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dothelium

검색결과 443건 처리시간 0.027초

Characterization of hypotensive and vasorelaxant effects of PHAR-DBH-Me a new cannabinoid receptor agonist

  • Lopez-Canales, Oscar Alberto;Pavon, Natalia;Ubaldo-Reyes, Laura Matilde;Juarez-Oropeza, Marco Antonio;Torres-Duran, Patricia Victoria;Regla, Ignacio;Paredes-Carbajal, Maria Cristina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6권2호
    • /
    • pp.77-86
    • /
    • 2022
  • The effect of PHAR-DBH-Me, a cannabinoid receptor agonist, on different cardiovascular responses in adult male rats was analyzed. The blood pressure was measured directly and indirectly. The coronary flow was measured by Langendorff preparation, and vasomotor responses induced by PHAR-DBH-Me in aortic rings precontracted with phenylephrine (PHEN) were analyzed. The intravenous injection of the compound PHAR-DBH-Me (0.018-185 ㎍/kg) resulted in decreased blood pressure; maximum effect was observed at the dose of 1,850 ㎍/kg. A concentrationdependent increase in the coronary flow was observed in a Langendorff preparation. In the aortic rings, with and without endothelium, pre-contracted with PHEN (10-6 M), the addition of PHAR-DBH-Me to the superfusion solution (10-12-10-5 M), produced a vasodilator response, which depends on the concentration and presence of the endothelium. L-NAME inhibited these effects. Addition of CB1 receptor antagonist (AM 251) did not modify the response, while CB2 receptor antagonist (AM630) decreased the potency of relaxation elicited by PHAR-DBH-Me. Indomethacin shifted the curve concentration-response to the left and produced an increase in the magnitude of the maximum endothelium dependent response to this compound. The maximum effect of PHAR-DBH-Me was observed with the concentration of 10-5 M. These results show that PHAR-DBH-Me has a concentration-dependent and endothelium-dependent vasodilator effect through CB2 receptor. This vasodilation is probably mediated by the synthesis/release of NO. On the other hand, it is suggested that PHAR-DBH-Me also induces the release of a vasoconstrictor prostanoid.

$\imath$--Muscone의 실험관계에 관한 약리연구 (Pharmacological Actions of $\imath$--Muscone on Cardiovascular System)

  • 조태순;김낙두;허인회;권광일;박석기;심상호;신대희;박대규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5권3호
    • /
    • pp.299-305
    • /
    • 1997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ι-muscone, effects of ι-muscone and musk were studied on the cardiovascular system with various experimental models. In isolated rat aorta, ι-muscone and musk made the relaxation of blood vessels in maximum contractile response to phenylephrine (10$^{-6}$ M) in endothelium-containing rings of the rat aorta, but not in endothelium-denuded rings. However, ι-muscone and musk in the presence of the inhibitor of NO synthase and guanylate cyclase did not make the relaxation of blood vessels.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SHRs), ι-muscone and musk slightly reduced blood pressure but significantly decreased heart rate. In the isolated perfused rat hearts, ι-muscone and musk did not affect significantly on LVDP, contractile force, coronary flow and (-dp/dt)/(+dp/dt). These results suggest that ι-muscone and musk have weak cardiovascular effects with relaxation of blood vessel and decrease of heart rate, but without significant cardiac functions.

  • PDF

Tree of life: endothelial cell in norm and disease, the good guy is a partner in crime!

  • Basheer Abdullah Marzoog
    • Anatomy and Cell Biology
    • /
    • 제56권2호
    • /
    • pp.166-178
    • /
    • 2023
  • Undeniably, endothelial cells (EC) contribute to the maintenance of the homeostasis of the organism through modulating cellular physiology, including signaling pathways, through the release of highly active molecules as well as the response to a myriad of extrinsic and intrinsic signaling factors. Review the data from the current literature on the EC role in norm and disease. Endothelium maintains a precise balance between the released molecules, where EC dysfunction arises when the endothelium actions shift toward vasoconstriction, the proinflammatory, prothrombic properties after the alteration of nitric oxide (NO) production and oxidative stress. The functions of the EC are regulated by the negative/positive feedback from the organism, through EC surface receptors, and the crosstalk between NO, adrenergic receptors, and oxidative stress. More than a hundred substances can interact with EC. The EC dysfunction is a hallmark in the emergence and progression of vascular-related pathologies. The paper concisely reviews recent advances in EC (patho) physiology. Grasping EC physiology is crucial to gauge their potential clinical utility and optimize the current therapies as well as to establish novel nanotherapeutic molecular targets include; endothelial receptors, cell adhesion molecules, integrins, signaling pathways, enzymes; peptidases.

PTU-처치가 흰쥐대동맥의 수축 및 이완 반응에 미치는 영향 (Vascular Responses to Vasoactive Drugs in Propylthiouracil-Treated Rat Aorta)

  • 심일청;김인겸;김중영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35-144
    • /
    • 1990
  • Propylthiouracil(PTU)을 4주 및 12주간 투여한 흰쥐의 대동맥을 적출하여 혈관수축제와 이완제에 대한 반응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PTU를 처치한 실험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현저한 체중저하와 혈중 갑상선호르몬의 감소를 보였다. PTU를 처치한 흰쥐의 대동맥에 대한 norepinephrine (NE)과, calcium및 potassium 이온에 의한 최대수축 반응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그러나 NE에 대한 중간유효량은 증가되었으나, calcium이온에 대한 중간 유효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acetylcholine, histamine, isoproterenol 및 nitroprusside에 의한 대동맥의 이완작용은 대조군에 비해 증가된 경향을 보였다. PTU를 12주간 처치한 군에 있어서 acetylcholine에 의한 최대 이완반응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었지만 다른 이완제에 의해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TU를 4주간 처치한 군에 있어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혈관이완제에 대한 중간억제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12주 처치군에 있어서는 isoproterenol 및 nitroprusside에 대한 중간억제량은 감소 되었으나 acetylcholine 및 histamine에 대한 중간억제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PTU-처치에 의한 혈관 반응성의 변화는 혈관 내피세포보다는 혈관 평활근세포자체의 변화에 기인되며, 이러한 세포내의 변화는 갑상선 기능이 저하된 후에도 계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뇌혈류 자가조절에 대한 Endothelium-derived Relaxing Factor의 역할 (Role of Endothelium-derived Relaxing Factor in Cerebral Autoregulation in vivo)

  • 홍기환;유성숙;임병용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7-37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콜린성 기전에 반응하여 분비되는 내피 의존성 이완물질(endothelium-derived relaxing factor, EDRF)나 nitric oxide(NO)가 마취 흰쥐의 뇌혈류 자가조절기전에 관여할 가능성을 관찰하였다. Acetylcholine($10^{-9}-10^{-6}M$)을 포함한 mock 뇌척수액(CSF)을 관류시 뇌연막 동맥은 농도에 의존하여 이완반응 나타내었고(평균; $19.3{\pm}1.7{\mu}m$, n=36), 이러한 이완반응은 $N{\omega}$-nitro-L-arginine(L-NNA, $10^{-5}M$)에 의해서 억제되었을 뿐 아니라 methylene blue($10^{-6}M$)나 oxyhemoglobin($10^{-6}M$)에 의하여도 억제되었다. 한편 이러한 acethlcholine에 의한 뇌연막동맥의 이완반응을 매게하는 무스카린 수용체는 무스카린 수용체 길항제의 봉쇄효과를 관찰한 실험에서 $M_1$$M_3$ 아형으로 생각되었다. L-Arginine을 함유한 mock CSF로 관류시 일어나는 일시적인 혈관이완반응은 NY 83583 ($10^{-5}M$)에 강력히 억제되었으나 L-NNA ($10^{-5}M$)에 의해서는 억제되지 아니하였다. 한편 acetylcholine과 L-arginine에 의한 혈관이완반응은 ATP-sensitive $K^+$ 통로 봉쇄제인 glibenclamide에 의해 유의하게 봉쇄되었다. 나아가 뇌연막동맥의 직경 변화를 동맥압의 변화에 대하여 검정한 결과 혈관이완과 혈관수축의 희귀 직선의 경사도는 $10^{-5}M$ L-NNA의 전처치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아니하였으나, $3{\times}10^{-6}M$ glibenclamide에 의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혈압하강에 대해 쥐의 뇌연막동맥에 나타나는 혈관이완반응은 EDRF(NO)에 의해 매개되지 않는다고 사료된다.

  • PDF

돼지 관상동맥 및 흰쥐 흉부대동맥에서 자외선 및 가시광선 조사시 파장에 따른 기계적 반응과 Cyclic GMP의 농도변화 (Biphasic Mechanical Responses of Rat Thoracic Aorta to Irradiation with $250{\sim}500\;nm$ Light)

  • 국현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85-290
    • /
    • 1995
  • 이 실험은 여러 파장$(240{\sim}520\;nm)$의 자외선 또는 가시광선(이후 '광선'이라 표기함)을 흰쥐흉부대동맥에 조사하여 이때의 혈관장력의 변화 및 조직내 cyclic GMP농도의 변화를 관찰하기위하여 시행하였다. 돼지관상동맥 또는 흰쥐 흉부대동맥의 환상표본에 spectrofluorometer의 xenon lamp를 이용하여 여러 파장의 광선을 조사하고 이때의 장력변동을 polygraph상에 기록하였다. Cyclic GMP농도변화는 표본에 광선을 조사한 직후 조직을 얼리고 homogenization 및 원침시킨 후 상청액을 ether로 추출하여 RIA kit로 측정하였다. Phenylephrine으로 수축된 내피존재 흰쥐 흉부 대동맥에서는 광선조사로 수축반응을 보였고 320 nm에서 최대수축반응을 일으켰다. 그 이상의 파장에서는 점차 수축반응이 감소되어 420 nm에서는 최대 이완반응을 일으킨 후 점차 기본장력으로 회복되었다. 그러나 내피제거 표본에서는 전파장에서 이완반응만을 일으켰고 이때 최대 이완반응은 370 nm에서 관찰되었다. 내피존재 표본에서 320, 380 및 420 nm의 광선을 30초간 조사한 결과 380과 420nm에서 현저한 cyclic GMP의 증가가 관찰되었으나 320 nm에서는 유의한 변동이 없었다. 한편, 내피제거 표본에서는370 nm의 광선조사로 cyclic GMP함량이 약 4배 증가하였다. 이상의 성적으로부터 흰쥐 흉부대동맥은 광선조사에 의하여 내피존재 표본에서는 수축-이완의 이상성반응을, 제거표본에서는 이완반응만을 일으키고 양 표본의 이완반응은 nitric oxide-cyclic GMP계의 활성화에 기인하나 수축반응은 cyclic GMP계와 직접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추론하였다.

  • PDF

돼지 적출뇌혈관의 저산소 유발 수축반응에 관하여 (Study on Mechanical Responses Induced by Hypoxia in Porcine Isolated Cerebral Artery)

  • 김융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03-212
    • /
    • 1993
  • 돼지의 적출뇌동맥에서 저산소 유발 수축반응을 관찰하고 그 기전을 구명하며 저산소가 혈관수축제의 수축반응과 acetylcholine (ACh)의 내피세포 의존성 이완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코자하여 본 실험을 시행하였다. 내피세포가 존재하는 표본에서는 저산소는 일과성 혈관수축을 일으켰고 산소 재공급시에 일과성 이완 후 수축이 나타나는 이상성 (biphasic) 반응이 관찰되었다. KCI 및 $PGF_{2\alpha}$전처치로 수축된 표본에서 저산소 유발은 추가적 수축반응을 일으켰고, 산소재공급으로 이완반응이 관찰되었다. 내피세포 제거 후 및 nimodipine 또는 indomethacin처리 후 저산소와 산소 재공급에 의한 수축반응은 현저히 감약되었다. 저산소하에서 KCl의 수축반응은 영향받지 않았으나, $PGF_{2\alpha}$와 endothelin (ET)의 수축반응은 현저히 억제되었고 ET수축반응이 저산소에 가장 예민하였다. $PGF_{2\alpha}$와 ET로 수축된 내피세포 존재표본에서 ACh은 용량의존성 이완반응을 일으켰고 이 이완반응은 저산소 하에서 소실되었으며 내피세포 제거표본에서는 ACh의 이완반응이 관찰되지 않았다. $PGF_{2\alpha}$로 처리한 내피세포 존재표본에서 ACh은 cyclic GMP농도를 증가시켰고 이 증가는 저산소하에서 소실되었다. 이상의 성적으로 저산소와 산소 재공급 수축반응은 내피세포 및 calcium의존성이고, prostaglandin계 물질의 유리에 기인한다고 추론하였다.

  • PDF

Bupivacaine-induced Vasodilation Is Mediated by Decreased Calcium Sensitization in Isolated Endothelium-denuded Rat Aortas Precontracted with Phenylephrine

  • Ok, Seong Ho;Bae, Sung Il;Kwon, Seong Chun;Park, Jung Chul;Kim, Woo Chan;Park, Kyeong Eon;Shin, Il Woo;Lee, Heon Keun;Chung, Young Kyun;Choi, Mun Jeoung;Sohn, Ju Tae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7권3호
    • /
    • pp.229-238
    • /
    • 2014
  • Background: A toxic dose of bupivacaine produces vasodilation in isolated aortas. The goal of this in vitro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ellular mechanism associated with bupivacaine-induced vasodilation in isolated endothelium-denuded rat aortas precontracted with phenylephrine. Methods: Isolated endothelium-denuded rat aortas were suspended for isometric tension recordings. The effects of nifedipine, verapamil, iberiotoxin, 4-aminopyridine, barium chloride, and glibenclamide on bupivacaine concentration-response curves were assessed in endothelium-denuded aortas precontracted with phenylephrine. The effect of phenylephrine and KCl used for precontraction on bupivacaine-induced concentration-response curves was assessed. The effects of verapamil on phenylephrine concentration-response curves were assessed. The effects of bupivacaine on the intracellular calcium concentration ($[Ca^{2+}]_i$) and tension in aortas precontracted with phenylephrine were measured simultaneously with the acetoxymethyl ester of a fura-2-loaded aortic strip. Results: Pretreatment with potassium channel inhibitors had no effect on bupivacaine-induced relaxation in the endothelium-denuded aortas precontracted with phenylephrine, whereas verapamil or nifedipine attenuated bupivacaine-induced relaxation. The magnitude of the bupivacaine-induced relaxation was enhanced in the 100mM KCl-induced precontracted aortas compared with the phenylephrine-induced precontracted aortas. Verapamil attenuated the phenylephrine-induced contraction. The magnitude of the bupivacaine-induced relax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the bupivacaine-induced $[Ca^{2+}]_i$ decrease in the aortas precontracted with phenylephrine. Conclusion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oxic-dose bupivacaine-induced vasodilation appears to be mediated by decreased calcium sensitization in endothelium-denuded aortas precontracted with phenylephrine. In addition, potassium channel inhibitors had no effect on bupivacaine-induced relaxation. Toxic-dose bupivacaine-induced vasodilation may be partially associated with the inhibitory effect of voltage-operated calcium channels.

흰쥐 적출 흉부대동맥근의 자외선 수축반응에 관하여 (Contractile Effect of Ultraviolet Light on Isolated Thoracic Aortae of Rats)

  • 백영홍;강성돈;강정채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5-72
    • /
    • 1993
  • 자외선조사는 흰쥐흉부대동맥의 휴지기장력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나, phenylephrine으로 수축된 표본에서는 자외선조사로 내피세포가 존재하면 수축반응을, 내피세포가 제거되면 이완반응이 나타났다. 이 수축반응은 조사시간의 길이($10{\sim}320$초)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나 이완반응은 그렇지 못하였다. 내피세포 존재표본에서 자외선의 수축반응은 phenylephrine농도의 증가($10^{-7}{\sim}10^{-5}M$) 그리고 $acetylcholine(10^{-6}M)$, $isoproterenol(10^{-7}M)$$nitroglycerin(3.5{\times}10^{-8} M)$의 추가투여시 크게 강화되었다. 그러나 $phentolamine(10^{-6}M)$ 또는 $LY83583(10^{-7},10^{-6}M)$의 추가투여시에는 자외선 수축반응이 억제 또는 이완반응으로 역전되었다. 내피세포 제거표본에서의 자외선 이완반응은 phenylephrine농도의 증가 그리고 isoproterenol, nitroglycerine, phentolamine 및 LY83583의 추가투여시 유의하게 감약되었다. 이상의 성적은 흰쥐 적출 흥부대동맥에서 자외선조사는 내피세포 존재유무에 따라 수축과 이완반응이 각각 나타나며, 수축반응은 자외선에 의한 EDRF 유리억제 또는 부분적으로 어떤 EDCF와도 관련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PDF

Inhibition of Leukocyte Adhesion by Developmental Endothelial Locus-1 (Del-1)

  • Choi, Eun-Young
    • IMMUNE NETWORK
    • /
    • 제9권5호
    • /
    • pp.153-157
    • /
    • 2009
  • The leukocyte adhesion to endothelium is pivotal in leukocyte recruitment which takes place during inflammatory, autoimmune and infectious conditions. The interaction between leukocytes and endothelium requires an array of adhesion molecules expressed on leukocytes and endothelial cells, thereby promoting leukocyte recruitment into sites of inflammation and tissue injury. Intervention with the adhesion molecules provides a platform for development of anti-inflammatory therapeutics. This review will focus on developmental endothelial locus-1 (Del-1), an endogenous inhibitor of leukocyte adhe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