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ployment Support

검색결과 813건 처리시간 0.035초

치위생과 학생의 구직효능감과 취업스트레스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job searching efficacy and employment stress in the dental hygiene students)

  • 류혜겸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591-599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earching efficacy and employment stress in the dental hygiene students.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235 dental hygiene students in Gyeongnam from September to October 30, 2015.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5 items), employment stress (22 items) and job searching self-efficacy (27 items). Data were analyzed by SPSS 20. program. Results: The lower grade students tended to have higher education service quality. Those who were dissatisfied with major had higher schoolwork stress. Poor economic status had a relation to family stress. The employment stress has an effect on job motivation, self-esteem, job skill, and human relation skill.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reduce employment stress of the dental hygiene students. That should be provide support of education environment control, opportunity of self-development on improve the self esteem and human relation skill, from freshman to broaden understanding of the majors, for the employment stress coping skill.

한국의 자영업 적정규모 분석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d Method of Self-Employment Adequacy Analysis in Korea)

  • 서근하;김성호;서창수
    • 유통과학연구
    • /
    • 제17권3호
    • /
    • pp.107-116
    • /
    • 2019
  • Purpose - Why, why is it difficult to predict the appropriateness of self-employment, and what are the countermeasures and policy proposals to overcome. This study intends to further develop the field of statistical variables. It is necessary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existing proper scale research in Korea. We need to find statistical variables that can determine the appropriateness of self-employment in Korea. These efforts will be helpful in evaluating OECD countries and statistics and developing domestic economic indicator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It is the discovery of statistical indicators and complementary indicators that have not been revealed in previous studies. Therefore, we sought to find new statistical parameters based on the statistics of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Bank of Korea, and overseas OECD statistics. (Proper Size of Adequacy) is defined as the specific gravity or number of the self-employed in Korea, which is shown as "Out Put" by statistical analysis of STATA panel statistical data. It is possible to further develop variables such as gross domestic product, gross national product, economic growth rate, unemployment rate, income tax rate, consumer price, tax level, exports, import amount, bill default I want to dig. Results - In addition to expanding economic indicators that can be explained by self-employment determinants, we have developed a variety of methods such as linear and non-linear (U-shaped, inverted U-shaped). It is the improvement of the self-employment determinants and the analysis method to estimate the appropriate scale. Conclusions - The proposed contents are reflected in self - employment appropriateness evaluation data and hope to help the government to select the policy support and to evaluate the government business after the policy support. These efforts are expected to be of great help to operators operating their own businesses, and to government and related institutional practitioners who support them. In this way, self-employment will be created in accordance with the Korean situation, where the happy life of all the people becomes the premise and the inclusive economic activities are guaranteed. It will improve the method of analyzing proper scale of small business owners and self-employed in Korea.

알코올사용장애 환자의 취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요인 (The Factors Influence upon Employment Volition in Alcohol Use Disorder)

  • 노인숙;조경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272-280
    • /
    • 2019
  • 본 연구는 알코올사용장애 환자의 가족지지, 자아탄력성, 취업의지의 관계를 파악하고, 취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알코올사용장애로 진단받고 입원 및 외래 치료를 받은 경험이 있는 20세 이상의 남성 128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일원분산분석,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가족지지는 5점 만점에 4.30점, 자아탄력성은 4점 만점에 2.37점, 취업의지는 5점 만점에 4.06점이었다. 가족지지는 주거형태에 따라 자가소유 주택 거주자가 임대형 주택 거주자보다 높고($x^2=4.747$, p=.01), 자아탄력성은 교육정도에 따라 초대졸 이상이 중졸이하보다 높았으며(F=4.389, p=.01), 취업의지는 연령에 따라 40대 이하가 50대 이상보다 높았다(F=4.778, p=.01). 취업의지는 자아탄력성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나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취업의지도 높았다.(r=.309, p<.01). 취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탄력성(${\beta}=-.314$, p<.01)과 연령(${\beta}=-.253$, p<.01)이며 16.3%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알코올사용장애 환자의 취업의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연령수준에 따른 접근이 필요하며 자아탄력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체육계열 4학년 학생의 취업준비행동 분석 (A Study on Employment Preparation of Graduating Senior in the Department affiliated with Physical Education)

  • 최진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5호
    • /
    • pp.453-460
    • /
    • 2017
  • 이 연구는 4학년 체육계열학과 졸업대상자를 중심으로 취업준비행동을 파악하고 현재 상황을 되짚어 전략적인 취업지도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분석을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2013 대졸자 직업이동조사 기초분석보고서를 비교대상으로 삼았다. 비확률표본추출법 중 편의표본추출법을 통해 경기, 서울, 충남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5개 대학 체육계열학과 164명을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그에 따른 기술통계, 빈도분석, 독립표본 평균 t-검증을 통해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현재 4학년 체육계열학과 졸업대상자들은 교내 취업프로그램에 낮은 참여율을 보였으며 진로 및 취업프로그램과 적성검사에만 50% 정도의 참여경험을 나타냈다. 대학교육과 진로관련 지원에는 만족하고 있었지만 취업시설과 복지시설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전공과 관련한 국가전문자격증과 민간자격증을 취득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정부의 청년고용정책에는 실제 참여율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체육계열학과 특성에 맞는 전략적인 취업준비지도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장애인 가구원의 취업여부가 가족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산수준과 우울감의 매개효과 검증 (The Effect of Employment Statu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on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Asset and Depression)

  • 김자영;한창근
    • 사회복지연구
    • /
    • 제48권4호
    • /
    • pp.5-31
    • /
    • 2017
  •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조사의 11차년도(2016) 자료를 사용하여 장애인 가구원의 가족관계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영향력과 관련성을 살펴보고 또, 요인들 간의 경로를 파악하고자 경로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장애인 가구원의 취업여부는 자산수준, 우울감, 가족관계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리고 자산수준은 우울감과 가족관계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우울감 또한 가족관계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취업여부와 우울감 사이에서 자산수준의 완전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자산수준과 가족관계만족도 사이에서 우울감의 부분 매개효과가, 그리고 취업여부와 가족관계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자산수준과 우울감의 다중 부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장애인의 저하된 가족관계만족도를 향상시기 위해서 Sherraden 교수의 자산효과이론을 재조명하였으며, 무엇보다도 본 연구는 성인 장애인 가구원을 대상으로 하는 차별화된 저축 프로그램 등 자산형성 프로그램를 설계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고용관련 빅데이터 구축 전략 및 활용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Strategy and Utilization of Big Data Related to Employment)

  • 최기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184-197
    • /
    • 2021
  • 본 논문은 맞춤형 고용서비스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고용관련 빅데이터 센터(가칭)'설립에 앞서 우리나라의 고용관련 DB 중에서 워크넷, 고용보험, 직업훈련 DB 등과 함께 교육과 복지 DB를 중심으로 DB별 개요, 구축 과정, 주요내용, 활용, 한계점 등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고용관련 빅데이터를 구축·운영하고 있는 독일과 영국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개인이 생애에 경험하게 되는 다양한 노동력 상태간의 이행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회적 위험을 체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이행을 통한 소득확보를 강조하는 이행노동시장론에 입각하여, 고용보험 DB를 중심으로 개인단위에서 교육/훈련/경력/자격, 구직, 고용, 실업, 비경활/복지 등의 DB를 연계하는 체계로 고용관련 빅데이터 구축방안과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고용관련 DB들에 대한 대대적인 정비, 고용보험 DB를 중심으로 구축할 빅데이터의 대표성 제고, DB의 신뢰도 제고 등 향후 과제들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을 계기로 고용관련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에 대한 논의가 더욱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

순차분석을 활용한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입직경로 분석 (A Study on Employment Path of Vocational Instructors Using Sequential Analysis)

  • 김민정;이영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78-89
    • /
    • 2021
  • 본 연구는 순차분석을 적용하여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입직경로를 파악하고자 한다. 입직경로를 구체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체계적인 입직 준비를 위한 지원 방안 마련에 시사점을 줄 것으로 여겨진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입직경로 단계별 빈도 분석, 변환 확률 분석, 유의도 검사 및 변환 상태 도식을 통해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입직 경로의 단계별 관계를 제시하였다. 분석을 위해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자격을 취득하고 민간직업훈련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훈련교사의 응답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입직을 위한 과거 경험 빈도수를 살펴보면 일 경험, 교직 훈련, 강사 경험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입직 경로 단계에서 일 경험, 교직 훈련, 강사 경험이 후행 단계로의 이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셋째,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입직경로는 일 경험-강의 경험-교직 훈련 경로가 높게 나타났다. 결과를 통해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체계적 입직 준비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미용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장벽이 취업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areer Barriers on Employment Decisions among Students from Beauty-specialized High Schools)

  • 김아영;전현진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634-642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areer barriers on employment decisions among high school students specializing in beauty-related fiel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39 students attending beauty-specialized high school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Jeollabuk-do, and a self-written questionnaire was employed for conducting the research. This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4 to April 18, 2022. A total of 38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350 responses were collected. Of these, 339 questionnaires were considered for the final analysis, as the remaining 11 had incomplete or insincere respon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areer barriers affecting high school students in beauty-specialized schools were categorized into eight factors: lack of interest, economic difficulties, financial support, interpersonal challenges, job information, anxiety about future, conflict with others, and lack of self-clarity. Second, when assessing the impact of career barriers on employment decision-making, it was observed that the level of employment decision-making had a statistically positive (+) effect, and the lack of interest had a negative (-) effect on the level of employment decision-making. Next, the significance of the regression model, considering the specific factors of career barriers in relation to employment confidence, was established as p<.001. Variables such as a lack of interest, limited access to job information, and lack of self-clarity had a negative (-) effect on the level of employment confidence, with a significance level of 0.05.

고용서비스 관련 전문자격 개편에 대한 인식 조사 (Survey on Perceptions Regarding the Reform of Professional Qualifications in Employment Services)

  • 장신철;조한진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6권3_spc호
    • /
    • pp.351-365
    • /
    • 2024
  • 지난 20여년간 고용서비스 분야의 직무는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왔으나 직업상담사 자격은 2000년대 초반 직업상담 심리 위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직업상담사 자격의 신호기능과 선별기능이 저하되고 있다는 노동시장의 지적이 많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용서비스 전문자격 신설 및 개선방향에 대하여 현업 고용서비스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고용서비스 종사자들은 모든 자신의 직무에서 중요도에 비해 현재 능력수준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기존의 직업상담사 하나의 자격으로 기업지원, 행정관리, 노동시장 프로그램 기획 집행 등 확대된 고용서비스 직무를 모두 담당하는데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고용서비스 관련 자격의 개편 방향에 대해서는 새로운 자격을 신설하는 것에 동의하는 비율이 62.6%로 나타났고, 대신 기존의 직업상담사 자격은 전문성을 강화하자는 비율이 67.4%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조직지원인식과 취업준비활동이 좋은 일자리 인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Employment Preparation Activities for their Awareness of Good Job)

  • 배성숙;장석인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6권1호
    • /
    • pp.59-80
    • /
    • 2017
  • 최근 심화되고 있는 청년실업의 여파로 정부, 기업, 대학 등의 관계기관은 청년실업 해소 및 일자리 창출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그러나 대학생들이 선호하는 좋은 일자리는 한정적이며, 장기간 경기침체에 따른 청년실업률 급등이 20년 전 일본의 상황과 유사하다는 지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한국과 일본 대학생의 조직지원인식과 취업준비활동이 좋은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은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2013 GOMS 5,380부를 활용하였으며, 일본은 2016년 3월 대학생 대상 설문지 256부를 회수하여, 총 5,636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조직지원인식과 좋은 일자리 인식 간의 영향관계는 한국과 일본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준비활동과 좋은 일자리 인식 간의 영향관계는 한국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일본은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준비활동과 좋은 일자리 인식 간의 관계에서 성별과 전공계열의 조절효과는 한국과 일본 모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의 지원이 대학생들의 좋은 일자리 인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기 때문에, 대학에서는 학생들의 복지향상과 교육만족을 위한 지원 및 지원제도를 강화하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둘째, 취업준비활동과 좋은 일자리 인식은 한국과 일본의 사회구조나 복지 및 임금 등의 격차가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였다. 따라서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을 마련한다면 청년층의 좋은 일자리에 대한 인식도 변화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