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dotoxin Test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1초

$^{18}F$-FDG 방사성의약품의 품질관리에 관한 조사 (A Study on the Quality Control of $^{18}F$-FDG Radiopharmaceutical)

  • 김쌍태;용철순;한은옥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5권4호
    • /
    • pp.151-156
    • /
    • 2010
  • 국내 $^{18}F$-FDG 방사성의약품의 품질관리 시험성적서에 기록되는 시험항목의 종류는 성상, 반감기, 방사성 이핵종, 방사 화학적 확인(Rf값 측정), 방사화학적 순도, Ethanol, Acetonitrile, Kryptofix, Aluminium, pH, Endotoxin, 무균시험, 실용량으로 총 13종류로 나타났다. '성상', '방사성 이핵종', 'pH', 'Endotoxin', '무균시험'에 대해서만 모두 기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감기', '방사화학적 확인(Rf값 확인), '방사화학적 순도', 'Ethanol', 'Acetonitrile', 'Kryptofix', 'Aluminium', '실용량'은 방사성의약품 제조기관 마다 기록여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판정 결과는 품질관리 시험항목이 기록된 자료를 근거로 총 13개 항목 모두 100%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소에서 제조하는 $^{18}F$-FDG 방사성의약품의 품질관리 시험항목이 병원과 기업보다 많았고 방사성의약품의 시험항목수가 많은 것이 적은 것보다 안정성 확보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수 있는 방법이므로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고 본다. 국내의 경우 방사성의약품의 안전성을 나타내는 품질관리 시험성적서의 시험항목은 제조기관마다 차이가 나고 표준화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고 본다. $^{18}F$-FDG 방사성의약품의 품질보증을 위한 표준화된 품질관리 시험성적서의 제시를 위해 미국의 GMP와 유럽의 CE Mark를 참고하고 전문가 자문을 통해 국내 실정에 맞는 기준으로 표준화해야 한다고 본다.

박테리오파지의 살균소독제 응용을 위한 안전성 평가 (Safety evaluation of bacteriophages for application as sanitizers)

  • 박도원;이영덕;박종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109-11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6종의 E. coli 및 S. aureus 유래 박테리오파지 용액에 존재하는 내독소 함량 조사와 파지의 세포독성 여부에 대해 평가하였다. 대표적인 생물학적 내독소 시험법인 LAL assay을 시행하여 9-10 log PFU/mL 농도의 내독소 함량을 확인한 결과, 파지의 임상적용에는 부적합한 수치이나 식품에 존재하는 병원균의 살균 목적의 사용에는 매우 유해하지 않은 수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박테리오파지 용액의 세포독성평가를 확인하기 위해 MTT 분석을 시행하여 세포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E. coli 파지 용액과 S. aureus 파지 용액 처리군 모두에서 98% 이상의 생존율이 관찰되어 파지용액에 존재하는 내독소 및 파지가 세포독성을 유발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일반적인 방법으로 증폭, 농축한 파지 용액은 인체에 대한 유해성이 적으며 식품에 살균소독제로 적용하더라도 문제가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LAL Test에서 위양성을 나타내는 원인들에 대한 고찰 (Consideration About the Bacterial Endotoxin Test Showing False Positive Test Result When Performing LAL Test)

  • 황기영;조용현;이용석;김형우;이홍재;김현주
    • 핵의학기술
    • /
    • 제13권3호
    • /
    • pp.156-158
    • /
    • 2009
  • 환자 몸에 투여되는 주사용제재으로서 약품 내 무균성이 요구되어진다. 현재 대부분의 방사성약품합성 실에서는 사용하기가 비교적 간편하고 민감도가 우수한 Bacterial Endotoxin Test로 방사성약품 내 발열성물질이 존재하는지의 유무를 실험한다. 그렇지만 테스트결과를 해석할 때 가끔씩 위 양성의 결과를 나타내서 결과를 해석 시 혼란을 줄 때도 있다. 이 위 양성의 원인을 알아보기 위해 pH영역이 다른 buffer와 Ethanol sample을 사용해서 실험을 해보았다. 그 결과 pH영역이 너무 산성이나 염기성인 1.0~5.0 그리고 11.2~12.6에서 위 양성의 결과를 나타냈고 Ethanol sample에 있어서는 20~50%에서는 위 양성의 결과를 100%에서는 완전한 양성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Pyrogen은 면역력이 약한 환자들에게 있어서 두통이나 발열, 백혈구감소증 등의 증상을 일으키고 심지어 합병증으로 인해 환자들에게 치명적인 반응을 일으키기도 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위양성의 결과에 영향 미치는 이런 요인들을 최대한 배제함으로써 객관적이고 신뢰할만한 Pyrogen test결과를 도출하는게 필요하다.

  • PDF

Effect of Aluminum on $TNF-{\alpha}$ Secretion from Murine RAW264.7 Cells for Endotoxin Detection in Hepatitis B Vaccines

  • Park Chul-Yong;Lee Sun-Suk;Rhee Dong-Kw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2호
    • /
    • pp.219-225
    • /
    • 2006
  • The rabbit pyrogen test and Limulus amoebocyte lysate (LAL) assay have been used to detect endotoxins present in vaccines. Currently, the rabbit pyrogen test is used to detect endotoxins in hepatitis B (HB) vaccines, even though the HB surface protein, which is the active ingredient, is overexpressed in and purified from eukaryotic cells that lack these endotoxins. Although the LAL clot assay is sensitive and reliable and can be used to replace the rabbit pyrogen test, its reaction is limited by the lack of responsiveness to the Gram-positive bacterial components. Furthermore, aluminum hydroxide in the HB vaccine can interfere with the LAL assay. In contrast, macrophages can detect the endotoxin as well as other pyrogens, and secrete $TNF-{\alpha}$. Therefor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replacing the animal tests with a more efficient $TNF-{\alpha}$ secretion assay. With this in mind, we determined if aluminum hydroxide in the HB vaccines affects the $TNF-{\alpha}$ secretion assay. HB vaccines and the HB protein solutions spiked with lipopolysaccharide (LPS) produced the same level of dose-dependent $TNF{\alpha}$ secretion and temperature increase in rabbits, indicating that aluminum hydroxide in the HB vaccine does not interfere with the pyrogenic response in rabbits, nor does it interfere with $TNF-{\alpha}$ secretion. In addition, the $TNF-{\alpha}$ assay was found to be more sensitive than the LAL assay, and correlated well with the pyrogen test and the LAL assa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NF-{\alpha}$ assay in RAW264.7 cells is a good substitute for the current pyrogen assays that are used for detecting LPS in HB vaccines as well as in other vaccines containing aluminum.

방사성의약품의 박테리아 엔도톡신 시험에서 반응간섭인자들의 영향에 대한 평가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Interfering Factors on the Bacterial Endotoxin Testing of Radiopharmaceuticals)

  • 박준영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171-180
    • /
    • 2024
  • 엔도톡신 시험은 투구게의 혈구세포 추출성분인 라이세이트(Limulus Amebocyte Lysate, LAL)가 그람음성균의 지질다당체와 반응하여 응고하는 원리를 이용한 in vitro 시험법이다. 엔도톡신이 혈액 내 노출될 경우 환자에게 심각한 부작용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진단용 방사성의약품은 제조 후 반드시 엔도톡신 시험을 통해 의약품 내 오염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진단용 방사성의약품은 유기용매와 완충용액 등을 사용하여 화학반응을 통해 제조되므로 다양한 반응간섭물질이 의약품 내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방사성의약품에 존재하는 엔도톡신 시험의 반응간섭인자를 분석하고 이들의 허용범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사성의약품의 엔도톡신 시험을 위해 겔 응고 LAL시험과 비색 LAL시험을 실시하였고, 비색 LAL시험에서는 혈액 성분으로 만든 Endosafe LAL cartridge와 재조합 단백질로 만든 Endosafe rCR cartridge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방사성의약품 68Ga-DOTATOC 주사액의 엔토톡신 시험 반응간섭인자 평가 시 pH, 유기용매, 완충용액이 있었으며, 그 중 유기용매인 에탄올이 엔도톡신 시험에 간섭현상을 일으켰다. 하지만 68Ga-DOTATOC 주사액을 10배 희석할 경우 간섭현상을 극복할 수 있었다. 진단용 방사성의약품 내 존재할 수 있는 반응간섭인자들의 허용범위를 평가하였으며, pH의 경우 pH 4~8에서는 간섭현상이 없었고, 유기용매의 경우 에탄올 1% 이하에서는 간섭현상이 발생되지 않았다. 완충용액 HEPES는 2,000 ㎍/mL까지는 간섭현상이 발생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진단용 방사성의약품의 엔도톡신 시험에서 유기용매인 에탄올의 농도가 가장 중요한 반응간섭인자임을 확인하였고, 적절한 희석을 통해 1% 미만의 농도로 낮출 경우 엔도톡신 시험을 시행할 경우 간섭을 극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Endosafe LAL cartridge와 Endosafe rCR cartridge의 회수율도 비슷하게 측정되어 성능에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새로운 진단용 방사성의약품의 엔도톡신 시험 시 반응간섭인자를 평가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effect of 4-hexylresorcinol on xenograft degradation in a rat calvarial defect model

  • Kang, Yei-Jin;Noh, Ji-Eun;Lee, Myung-Jin;Chae, Weon-Sik;Lee, Si Young;Kim, Seong-Gon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8권
    • /
    • pp.29.1-29.9
    • /
    • 2016
  • Backgrou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xenograft degradation velocity when treated with 4-hexylresorcinol (4HR). Methods: The scapula of a cow was purchased from a local grocery, and discs (diameter 8 mm, thickness 1 mm) were prepared by trephine bur. Discs treated with 4HR were used as the experimental group. Untreated discs were used as the control. X-ray diffraction (XRD),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antibacterial test, endotoxin tes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were performed on the discs. In vivo degradation was evaluated by the rat calvarial defect model. Results: The XRD and FT-IR results demonstrated successful incorporation of 4HR into the bovine bone. The experimental disc showed antibacterial properties. The endotoxin test yielded results below the level of endotoxin contamination. In the SEM exam, the surface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needle-shaped crystal and spreading of RAW264.7 cells. In the animal experiments, the amount of residual graft was significantly smaller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 = 0.003). Conclusions: In this study, 4HR was successfully incorporated into bovine bone, and 4HR-incorporated bovine bone had antibacterial properties. In vivo experiments demonstrated that 4HR-incorporated bovine bone showed more rapid degradation than untreated bovine bone.

모기유충에 살충력이 있는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darmstadiensis 73E10-2 내독소의 면역학적 성질 (Immunological Characteristics of Mosquitocidal Delta-endotoxin from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darmstadiensis 73E10-2)

  • 정태영;김광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01-304
    • /
    • 1990
  • Bti와 Btd의 내독소에 대한 면역학적인 검토를 행한 결과 양균주의 내독소에는 동일한 기원의 단백질이 혼존하고 있음을 면역확산반응 및 면역전기영동법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동일한 기원의 단백질 함량은 Bti 내독소 보다 Btd 내독소에 많이 존재함을 효소항체법으로 확인하였다.

  • PDF

Cisternography 검사 시 사용되는 방사성의약품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검사도입 및 유용성 평가 (Evaluation of Usefulness and Procedures for Safety of Radiopharmaceuticals in Cisternography)

  • 김다은;유연욱;최호용;김윤철;김영석;원우재;김석기
    • 핵의학기술
    • /
    • 제14권2호
    • /
    • pp.45-49
    • /
    • 2010
  • 뇌조 조영술에 이용되는 방사성의약품들 중 최근에는 Tc-99m DTPA를 이용한 뇌 척수액 영상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Tc-99m DTPA는 사용 시 무균수막염, 근육강직, 경련 등 여러 부작용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Tc-99m DTPA의 이러한 부작용의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하여 안정성검사를 시행하였으며 그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사성의약품 Vial검사는 2008년 12월 16일 - 2009년 12월 30일에 뇌조조영술을 시행한 환자(n=12)를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시술시 사용한 vial내의 DTPA 성분 (Mallinckrodt사의 Techscan-DTPA사용), NaPertechnate radiation dose 및 volume, 생리 식염수량, 환자주사용 용량 및 activity 등을 측정하여 순수 DTPA의 양을 계산하였다. 방사성의약품의 내독소평가(Bacterial endotoxin)는 2008년 12월 16일-2009년 12월 30일에 뇌조 조영술을 시행한 환자(n=12)를 대상으로 하였고, 이 때 사용한 DTPA vial의 Pyrogen test (LAL test)를 시행하였다. 시약이 함유된 Positive/Negative control vial(표준액)에 normal saline 0.2 mL을 주입하고, 동일한 Test control vial(실험액)에 normal saline 0.1mL 와 Tc-99m DTPA 0.1 mL로 주입하였으며 Digital hot plate에서 $37.5^{\circ}C$로 1시간 반응시킨 후 응고여부를 표준액과 대조하여 관찰하였다. 안정적인 제조절차 준수는 보존제(방부제)가 없는 미 개봉한 CaNa3 DTPA kit를 사용하였으며 Tc-99m DTPA는 한 Vial당 한명의 환자선량으로 뽑아 투여한다. 이때 적정 용량을 맞추기 위해 0.9% NaCl 멸균 생리 식염수를 사용하여 희석하였다. 방사성의약품 Vial검사는 측정된 성분값들로 순수 DTPA의 양을 얻어내었으며 이는 2가지의 계산식을 이용하여 선량 대비 DTPA의 용량(평균 0.88 mg), 용량 대비 DTPA의 용량(평균 0.74 mg)을 도출해내었다. 방사성의약품의 내독소 평가에서는 동일한 조건으로 시험(n=12)을 시행한 결과 모두 Bacterial endotoxin이 기준치인 단위 선량 당 14 endotoxin units (EU)미만의 반응인 Negative(-)로 나왔다. 안정적인 제조절차 준수에서는 검사 관련 sheet를 만들어 작성 및 제조절차 준수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결과 모두 준수하여 제조과정 내에서 방사성의약품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이 없었다. Tc-99m DTPA를 이용한 Cisternography 검사 시 항상 방사성의약품의 안정성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수막강 내 주입용 방사성의약품으로서 제조 및 사용 시 불안정한 취급으로 부작용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이에 따른 사용지침이 확립되어야 한다고 생각되었다. 수막강 내 주입용 방사선의약품으로써 free acid 혹은 sodium을 포함하는 DTPA는 적절하지 않으며, 반면 Calcium이 포함된 DTPA는 적절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위와 같이 Techscan-DTPA(Mallinckrodt): CaNa3으로 간단하며 편리하게 안정성검사를 시행할 수 있었으며 각 검사결과(n=12) 안정성검사를 모두 통과하여 검사 시 동반될 수 있는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앞으로 위와 같은 SOP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를 적용하여 보다 쉽고, 편리하게 안정성검사를 시행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LPS에 의한 급성 폐손상에서 게르마늄에 의한 폐포-모세혈관 장벽의 변화 (The Change of Alveolar-capillary Barrier by Germanium in Acute Lung Injury Induced by Lipopolysaccharide)

  • 이윤정;조현국;신건호;전경희
    • Applied Microscopy
    • /
    • 제39권1호
    • /
    • pp.27-40
    • /
    • 2009
  •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염증성 폐질환으로써 폐포-모세혈관 장벽의 파괴로부터 기인하며 파괴 기전에 호중구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에 대한 게르마늄의 항염증 효과 즉, 호중구의 폐조직 내 유주 억제로 인한 폐포-모세혈관의 손상의 감소로 폐손상이 경감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군은 생리식염수를 투여한 대조군(CON), 내독소 5시간 투여군(LPS), 그리고 게르마늄 1시간 전처리 후 내독소 5시간 투여군(Ge+LPS)으로 나누었으며, 내독소는 $100{\mu}g$을 0.5 mL 생리식염수에 녹여 기도내로 분무하고, 게르마늄은 체중 100 g당 26 mg을 복강으로 투여하였다. 내독소의 주입으로 급성 폐손상을 유도시킨 내독소 투여군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폐부종(p<0.001), 기관지폐세척액 내 단백질 함량(p<0.05), 호중구의 침윤(p<0.001)이 현저히 증가하였으나 게르마늄을 전처리 한 군은 내독소 투여군과 비교하여 모든 항목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현미경을 통한 관찰 결과에서도 게르마늄 전처리군은 내독소 투여군에 비해 내피세포, 제I형 폐포세포, 기저판으로 구성된 폐포-혈관장벽의 구조가 비교적 잘 보존되었고, 제II형 폐포세포의 Lamellar body와 미세융모 그리고 기저판의 구조도 비교적 정상적으로 보존된 상태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게르마늄은 항염증물질로 작용, 즉 호중구의 폐조직 내로의 유주현상을 방해하여 활성화된 호중구의 독성물질로 인한 폐포-모세혈관의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었으므로 결과적으로 내독소로 유도된 폐손상은 게르마늄의 전처리에 의해 억제되었다고 판단된다.

항산화력이 우수한 Fructose 1,6-diphosphate(FDP)를 피부적용제로 응용하기 위한 안전성 평가 (The Safety Evaluation of a Potent Antioxidant, Fructose 1,6-diphosphate(FDP), for the Skin Application)

  • 김배환;이병석;정경미;안수미;안수선;심영철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8권3호
    • /
    • pp.267-273
    • /
    • 2002
  • Fructose 1,6-diphosphate(FDP), a glycolytic metabolite, is reported to ameliorate inflammation and inhibit the nitric oxide production in murine macrophages stimulated with endotoxin. It is also reported that FDP has cytoprotective effects against hypoxia or ischemia/reperfusion injury in brain and heart, and may play a protective role in ultraviolet B (UVB, 280~320 nm)-injured keratinocyte by attenuating prostaglandin (PG)-E$_2$production and cyclooxygenase (COX)-2 expression, which are possibly through blocking the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ccumulation. Therefore FDP is considered to act as a potent antioxidant especially in the skin. We conducted the several safety tests (single-dose toxicity, primary skin irritation test, eye irritation test, skin sensitization test, phototoxicity test, photosenitization test and human patch test) to see if FDP is safe in case used for the skin application. Our data obtained hitherto suggest that FDP is very safe if applied to the sk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