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docrine system

검색결과 311건 처리시간 0.04초

21일간 methomyl에 노출한 미꾸리의 생물지표 및 내분비계 영향 (Effects on Biomarkers and Endocrine in Muddy Loach (Misgurnus anguillicaudatus) under 21 day Exposure to Methomyl)

  • 한선영;김자현;권가영;염동혁
    • 농약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9-77
    • /
    • 2012
  • 내분비계교란물질이 수서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미꾸리를 저농도의 methomyl에 21일 동안 노출시켜 생물지표 및 내분비계 영향을 평가하였다. 내분비계교란물질에 대한 노출을 입증하기 위해 널리 이용되는 생물지표인 vitellogenin(VTG)은 21일 동안 0.4 mg/L와 2 mg/L methomyl에 노출된 수컷과 0.08 mg/L, 0.4 mg/L, 2 mg/L의 methomyl에 노출된 암컷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여(p<0.05), methomyl의 수생태계 생물에 대한 내분비계교란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cetylcholinesterase(AChE) 시험 및 comet assay에서는 methomyl에 노출시킨 미꾸리로부터 AChE 활성 저해와 DNA 손상을 확인한 반면, 7-ethoxyresorufin-O-deethylase(EROD) 활성에 대한 대조군과 처리군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개체수준의 생물지표인 condition factor(CF), 간중량지수(hepato-somatic index, HSI), 생식소중량지수(gonado-somatic index, GSI)는 methomyl 노출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methomyl의 수서생물에 대한 내분비계교란 가능성 및 생화학적 생물지표에 대한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Bisphenol A와 대체물질들이 신경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isphenol A and BPA Alternatives on the Nervous System)

  • 문하정;이승현;신현승;정의만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71-381
    • /
    • 2023
  •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제품에는 내분비계교란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대표적인 내분비계교란물질 중 하나인 BPA는 에스트로겐 유사체이며, 폴리카보네이트와 에폭시 수지의 주원료로 사용되어 플라스틱 용기, 캔 내부 코팅제 등의 많은 상업용 제품 생산에 사용된다. BPA는 에스트로겐 유사 작용과 항안드로겐 작용으로 내분비계를 교란해 다양한 장기에 질병을 유발할 수 있는 원인 물질로 생각되고 있다. 특히, BPA는 뇌에서 신경세포의 증식, 분화 등 신경발달과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신경발달장애를 유발한다. 이로 인해 BPA의 사용이 규제되었으며 상업용 제품 생산에 BPA의 대체물질인 BPS와 BPF가 이를 대처하게 되었다. 하지만, BPS와 BPF는 BPA와 비슷한 화학구조를 가지고 있어 내분비계를 교란할 것이라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BPS와 BPF는 생식기와 뇌를 포함한 다양한 장기에서 유해한 영향을 일으킨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었다. 현재 BPS와 BPF가 신경계에 노출되었을 때 나타나는 영향 연구 결과는 현저히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BPS와 BPF가 신경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하며 BPA 대체물질들의 안전성 검증 및 새로운 대체물질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HepG2 인간 세포주, Lumbricus rubellus 및 Saccharomyces cerevisiae를 이용한 내분비교란물질의 독성평가 (Toxicity Evaluation of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Using Human HepG2 Cell Line, Lumbricus rubellus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 손호용;김홍주;금은주;조민섭;이중복;김종식;권기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919-924
    • /
    • 2006
  • 다양한 독성물질 및 이들의 대사산물의 효율적인 생물독성 평가시스템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분비계 교란물질인 endosulfan, bisphenol A, vinclozolin 및 3,5-dichloroaniline을 대상으로 인간 간암세포주, 지렁이, 효모를 이용한 세포독성 및 성장억제 효과를 평가하였다. 인간 간암세포주 독성평가에서는 endosulfan, 3,5-dichloroaniline, bisphenol A의 순으로 독성이 나타났으며, 지렁이 독성평가에서는 endosulfan, bisphenol A, 3,5-dichloroaniline의 순으로 독성이 나타났다. 효모를 이용한 독성평가에서는 3,5-dichloroaniline, endosulfan, bisphenol A의 순으로 독성이 나타나 다른 시스템과는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vinclozolin의 경우 3가지 독성평가 시스템에서 모두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동일한 물질을 서로 다른 생물 독성평가 시스템을 사용하여 평가하는 경우, 부분적인 오류가 나타날 수 있음을 암시하고 있으며, 독성 유무 판단은 가능하더라도, 독성 정량평가 및 독성 정도를 비교하는 것은 어렵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본 결과는, 다양한 물질 및 이들의 대사산물의 일차적 독성평가에는 지렁이 및 효모시스템이 빠르고 경제적임을 암시하고 있으며, 독성이 인정될 경우 인간세포주 및 동물시험에 의한 검증이 효율적이라고 판단된다.

사춘기 암컷 랫드에서 갑상선 시험에 의한 Methoxychlor의 에스트로젠 효과 (The Estrogenic Effects of Methoxychlor in Pubertal Female Rats: Establishment of Thyroid Assay for Endocrine Disruptors)

  • 정문구;김종춘;임광현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6권1호
    • /
    • pp.27-31
    • /
    • 2000
  • Recently, there is a worldwide concern that a great number of man-made chemicals have a hormone-like action both in humans and in animals. EPA and OECD are developing screening programs using validated test systems to determine whether certain substances may have an effect on humans. In the present study, the establishment of in vivo short-term test system for pubertal female assay with thyroid to detect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was tried using a model substance, methoxychlor (MC), a chlorinated hydrocarbon insencticide. Forty female rats were assigned to four groups. MC was administered at dose levels of 0, 8, 40 and 200mg/kg by gavage to female rats from day 21 post partum to the completion of vaginal opening. We evaluated body weight change, age at vaginal opening, onset of estrous cyclicity, age at first esturs, ovary weight, and serum concentrations of thyroxine and thyroid stimulating hormone in female rats. The age at vaginal opening of females receiving 40 200mg/kg was significantly younger than control. The onset of estrus cyclicity and age at first estrus of females receiving 200mg/kg was also younger than controls. There was no effect of treatment on body weight, ovary weight, and hormone concentrat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application of MC at dose level of 40mg/kg affects the vaginal opening and application of MC at dose level of 200mg/kg accelerates the vaginal opening and the onset of estrus cylicity.

  • PDF

랫드 자궁비대반응시험(Uterotrophic assay)을 이용한 phthalate esters의 에스트로겐성 작용 연구 (No Estrogenic Activity of Phthalate Esters in Ovariectomized Rat Uterotrophic Assay)

  • 한순영;문현주;김형식;김철규;신재호;오세동;장성재;박귀례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8권2호
    • /
    • pp.147-152
    • /
    • 2000
  • The rodent uterotrophic assay is currently recommended as one of the primary in vivo assays far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by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and Endocrine Disruptor Screening and Testing Advisory Committee (US EPA EDSTAC). Generally, this assay relies on the rapid increase in uterus and vagina weights when exposed to estrogenic compounds. Phthalate esters have been used extensively as a plasticizer in the manufacture of plastic products such as PVC films and medical devices. Recently, phthalate esters have been shown to induce endocrine system mediated responses. However, a fl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for the screening of their estrogenic activity. In this study the estrogenic activity of seven phthalate esters, butyl benzyl phthalate (BBP), di(2-ethylhexyl) phthalate (DEHP), di-n-butylphthalate (DBP), diethylphthalate (DEP), di-n-pentylphthalate (DPF), di-n-propylphthalate (DPrP) and dicyclohexylphthalate (DCHP), was examined in uterotrophic assay. Phthalate esters dissolved in corn oil were administered to ovariectomized (OVX) female Sprague-Dawley rats by sub-cutaneous injection for three consecutive days. fiats were sacrificed 24h after final treatment, and then uterus and vagina weights were deter mined. All phthalate esters tested in this assay did not change talc uterus and vagina weights at dosage levels up to 200 mg/kg/day treatment.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phthalate esters did not exhibit estrogenic activity in vivo uterotrophic assay.

  • PDF

Bioremediation of Phenolic Compounds Having Endocrine-disrupting Activity Using Ozone Oxidation and Activated Sludge Treatment

  • Nakamura, Yoshitoshi;Daidai, Masakazu;Kobayashi, Fumihisa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9권3호
    • /
    • pp.151-155
    • /
    • 2004
  • The bioremediation of water system contaminated with phenolic compounds having endocrine-disrupting activity, i.e. 2,4-dichlorophenol, 2,4-dichlorophenoxy acetic acid (2,4-D), and 2,4,5-trichlorophenoxy acetic acid (2,4,5-T), was investigated by using ozone oxidation and activated sludge treatment. Ozone oxidation (ozonation time: 30 min) followed by activated sludge treatment (incubation time: 5 days) was an efficient treatment method for the conversion of phenolic compounds in water into carbon dioxide and decreased the value of total organic carbon (TOC) up to about 10% of initial value. Furthermore, 2,4-D was dissolved in water containing salt, i.e. artificial seawater (ASW), and this water was used as model coastal water contaminated with phenolic compounds. The activated sludge treatment (incubation time: 5 days) could consume significantly organic acids produced from 2,4-D in the model costal water by the ozone oxidation (ozonation time: 30min) and decrease the value of TOC up to about 35% of initial value.

Unexpected Estrogenicity of Endocrine Disruptors may Evoke a Failure of Pregnancy Derived from Uterine Function: Overview of Their Possible Mechanism(s) through Steroid Receptors

  • Dang, V.H.;Nguyen, T.H.;Choi, K.C.;Jeung, E.B.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99-208
    • /
    • 2007
  • Although many studies have focused on the biological and toxicological effects of phenol products, in particular, in reproductive tracts, the data about their effects in this estrogenic responsive tissue are much less clear. In addition, the in vitro and in vivo data concerning ED-adverse impacts in other endocrine organs, i.e. pituitary gland, are not understood well either. Thus, a further study is needed for providing a new insight into possible impacts of estrogenic EDs including phenol products in humans and wildlife. A combination of in vitro and in vivo system for examining EDs may bring better understanding into the regulatory mechanisms underlying EDs-induced events. In addition, this information may support for developing optimal screening methods of estrogenic EDs, in particular, phenol products.

E-SCREEN Assay를 이용한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정량적 평가 (Quantitative Assessment of Xenoestrogenic Environmental Pollutants using E-SCREEN Assay)

  • 오승민;이상기;정규혁
    • 약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416-423
    • /
    • 2000
  • There is a growing concern that a wide variety of chemicals released into the environment can disrupt the endocrine system of fish, wildlife and humans.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EDCs) include pesticides such as DDT lindane and atrazine, the food packaging chemicals, phthalates and bisphenol A, alkylphenol ethoxylate detergents and the chemical industry by-products, dioxins. Xenoestrogens in the environment have been argued about health risk, because of estrogen mimetic chemicals are exposed only small amounts to human. A number of in vivo and in vitro assays are now in use to assess the activity of xenoestrogens in the environment. A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 (MCF-7) was used to develop in vitro screening assay for the detection of xenoestrogenic environmental pollutants. The E-SCREEN (MCF7-BUS) assay is proposed as a reliable, easy and rapid-to-perform method. To optimize and validate this method before it can be used routinely, several phenol compounds and pesticides suspected to be estrogenic were tested using I-SCREEN assay. The results showed that this method is a valuable tool for screening potential estrogen-mimicking environmental pollutants and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estrogeniciy.

  • PDF

설치류 수컷 생식력에 미치는 에스트로겐의 효과 (Estrogen Function in Male Rodents Fertility)

  • 김지향;김진규;윤용달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9권2호
    • /
    • pp.85-93
    • /
    • 2005
  • 스테로이드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은 여러 조직의 발생 및 분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에스트로겐의 영향을 평가하는데 있어 전통적인 여성 호르몬이라는 인식을 탈피하여 수컷 생식계상의 역할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내분비계 교란물질에 관한 다양한 연구 결과가 보고되면서, 수컷에서의 에스트로겐 역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에스트로겐의 정확한 역할을 파악하기 위해서 발생 단계에 따른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수컷 생식기관 내 분포를 정리해 보고, 내분비계 교란물질의 노출에 따른 수컷 생식계의 발생 및 분화 이상과 정자형성과정의 장애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끝으로 외인성 화학물의 에스트로겐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인자들을 정리하여, 남성 생식기관의 발생, 분화, 기능에 관련된 에스트로겐의 역할에 대한 실제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남해 연안 해역에 있어서 미량유기오염물질의 정량적 평가 (Quantitative Assessment of Micropollutants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 한상국;박지영;이종삼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13-219
    • /
    • 2005
  • 본 연구는 310종 다성분 동시분석 법을 활용하여 남해 연안 해역 중 광양만, 여자만, 가막만에서의 미량유기오염물질에 의한 오염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채수지점에서 검출된 주요 미량유기오염물질은 aliphatic, polycyclic compounds 와 같은 CH기의 화학물질과 aromatic ammines, nitro compounds와 같은 CHN(O)기의 화학적 구조를 갖는 물질이었다. 미량유기오염물질의 농도는 겨울철보다는 여름철에 높게 나타났으나 검출된 물질 종수와 계절적 상관성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남해 연안 해역에서 검출된 농약의 총량은 $ND{\sim}9.11$ 이었으며 광양만과 가막만에서 살충제와 제초제의 검출이 집중적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남해 연안 해역에서 환경호르몬성 물질은 총 6종이 검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남해연안해역의 주요오염인자는 살충제와 제초제, 그리고 수종의 환경호르몬성 물질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