirmed that the K-CESA tool has a certain level of correlation with academic performance and that it functions as one of several ways to evaluate the program outcomes of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방법 연구 (A Study on Assessment Method of Program Outcomes)

  • 김복기;박진영
    • 공학교육연구
    • /
    • 제11권4호
    • /
    • pp.46-57
    • /
    • 2008
  • 공학교육인증의 핵심은 "성과중심(outcomes based)" 교육을 바탕으로 지속적 자율 개선 구조를 통하여 졸업생의 능력 및 자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공학교육 인증기준 중 학습성과의 경우 교육평가, 교육목표, 교육과정과의 관계 속에서 올바르게 이해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방법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먼저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방법의 일반적인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기술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체계와 루브릭을 활용한 평가도구의 구체적 실행 방법을 논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수립된 평가도구를 통하여 대학현장에서 학습성과 평가가 실제적으로 운영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공학인증에 대비한 학부 GIS 교과과정 분석 (Analysis of the undergraduate GIS course for Accreditation)

  • 고준환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7권1호
    • /
    • pp.145-157
    • /
    • 2009
  • 급속하게 발전하는 GIS분야의 사회적 수요와 대학교육간의 괴리를 해소하고 관련 분야의 미래지향적 인재를 양성하고, 공학인증제의 도입에 따른 GIS분야의 대응방안이 필요한 시기이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서울시립대학교를 비롯한 국내외 학부과정의 GIS교과과정을 분석하였다. GIS분야의 공학인증 도입의 타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국내 공학인증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해외의 GIS관련 인증사례 분석을 통하여 바람직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해외 선진국에서 제시한 GIS분야의 핵심교과과정과 지식체계(Body of Knowledge)의 분석을 통하여 공간정보 표준교과과정(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정책적 대안으로 측량 및 GIS관련학회를 중심으로 한 산학협력 포럼이나 협의체의 구성과 논의가 필요하다.

  • PDF

공학계열 졸업생의 직무역량에 관한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about the Job Competency of Engineering graduates)

  • 강소연;최금진
    • 공학교육연구
    • /
    • 제19권2호
    • /
    • pp.102-111
    • /
    • 2016
  • This study was implemented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Job Competency level of accredited and non-accredited program's graduates. And we were seeking way to manage realistic and effective way of Accreditation of Engineering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survey and FGI were done. The study was: accredited program's graduates thought more positively than non-accredited program's graduates, and graduates felt that 11 Job Competencies Level of Work Performance were lower than the needs of job performanc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etween accredited and non-accredited program's graduates, we could see significant recognition difference about the perception of the needs of job performance. This was because Design curriculum were reinforced and accredited program's graduates had attended design program at accredited program. Second, accredited program's graduates felt higher than non-accredited program's graduates about the perception of level of work performance. This was because the efforts for curriculum reorganizing and teaching methods improvement were done. Third, we could not find significant recognition difference about the perception of the needs for job performance and work level. That was because accredited and non-accredited program were not dealed seperately.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fforts for analyzing job competence of industry and reflecting the program curriculum are needed on the accredited program for engineering education. Second, Government should make the incentive policy about the companies which give some merits to the accreditation graduates, and monitor constantly their real working. Third, in order that the accreditation results can be trustful on staff recruiting or school choosing, accreditation should make outcome-based-evaluation which guarantees competence of graduates.

공업화주택 인정제도 개선 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Directions for the Industrial Housing Accreditation System in Korea)

  • 황은경;이종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71-177
    • /
    • 2021
  • 최근 우리나라 건설업계는 건설기술 인력 부족, 건설노동인력 고령화, 주 52시간 근무 등 다양한 건설환경 대응 방안으로 공업화공법 활성화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공업화주택 인정제도는 공업화주택의 품질인정과 품질 향상 유도를 위하여 1992년에 도입되었으나 현재 6개 업체만 인정을 받았고, 인정 받은 공업화주택이 건설된 실적도 전무한 상황이다. 현재 우리나라 공업화주택 인정제도는 크게 인정 및 인정 취소기준, 공업화주택 건설촉진 기준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업화주택인정제도의 관련 규정을 심층분석하여, 각 규정에 따른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공업화주택 인정제도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방향을 도출하였다. 구체적인 공업화인정제도 방안으로는 현행 공업화 주택 인정 범위를 준주택까지 확대하는 방안, 공업화 주택의 성능 및 생산기준 개정, 공업화주택 활성화 지원을 위한 건축기준 완화 및 금융지원 등을 제안하였다. 향후 공업화주택 인정제도와 별도로 국내 공업화 건축시장이 활성화되지 못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인 경제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업화공법의 사회·경제·환경·기술적 파급효과에 대한 체계적 분석과 가시화를 통해 건설시장 패러다임을 전환을 적극적으로 유도할 필요가 있다.

미국과 한국의 공학교육인증 체제 비교에 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America in Accreditation System of Engineering Education)

  • 한지영
    • 공학교육연구
    • /
    • 제11권1호
    • /
    • pp.24-3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EC2000 시스템하에서 2007년도에 공학교육 인증평가를 받은 한국의 A대학과 미국의 M 대학의 공학교육인증 체제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해당 프로그램의 자체평가보고서 분석 및 홈페이지 검색을 실시하였다.한국과 미국의 공학교육인증 기준은 거의 대동소이하나 한국의 인증기준이 행정적인 지원 체제나 각 평가기준별 자율순환체제를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인증평가별 체제를 살펴보았을 때 미국의 장점을 꼽아보면 체계적인 교육과정 운영과 설계교육, 교과목 중심의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 체제, 교수들의 연구 및 학생지도에의 지원 체제이다. 한국의 장점은 다원적인 지원 체제를 기반으로 하고 평가에서의 정량적인 지표 활용이 많기 때문에 이를 교육개선에 활용하기 쉬운 면이 있고, 학생포트폴리오의 활용을 통한 체계적인 학생 지도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공학교육인증의 단일인증프로그램 운영실태 및 효과분석 (Analysis of Operational Status and Effectiveness of Single-Track Accredited Program in ABEEK)

  • 한지영
    • 공학교육연구
    • /
    • 제23권4호
    • /
    • pp.66-75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research to analyze the operational status and effectiveness of the single-track accredited program, which has been mandatory since 2016. The research target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were the nationwide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system operating colleges, departments, and engineering education innovation centers. Finally, 183 copies were collected from faculty members at 69 colleges and 554 copies at the department level.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college recognized more positively about the operation of the single-track accredited program, and more than 50% of respondents said that there were difficulties due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The contents required were analyzed and presented. Based on this, the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system, including the single-track accredited program, suggested the direction of support at the government level and the ABEEK level to better settle down in the field of engineering colleges.

SE 프로세스 기반 국방 M&S체계 개발 절차 연구 (A Study on SE Process based Defense M&S System Development Procedures)

  • 이동준;고성현;이상복;노광현;윤주일
    • 시스템엔지니어링학술지
    • /
    • 제19권1호
    • /
    • pp.44-55
    • /
    • 2023
  • The defense M&S system, which has been classified as a weapon system between requirements determination and project implementation, is being developed by applying the weapon system development procedure of the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dministration. The M&S system abstracts and models the real world to suit the intended use and proceeds with the process of developing it as a software-oriented system. Overseas, the conceptual model development stage is staged before entering the design stage after the requirements analysis. In addition, each step includes verification and validation processes. In Korea, while establishing and applying the weapon system development procedure based on the SE process, the M&S system is also applied in the same way as the general weapon system, limiting appropriate development outputs and verification and validation. In this study, the system development procedure of the M&S system is established and presented based on the relevant standards and SE process of developed countries.

성찰저널을 활용한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체계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ogram Outcomes Assessment System using Reflection Journal)

  • 이영태;임철일
    • 공학교육연구
    • /
    • 제16권3호
    • /
    • pp.42-50
    • /
    • 2013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gram outcomes assessment tool using reflection journal. Reflection journal has recently come to gain more attention from school as an alternative assessment tool. Although numerous studies reconfirmed the educational importance and value of reflection journal as an assessment tool, research on the assessment tool of the engineering accreditation, based on education view is scarce. After literature reviews about the case studies on the program outcomes assessment, this study, to analyse the current assessment tools, and then, examine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reflection journal as a program outcomes assessment tool. This study suggested the assessment tool using reflection journal for PO6 (teamwork) and PO11 (engineering ethics), one of the most important assessment items in engineering accreditation. In this study, we used the performance criteria, assessment criteria, rubric, and closed the loop to measure the teamwork and engineering ethic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erms of guiding the future evaluation system development for program outco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