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ulsion sausage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5초

메밀분말을 첨가한 닭고기 소시지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Emulsion-type Chicken Sausages added Different Level of Buckwheat Powder)

  • 신호빈;김학연;천지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35-141
    • /
    • 2017
  • 본 연구는 메밀가루의 첨가 수준에 따른 닭고기 소시지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닭 가슴살 소시지에 첨가되는 메밀가루의 양이 증가할수록 보수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메밀가루 첨가 수준이 증가할수록 수분함량 증가 및 가열감량 감소가 관찰되었으며, 유화 안정성은 메밀가루의 첨가량 증가함에 따라 수분손실량의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메밀소시지의 경도와 점도는 메밀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점도는 유화물의 안정성에 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 메밀가루의 소시지에 대한 첨가는 색이나 pH에는 영향을 주지 않지만, 가열감량, 유화 안정성, 수분함량, 경도, 점도의 품질을 향상시키므로 천연물질 유래 첨가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홍국 분말을 첨가한 유화형 소시지의 이화학 특성 연구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mulsion-type sausage added red yeast rice powder)

  • 김철선;김학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96-400
    • /
    • 2017
  • 본 연구는 홍국 분말 첨가수준에 따른 유화형 소시지의 이화학적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수분함량은 홍국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높아지는 추세를 보였으며, 단백질함량과 지방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색도는 홍국 분말 첨가량에 따라 명도와 황색도는 감소하는 반면 적색도는 크게 증가하였다. 가열감량, 수분리, 유분리와 점도는 홍국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평가에서 색도와 다즙성은 홍국 분말 3% 첨가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풍미는 홍국분말 2~3% 첨가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연도는 홍국 분말 첨가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높은 값을 보였으며,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는 홍국 분말 2% 첨가 처리구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돈육 유화물에 홍국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하였을 때 홍국 첨가에 따른 적색도가 증진되어 육색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이화학적 품질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ausage manufactured with carp (Carassius carassius) muscle and pork

  • Lee, Sol-Hee;Joe, Sung-Duck;Kim, Gye-Woong;Kim, Hack-Youn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2권6호
    • /
    • pp.903-911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ausage manufactured with carp (Carassius carassius) muscle and pork. Sausages were prepared using either 100% pork sausage (P10), a mixture of 50% pork and 50% carp muscle (P5C5), or 100% carp muscle (C10). The quality of the sausage emulsion was determined by analyzing approximate composition, pH, instrumental color, cooking yield, water holding capacity (WHC), viscosity, and texture profile analysis (TPA). Moisture content of cooked C10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P10 or P5C5 (p < 0.05); however, protein content of cooked P10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10 (p < 0.05). The pH of uncooked and cooked C10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P10 and P5C5 (p < 0.05). The cooking yield, WHC, and texture profile analysis of C10 were higher than those of P10 and P5C5 (p < 0.05). In addition, the viscosity of uncooked C10 was higher than that of P10 and P5C5.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rp muscle can enhance sausage quality with respect to pH, WHC, cooking yield, viscosity, and TPA.

Quality properties of whole milk powder on chicken breast emulsion-type sausage

  • Kang, Kyu-Min;Lee, Sol-Hee;Kim, Hack-Youn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3권2호
    • /
    • pp.405-416
    • /
    • 2021
  • The aim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whole milk powder (WMP) as heterologous proteins on chicken breast emulsion-type sausages. The quality properties of WMP on such chicken breast emulsion-type sausages were investigated by measuring the proximate composition, pH, color, cooking yield, protein solubility, and by applying other methods, such as texture profile analysis (TPA), microphotograph,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SDS-PAGE), and electronic nose. The crude fat, protein, and ash contents of 15% WMP sampl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samples (p < 0.05). The redness of the cooked sample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WMP contents (p < 0.05). The cooking yield of WMP treated sampl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sample (p < 0.05). Additionally, the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of WMP treated sampl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sample (p < 0.05). The sarcoplasmic and myofibrillar proteins of samples containing 15% WM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samples (p < 0.05). The result of SDS-PAGE showed that the C protein, sarcoplasmic protein, actin, and tropomyosin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WMP contents.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lot of WMP-treated samples was clear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trol samples.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predicted that WMP could be useful as heterologous protein on emulsion-type sausage.

말고기 대체수준이 유화형 소시지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placing Pork with Horse Meat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Emulsion-type Sausage)

  • 성필남;이종언;김진형;박범영;하경희;고문석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5호
    • /
    • pp.739-746
    • /
    • 2006
  • 소시지의 원료육으로 사용되는 돼지고기를 말고기로 0, 50, 100% 대체하여 소시지 품질을 비교한 결과, 말고기 특성이 소시지 품질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특히, 말고기 함량이 높을수록 지방 함량은 작았으며, 수분 함량과 단백질함량은 높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말고기 소시지는 pH가 높고, 돈육 소시지 보다 제품색이 붉고, 어두운 특성을 보였다. 하지만 소시지의 조직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에서는 돼지고기 소시지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오히려 말고기 소시지가 경도와 탄력성에서는 돼지고기 소시지 보다 높은 편이었다. 미량 광물질 중 K, Fe, Zn, Cu는 말고기 소시지가 돼지고기 소시지 보다 더 함량이 많았으며, P, Na 함량은 돼지고기 소시지에서 높게 나타났다. 지방산 조성에서는 말고기 소시지가 포화지방산 비율이 높고, 불포화지방산 비율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소시지 제조 시 돼지고기를 말고기로 대체하여 만들어진 말고기 소시지는 돼지고기만을 원료로 제조한 소시지에 비하여 품질저하를 보이지 않았으며 오히려, 최근 소비자의 건강지향성 등을 고려할 때 저지방, 미량광물질 강화 등 기능성 소시지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Effect of Buckwheat (Fagopyrum esculentum) Powder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Emulsion-type Sausage

  • Lee, Sol-Hee;Kim, Gye-Woong;Choe, Juhui;Kim, Hack-You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927-935
    • /
    • 2018
  • Various amounts of buckwheat powder (0%, 1%, 2%, and 3%) were added to emulsion-type pork sausages. The effects of buckwheat powder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emulsion type sausages, including proximate composition, cooking yield, viscosity, pH, instrumental color, texture profile analysis (TPA), and sensory evaluation, were determined. Increased levels of added buckwheat powder led to higher moisture (p<0.05), ash content (p<0.05 or >0.05), and cooking yield (p<0.05). However, the protein and fat contents of the sausage samples were lower (p<0.05) with higher levels of added buckwheat powder. The instrumental color and pH values were affected by the addition of buckwheat powder, which has a pH of 6.1 and associated color coordinates of $L^*=75.0$, $a^*=1.3$, and $b^*=8.7$. Meat batter with 3% buckwheat powder was shown the highest (p<0.05) viscosity indicating great formation of emuls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PA among the treated samples. The viscosity value increased with increasing cooking yield in the batter ($r^2=0.7283$) i.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two measurements was very high and positive. For sensory traits except for tenderness, the highest scores (p<0.05) was detected on sausages with 3% added buckwheat powder by a panel.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ddition of 3% buckwheat powder to emulsion-type sausages produces a more beneficial meat product, with a lower fat content, greater formation of emulsion and no adverse effects on sensory properties.

유화형 Sausage의 품질특성에 식물성유와 동물성유 CLA 첨가가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LA-vegetable Oils and CLA-lard Additive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Emulsion-type Sausage)

  • 이정일;이진희;곽석준;하영주;정재두;이진우;이제룡;주선태;박구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2호
    • /
    • pp.283-296
    • /
    • 2003
  • CLA-식물성유와 CLA-동물성유가 대체가 유화형 sausage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3개의 시험구를 배치하였다. CLA- CO는 돼지 등지방 함량 중 30%를 CLA-corn oil로 대체시켰으며, CLA-SSO는 30% CLA- safflower seed oil, CLA-LD는 30% CLA-lard을 각각 대체하여 유화형 sausage를 제조한 후 1, 7, 14, 21 그리고 28일 동안 4$^{\circ}C$의 냉장고에 저장하면서 이화학적 특성, 조직감, 지방산패도, 지방산 조성 및 CLA 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CLA-식물성유와 CLA-동물성유를 첨가한 sausage의 pH는 전 저장기간동안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p<0.05), 모든 처리구가 저장 14일째에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pH를 보였다(P<0.05). Sausage의 L*과 a* 값은 모든 처리구간에 큰 차이는 없었으나, b* 값의 경우 CLA-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전 저장기간 동안 유의적으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CLA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모든 지방산 조성이 감소하는 결과를 보인 반면에, linolenic acid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CLA 처리구인 CLA-CO와 CLA-SSO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P<0.05). 모든 처리구가 저장기간 경과에 따른 지방산 조성의 변화는 없었다. 조직감에서는 CLA-LD 처리구가 대조구나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응집성, 탄력성, 고무성 및 파쇄성 등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유화형 sausage의 지방산패도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처리구 모두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p<0.05), CLA-CO 처리구가 대조구 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p<0.05). 이상의 결과 유화형 sausage 제조시 CLA 첨가는 이화학적 특성과 조직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제품의 저장기간을 연장 및 CLA를 축적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고급 sausage 생산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Effects of Chestnut (Castanea sativa Mill.) Peel Powder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icken Emulsion Sausages

  • Choi, Yun-Sang;Choi, Ji-Hun;Han, Doo-Jeong;Kim, Hack-Youn;Lee, Mi-Ai;Kim, Hyun-Wook;Song, Dong-Heon;Lee, Ju-Woon;Kim, Cheon-Je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755-763
    • /
    • 2010
  • Sausages were prepared with fresh chicken breast meat and pork back fat, and formulated with different amounts of added chestnut (Castanea sativa Mill.) peel and ice water to study the effect on the products. The chicken emulsion sausages formulated with 1%, 2%, and 3% added chestnut peel powder were higher in moisture and ash content, and lower in energy values. The cooking loss, emulsion stability, and viscosity of the sausages were improved by the addition of chestnut peel. The fat content, pH, lightness, hardness, and springiness of the chicken emulsion sausage decreased as the amount of chestnut peel levels increased. The chicken emulsion sausages containing 1% and 3% chestnut peel had a higher overall acceptability than the control.

Natural Extracts as Inhibitors of Microorganisms and Lipid Oxidation in Emulsion Sausage during Storage

  • Lee, Jeeyeon;Sung, Jung-Min;Cho, Hyun Jin;Woo, Seung-Hye;Kang, Min-Cheol;Yong, Hae In;Kim, Tae-Kyung;Lee, Heeyoung;Choi, Yun-Sa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1060-1077
    • /
    • 2021
  • Food additives are required to maintain the freshness and quality of foods, particularly meats. However, chemical additives may not be preferred by consumers, and natural materials with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effects may be used as replacements for common chemical additives. Accordingly,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natural compounds extracted with ethanol and hot water, and emulsion sausage prepared with natural ethanol extracts was analyzed for pH, color,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and Clostridium perfringens growth during storage.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49 natural extract candidates against Listeria monocytogenes, C. perfringens, Salmonella spp., and Escherichia coli were analyzed, and six natural materials with excellent antibacterial activities, i.e., Elaeagnus umbellata Thunb. f. nakaiana (Araki) H. Ohba, Punica granatum L., Ecklonia cava, Nelumbo nucifera Gaertner, and Schisandra chinensis (Turcz.) Baill., and Rubus coreanus Miq. were evaluated to determine their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ethanol extracts were higher than those of hot water extracts, wherea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found to be higher in hot water extracts. The TBARS values of emulsion sausag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s storage time increased, and the TBARS values of emulsion sausages prepared with natural extracts were lower than those of control sausages. Natural extract-treated emulsion sausages showed a 99% reduction in bacterial contents compared with untreated sausages on day 2, with greater than 99.9% reduction after day 3. Thus,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natural extracts could have applications as natural preservatives in meat products.

쑥 분말 첨가가 유화형 소시지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tion of Mugwort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Emulsion-type Sausage)

  • 이제룡;정제두;하영주;이진우;이정일;김곤섭;이중동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2호
    • /
    • pp.209-216
    • /
    • 2004
  • 본 연구는 유화형 소시지 제조시 쑥 분말을 가각 0.7, 1 및 2% 수준으로 첨가하여 제조한 다음 소시지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소시지의 pH값은 저장 20일까지 대조구가 쑥 분말 첨가 소시지보다 높았고, 저장 45일에는 쑥 분말 첨가 소시지가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 소시지의 명도와 적색도 값은 대조구가 쑥 분말 첨가 소시지에 비해 높았고, 쑥 분말 첨가 소시지는 첨가 수준이 증가할수록 명도와 적색도 값은 감소하였다. 황색도 값은 쑥 첨가 소시지가 대조구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지방산화도를 나타내는 TBARS는 저장 1일에는 대조구와 쑥 분말 첨가소시지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저장 20일${\sim}$45일에는 쑥 분말 첨가 소시지가 대조구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지방산화도 값을 나타내었다. 조직특서에서 단단함 정도를 나타내는 경도는 대조구가 쑥 분말 첨가 소시지에 비해 높았다. 무기물 함량은 쑥 분말 첨가 소시지는 대조구에 비해 나트륨 함량이 낮았고, 쑥 분말 2% 첨가한 소시지가 대조구와 쑥 분말 0.7%와 1% 첨가한 소시지에 비해 마그네슘, 칼슘, 망간 및 철 함량은 높았다. 관능검사 결과, 쑥 향은 쑥 분말 첨가구에서 모두 대조구와 그 차이를 인지하였고, 맛, 외관, 씹힘성 및 전체적인 기호도는 쑥 분말 첨가 소시지와 대조구 사이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에서, 쑥 분말을 함유한 유화형 소시지는 pH, 색도, 경도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소시지의 지방산화를 지연시키고 무기물 함량이 많으며 한국 전통식품이 아닌 소시지에 색다른 한국적 맛을 구현할 수 있는 쑥 분말이 첨가된 소시지를 개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