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mployee's Trust to Leaders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4초

융복합시대 내부마케팅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S전자 상사의 신뢰 매개효과 (A Study on the Influence of Internal Marketing to Customer Orientation in Convergence Era - The Mediating Effect of S Electronic Employee's Trust to Leaders)

  • 이병주;이승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9호
    • /
    • pp.99-109
    • /
    • 2016
  • 본 연구는 조직 내의 내부마케팅을 권한위임, 교육훈련, 경영층지원, 보상시스템, 내부의사소통으로 설정하고 종업원들이 인식하는 내부마케팅과 고객지향성의 관계에서 상사의 리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규명하기 위해서 총 570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분석방법으로는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및 구조모형 검증을 통해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부마케팅은 고객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내부마케팅은 상사의 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사의 신뢰는 고객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넷째, 상사의 신뢰가 가지는 매개효과로는 권한위임, 교육훈련, 보상, 내부의사소통 요인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경영층지원은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이론적, 실무적으로 기여하는 바가 클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s of Authentic Leadership and Leader-Member Exchange on Employee Psychological Own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Yang, Hoe-Chang;Kwon, Jae-Hyun
    • 유통과학연구
    • /
    • 제13권11호
    • /
    • pp.23-30
    • /
    • 2015
  • Purpose -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often rely on the owner's person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impact of the awareness of such a business leader's sincerity and the sincerity of their leader-member exchange (LMX) on employee psychological own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findings offer clues to how small- and medium-sized company leaders should engage with employe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A total of 289 valid questionnaires were examined using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es and structured equation modeling. Results - Authentic leadership and LMX were both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each trust factor, each trust factor had a positive impact on psychological own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ownership had a posi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small- and medium-size company leaders should use self-awareness and self-regulation to encourage the recognition of their sincerity, and strive to achie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employees. It also suggests that leaders should improve trust between employees and establish various strategies to enable employee psychological ownership.

"윤리적 리더십의 힘!": 고용 불안정성이 조직 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직 신뢰의 매개 효과 및 윤리적 리더십의 조절 효과 ("The Power of Ethical Leader": The Influence of Job Insecurity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and Moderating Effect of Ethical Leadership)

  • 김병직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3권1호
    • /
    • pp.197-212
    • /
    • 2022
  • Purpose - The current paper not only investigates the intermediating process of the association between job insecurit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but also tries to find a factor which mitigates the negative influence of job insecurity. Design/methodology/approach - By conduc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alysis with survey data from 351 employees,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as well as the moderating influence of ethical leadership in the job insecurity-organizational trust link. This paper built hypotheses that job insecurity decreases the level of employee's organizational trust, then the level of the employee's organizational trust would influence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addition, ethical leadership would function as a buffering factor between the association between job insecurity and organizational trust. Findings - This paper found that job insecurity had a negative influence on employee's organizational trust, and the employee's organizational trus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ethical leadership mitigated the negative impact of job insecurity on organizational trust.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By empirically delving into the importance of ethic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trust to increas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is paper may provide top management and leaders in an organization with important insights that they should adequately monitor and manage the level of ethic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trust.

여성 리더의 성 역할과 신뢰가 조직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교육교재 유통기업을 대상으로 (Women Leaders: Gender Roles, Trust, and Effect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Educational Material Distribution Enterprises)

  • 이남겸;황일영
    • 유통과학연구
    • /
    • 제13권3호
    • /
    • pp.93-100
    • /
    • 2015
  • Purpose - Since the early 1990s, it has been observed that the number and substance of studies on female leadership have been increasing. One of the reasons for this development may be concerned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female labor market participants as well as the greater opportunities for them to take higher positions in various organizations. In addition to this, the transition from mechanistic organizational structures that emphasize authority, control, and efficiency toward organic ones that focus on environmental adaptability, equality, and trust has also encouraged research on female leadership. The research tendency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male and female leaders tend to exhibit different leadership styles according to their gender differences. Recent research has cast doubt on this assumption, by showing that the sociological gender roles of men and women are independent such that some female leaders show authoritative and control-oriented leadership, which were once considered to be male leadership styl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research attempts to carry out an empirical study on the gender-related leadership styles of female leaders and to examine their effect on group performance in the K business organization. This study also focuses on leader attributes such as trust, and it aims to discover whether these attributes should be regarded as independent or as moderating variables between leadership styles and performance.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generated four hypotheses based 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it tested them using a survey. Female workers in the sales departments of the K Company, all of whom are women, were asked to provide answers to the presented questionnaires. This study hypothesizes that the type of gender roles played by women leaders will affect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the members of the sales group, and that the level of trust that is garnered by women leaders will also affect the types of gender roles that they play as well as employe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both androgynous and masculine leadership styles are superior to the feminine leadership style in terms of employe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owever, contrary to our expectations, this study fails to show the superiority of the androgynous leadership style over the masculine leadership style. Moreover,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leadership styles with regard to group performance. Conclusions - This study shows that it is important that different attributes of leaders, such as how trusted they are, be treated as moderating variables between leadership and performance rather than as independent variables. Finally, as this is the first attempt to view the role of the gender in a new perspective, the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leadership research, as well as its limitations, are presented. Suggestions for future related research are also proposed.

슈퍼바이저의 고용불안정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기효능감과 신뢰의 조절효과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ranchise Firm's Supervisors Job Insecurity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Trust in Manager)

  • 조준상
    • 유통과학연구
    • /
    • 제13권1호
    • /
    • pp.35-46
    • /
    • 2015
  • Purpose - This paper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erception of job insecurity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it examines these relationships while consider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rust in the manager and self-efficacy. Job insecurity is an independent variabl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spect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are dependent variables, and trust and self-efficacy are moderator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verify the effects. The measurement items were already deemed as reliable and valid in the previous study, but for this purpose, some modifications were made. To examine the model, this study relied on the samples chosen from Korean employees in the six franchise business firm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288 workers. Each question is based on a 5-point Likert type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Results -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job insecurity has an influenc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spects (negatively on job satisfaction, negatively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ositively on turnover intention). Second,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rust, trust in manager is mediated between job insecurity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sp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n turnover intention). However, employees' trust in manager had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job insecurity-job satisfaction relationship. Third, self-efficacy is mediated between job insecurity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spects (on job 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n turnover intention). Conclusions - First, it is necessary to be aware of the seriousness of employees' job insecurity in franchise firms, which have played a pivotal role in national economic growth, and to create a detailed plan for reducing insecurity and actively implementing it. To this end, the franchise companies should implement efficiency efforts such as obtaining an appropriate capacity of equipped personnel and a training program. Second, there are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tru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insecurity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Depending on business conditions, stability and instability can only be experienced in the organizations of franchise companies. This can give rise to instability in employ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utilize a system that can be minimized with a change in the new awareness of employment instability. After all, a good leader (manager) must accumulate personal trust and build up a core competence that is necessary to become competent in the field himself. Even if you lack the material resources to improve performance, if the leader with the core competencies (e.g., technical/management /organization/marketing/design) can gain the trust of the supervisor, you can get a goo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refore, you should foster a healthy organizational culture through education such as leadership training and employee training to be built on trust between the leaders and the employees. In addition, you need to focus on HRD&M training in order to increase the self-efficacy of the supervisor.

외식산업 관리자의 리더십에 관한 최근 연구동향 (New Trends of Managers' Leadership Style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 전경철
    • 산학경영연구
    • /
    • 제19권1호
    • /
    • pp.223-240
    • /
    • 2006
  • 최근의 외식산업은 치열한 경쟁력과 함께 인력수급이 급격하게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인적서비스의 효율적인 관리가 중요시 되면서 리더십에 대한 연구가 호텔과 패밀리 레스토랑을 대상으로 관리자와 종사자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되고 있지만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외식산업에서의 최근 연구동향을 토대로 향후 연구의 방향을 살펴보면 첫째, 외식산업에서 직속상사를 포함한 관리자와 종사자에 관한 국내 연구가 미미한 상황에서 외식산업 관리자의 리더십에 관한 연구가 최근의 변화한 조직내 구성원에 대한 실증연구를 토대로 호텔과 패밀리레스토랑을 대상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 또한 과거 대부분의 종사자에 대한 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등의 연구가 임금이나 승진 등에 초점을 두었는데 과거보다 학벌수준이 높고 젊은 층이 많은 조직내 구성원에 대한 조직문화에 초점을 둔 시대의 흐름에 맞는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한다. 둘째, 변혁적 리더십과 리더-구성원 교환관계는 각기 독립적으로 연구에서 관리자의 리더십이라는 하나의 틀 속에서 분석해 실증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기업의 핵심인재의 관리와 함께 금전적 보상체계의 개혁뿐 아니라 비금전적 차원에서의 배려나 지원이 요구된다. 네째, 외식산업 관리자의 역할 또한 전문가로서 평생직장의 개념보다 평생직업으로서 자신의 능력과 함께 매뉴얼이 있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구성원들에게 지속적으로 교육훈련을 시킬 수 있는 리더십개발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하며 마지막으로 환경과 조직문화에 따라 리더십 유형의 적용이나 선택이 외식업채 특성에 맞는 실증적 연구가 앞으로도 계속 진행되어야 될 것이다.

  • PDF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상사 신뢰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ervant Readership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Revolved around Effect of Tuned from Confidence of Superior)

  • 김재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호
    • /
    • pp.215-226
    • /
    • 2015
  • 경영환경이 급변하는 상황에서 조직은 과거에 비해 변화 지향적인 대응방식이 필요하고 조직의 존속 및 발전을 위한 효율적인 관리를 요구하고 있다. 전통적인 관리모델에 적응되지 못하므로 새로운 리더와 새로운 리더와 부하관계를 원하고 있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경기불황이 지속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소비위축으로 기업들은 많은 어려움에 봉착을 하고 있다. 기업들은 이렇게 끊임없이 변화하는 경영환경과 시장에 대한 체계적인 대응을 하지 못하면 결국 시장에서 도태되게 된다. 이로 인해 리더십의 중요성이 그 어느때보다도 높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번트 리더십에 대한 선행연구들에 대하여 고찰을 하고, 이를 통해 서비스 산업에 종사자하는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서번트 리더십은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효과는 상사의 신뢰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파워링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직무열의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행동적 진실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Empowering Leadership on Employee's Work Engagement and Job Satisfaction: Moderating Effect of Behavioral Integrity)

  • 고민정;한주희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4호
    • /
    • pp.217-230
    • /
    • 2020
  • 본 연구는 자기결정이론을 바탕으로 상사의 임파워링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직무열의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함으로써 임파워링 리더십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사가 임파워링 리더십을 발휘함에 있어서 행동적 진실성이 수반될 때 조직구성원의 직무열의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이 더욱 강해지는지 확인함으로써 임파워링 리더십과 행동적 진실성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40대 이하 직장인 289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임파워링 리더십, 직무열의, 직무만족 간의 인과관계를 확인하였고, 행동적 진실성에 따라 집단을 나눈 후 다집단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임파워링 리더십을 발휘하는 리더는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만족과 직무열의를 향상시켰다. 둘째, 임파워링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서 직무열의가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행동적 진실성은 임파워링 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절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행동적 진실성은 임파워링 리더십과 직무열의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행동적 진실성이 높은 집단에서 임파워링 리더십은 직무열의를 유의하게 향상시켰지만, 행동적 진실성이 낮은 집단에서 임파워링 리더십은 직무열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상사가 임파워링 리더십을 발휘하면 조직구성원은 자신에게 부여된 권한과 책임, 자율성을 기반으로 업무수행 과정에서 직무열의와 직무만족의 향상을 경험한다. 따라서 기업은 관리자 계층의 임파워링 리더십을 강화하여 직원들의 직무열의와 직무만족을 높이는 기반으로 삼을 필요가 있다. 둘째, 행동적 진실성은 상사의 임파워링 리더십 효과성을 증대시키는 요인임이 밝혀졌다. 따라서 실무자들은 조직이 추구하는 가치를 구성원 개인이 내면화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고민하고 실천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을 논의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중소기업 관리자의 리더십, 조직동일시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 중소기업 종사자의 조직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SME Manager's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on Job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among SME Workers)

  • 황수광;하규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5호
    • /
    • pp.223-235
    • /
    • 2022
  •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관리자의 리더십 유형과 조직동일시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의 관리자 리더십과 조직동일시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과 조직신뢰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는 중소기업 직원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리더십 유형 중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은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조직동일시는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중소기업의 조직신뢰에 대한 매개효과는 변혁적 리더십→조직신뢰→직무만족도, 거래적 리더십→조직신뢰→직무만족도, 조직동일시→조직신뢰→직무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중소기업 관리자의 리더십과 조직의 역할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중소기업은 조직비전을 통해서 조직구성원들에게 조직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심어주는 전략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