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gineering Ethics Education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46초

정보통신윤리교육을 위한 웹 기반 자기주도적 학습 콘텐츠 개발 (The Development of Web-based Self-directed Learning Contents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 김은주;배용근;정일용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813-816
    • /
    • 2006
  • 정보화 역기능 현상에 대한 근본적인 대처 방안은 사용자의 정보 윤리적 관점에서 다각적으로 침해 사고에 대해 예측하고 평가하여 정보화 사회가 인간 중심의 바람직한 사회가 될 수 있도록 건전한 윤리 의식을 확립하는 것이다. 하지만, 현재의 정보통신윤리교육은 교육 목표와 내용에 있어서 균형성을 상실하여, 역기능 측면에만 치우치고, 학습자인 학생에게 자율적으로 선택하여 행동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기보다는 일방적으로 설정된 내용을 전수하는 학습 형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보통신윤리교육에 대한 자기주도적 학습 방법을 웹 기반에서 적용될 수 있는 학습 콘텐츠 모형을 구현한다. 이를 위해 웹 콘텐츠를 이용하여 학습자 스스로가 개별 학습을 수행할 수 있고, 학습내용에 대한 보충 심화 반복 등의 자기주도적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 PDF

인공지능 리터러시 신장을 위한 인공지능 사고 기반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n AI Thinking-based Education Program for Enhancing AI Literacy)

  • 이주영;원용호;신윤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26권3호
    • /
    • pp.12-19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Artificial Intelligence thinking-based education program for improving AI literacy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for beginner. This program consists of 17 sessions,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ABCDE" model and is a project-based program. This program was conducted on 51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and 36 respondents excluding missing values were analyzed in R language. The effect of this program on ethics, understanding, social competency, execution plan, data literacy, and problem solving of AI literacy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has very large practical significanc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his program provided learners experiencing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for the first time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concepts and principles, collection and analysis of information, and problem-solving processes through application in real life, and served as an opportunity to enhance AI literacy. In addition, education program to enhance AI literacy should be designed based on AI thinking.

인터넷 윤리 교육의 방법론으로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Media Literacy as a internet Ethics Education Methodology)

  • 최준영;이명숙;손유익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563-1566
    • /
    • 2011
  • 현재의 인터넷은 엄청난 속도와 흡수성을 가진 채로 우리들의 생활에 스며들어 왔다. 인터넷은 효율성과 생산성, 오락성의 편익을 제공하는 반면, 익명성과 비대면성이라는 매체의 특성으로 인해 이를 악용한 인터넷 윤리의식이 심각한 사회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인터넷으로 인한 부작용을 예방하고 보다 인간중심의 인터넷 문화를 만들기 위한 인터넷 윤리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인터넷 윤리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한방법으로 미디어 리터러시를 제안한다. 기존에는 인터넷의 역기능들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차단을 시키거나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부정적 방법을 이용하였으나, 미디어 리터러시를 적용함으로써 인터넷을 올바로 이해하고 느끼게 하여 긍정적인 사고를 가지게 하여 근원적인 예방을 함으로써 인터넷 윤리의식을 고취시키고자 하였다.

공학인증 프로그램의 성과에 대한 조사연구 (A Survey Study on the Performance of Accreditation Program for Engineering Education)

  • 성지미;강승찬;민동균
    • 공학교육연구
    • /
    • 제12권4호
    • /
    • pp.102-114
    • /
    • 2009
  • 본 논문은 공학인증 프로그램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인증졸업생, 산업체, 대학관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전체적으로 공학인증 교과목, 졸업생의 조직 내 활동 및 업무수행능력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음을 결과로 제시하였다. 인증졸업생의 월평균 임금수준은 4년제 대졸자 또는 공학전공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인증졸업생이 노동시장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대기업에 근무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일 것이다. 전문교양, 투철한 직업의식과 윤리의식, 조직문화 적응에 대한 프로그램 지원이 상대적으로 더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며 인증졸업생에 대한 취업우대제도와 기사자격 취득 시 필기시험 면제 제도의 도입에 대해 산업체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엔지니어의 가치관에 대한 실태 조사 (A Survey on the Engineer's Sense of Value)

  • 노태천;이소이
    • 공학교육연구
    • /
    • 제12권3호
    • /
    • pp.21-30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엔지니어의 가치관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엔지니어와 관련이 있는 총 6개 단체의 윤리강령을 대상으로 '엔지니어 윤리 또는 가치의 4가지 레벨'(찰야 순(札野 順), 2002)에 의거하여 윤리강령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엔지니어를 양성하고 있는 공과대학의 교수들과 엔지니어로서 활동하고 있는 현장 엔지니어 그리고 한국기술사회(韓國技術士會)의 회원 총 57명을 대상으로 엔지니어의 가치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윤리강령에서는 엔지니어 개인의 품위 유지 및 발전, 사회 복지 및 봉사를 가장 중요한 가치로 표명하고 있었으며, 두번째로 직무의 성실 정직성, 세 번째로 협동 신의 및 상호존중, 기술의 개발과 축적, 네 번째로 전문직으로서의 사명, 법칙, 규칙 및 규정 준수, 인류번영 및 세계평화공헌, 마지막으로 기술 활용의 독립성으로 나타났다. 자문위원의 설문조사 결과, 현재 엔지니어가 전문분야와 관련된 의사를 결정할 때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가치는 1위가 실용성 및 경제성, 2위가 안전성 및 품질확보, 3위가 고객의 요구사항 만족, 4위가 인류 사회 대중의 이익, 5위가 경제적 대우(연봉)로 나타났다. 미래 엔지니어가 전문분야와 관련된 의사를 결정할 때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가치는 1위가 실용성 경제성 및 합리성, 2위는 안정성 및 품질확보, 3위는 인류 사회 대중의 이익, 4위는 진실성 및 정직성, 5위는 객관성 및 공정성으로 나타났다. 자문위원의 직업에 따른 엔지니어 가치관으로는 대학에서 종사하는 자문위원의 경우 실용성 경제성 및 합리성을, 기업에서 종사하는 자문위원의 경우 안전성 및 품질확보를 가장 중요하게 여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과대학 학생을 위한 과학기술관련 사회·윤리 쟁점기반 수업이 인성과 가치관에 미치는 효과 탐색 (Effects of an SSI-based Program for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on Character and Values)

  • 이현옥
    • 공학교육연구
    • /
    • 제23권3호
    • /
    • pp.3-12
    • /
    • 2020
  •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an SSI-based program focused on character and values for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fifty-four students enrolled in the program. Data sources include the students' responses to the Likert-type questionnaire on character and values as well as qualitative data such as classroom dialogues, assignment essays and field note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gram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enhancement of the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character and values, especially in the sub-components, sustainable development, perspective-taking, and willingness to act. In addition, the qualitative data reveals the nuances of the students' responses in the classroom dialogue and essays related to the sub-components. Based on the results, the author compares the participants' responses to other students in previous research which reported the effects of an SSI-based program on character and values. Compared to the other students, the engineering students in this study cultivated willingness to act through the SSI-based program, without improvement in most of the emotional aspects of character and values.

고등학교 정보통신윤리 지도방안 연구 (A Study on Teaching Methods for an Education of Information Ethics in High Schools)

  • 강정희;최동민;조영주;정일용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362-364
    • /
    • 2012
  • 정보통신에 관련된 영역들은 매우 빠른 속도로 발전해 오고 있다. 하지만 이에 비해 정보에 관련한 의식과 윤리는 그 속도와 발전을 따라가지 못하는 지체 현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성장기의 청소년들이 인터넷 중독증상을 보이며 각종 음란물이나 폭력 게임, 욕설과 바이러스에 무차별적으로 노출되어 있으며, 혼자만의 밀폐된 공간의 사이버 중독 환자들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교에서 발생하는 사이버 중독문제와 이에 연관된 정보통신윤리교육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광주지역 고등학생들의 정보통신 윤리 교육의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바람직한 지도 방법을 연구해 보고자 한다.

  • PDF

스마트폰을 활용한 인터넷윤리 교육 방법 (An Internet Ethics Training Method by exploiting Smartphone)

  • 김인환;배지혜;이현;박정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359-1361
    • /
    • 2012
  • 현실세계의 기본이 되는 사회규범 및 윤리교육이 있듯이 인터넷 기반의 사이버 세계에서도 윤리교육을 필요로 하는데, 이에 대한 교육 및 대처가 많이 부족하다. 특히, 국내외의 경우, 반복적인 학습이나 다양한 매체를 통해 일괄적으로 제시하는 방법을 통해 인터넷윤리교육을 진행하고 있으나, 체계적인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기반의 스토리텔링 기법을 통한 새로운 인터넷윤리 교육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기존 방법과 달리 새로운 인증프로그램, 수준별 맞춤 교육기법,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기법, 유해정보 인증 방법 등 M-learning 기반으로 적용하여 효율적이고 구체적인 교육방법을 제시하였다.

설계 문제의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공과대학생의 문제해결 특성 분석 (Analysis of Engineering Students' Characteristics in Design Problem Solving)

  • 노태천;김영종;김태훈
    • 공학교육연구
    • /
    • 제9권4호
    • /
    • pp.46-62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과대학생의 설계 문제에 대한 문제해결 특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과대학생을 대상으로 설계 문제 해결 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문제해결 결과에 따라 구분된 효율적인 문제해결자와 비효율적인 문제해결자 간의 문제해결 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설계 문제의 해결 과정은 비선형적 형태로 수행되며 개인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보인다. 둘째, 각 단계별 소비 시간의 차이보다 각 단계 수행의 질적 수준에 따라 문제해결 결과에 차이가 발생한다. 셋째, 설계 문제의 해결 과정에서 설계 개요 확인하기 활동과 요구사항 확인하기 활동, 해결 방안 모색하기 활동과 아이디어 모델링하기 활동이 주된 활동이다. 넷째, 설계 문제의 전체 해결 과정에서 만들기 활동이 가장 빈번히 발생하며 가장 많은 시간을 소비하며, 해결 방안 모색하기 활동은 문제해결 결과와 관련성이 있다.

제3세계 현지인과 함께하는 적정기술 공학설계 워크숍의 교육적 효과 (Educational Effects of an Appropriate Technology Engineering Design Workshop with the People in Need)

  • 이강;한윤식;김경미
    • 공학교육연구
    • /
    • 제16권2호
    • /
    • pp.3-10
    • /
    • 2013
  • 본 논문은 적정기술 공학설계 교육 워크숍의 한가지 모델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2008년 여름방학부터 최근 4년간 한동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와 (사)나눔과기술에서 공동 주관하여 실시한 네차례의 전국 대학생 대상의 적정기술 워크숍내용을 제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적정기술 공학설계 워크숍은 공학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의 대부분이 전세계의 구매력있는 소수의 10%만을 위해서 집중되어 있고 나머지 90%는 공학기술의 혜택에서 소외되어 있다는 문제의식에 기반하고 있기에, 본 워크숍을 "소외된 90%를 위한 공학설계 아카데미"로 명명하여 개최하고 있다. 본 워크숍에서는 대학생들에게 전세계적 빈곤의 문제를 생각하게 하고 세계적 빈부격차 해소에 공학인들이 자신의 전공을 통하여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제시하고 이를 실천할 수 있는 발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동안의 워크숍 진행에 대한 참여 학생들의 평가 결과는 매우 긍정적이다. 특별히, 2010년 여름부터는 제3세계 소외된 지역의 현지인들을 초청하여 설계문제의 고객의 역할을 부여하여 설계워크숍의 진행에 참여시키고 있다. 학생들과 현지인들로부터 매우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더불어 본 적정기술 공학설계 워크숍의 교육적인 효과에 대해서는, 공학교육인증에서 추구하는 학습성과 중, 설계능력 뿐아니라 복합학제적 팀워크, 의사소통, 공학의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이해, 공학윤리, 국제화 등 대부분의 소프트 스킬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 결과에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