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onal engagement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26초

간호사의 감성지능, 직무열의, 도덕적 민감성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The convergence Influence of nurse's emotional intelligence, Job Engage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moral sensitivity)

  • 배두이;김향수;김송순;김윤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93-103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사의 대인관계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임상현장에서 간호사의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B광역시, Y시 소재의 병원 3곳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임의표출 한 179명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대상자의 대인관계능력은 5점 만점에 3.51점, 감성지능은 5점 만점에 3.44점, 직무열의는 5점 만점에 3.15점 도덕적 민감성은 7점 만점에 4.57점으로 나타났다. 간호사의 대인관계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감성지능(${\beta}=.551$, p=.000)이 예측변수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37.3%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간호사의 감성지능, 직무열의 및 도덕적 민감성이 높을수록 대인관계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인관계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감성지능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사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하여 간호사 개인의 감성지능을 높이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증강현실 몰입에 대한 현존감 및 정서적 애착과 주의집중의 매개효과 연구 - 증강현실 게임 포켓몬 고 이용자를 사례로 (Analysis of mediating effects of presence, emotional attachment, and focus of attention for augmented reality immersion - In the case of augmented reality game Pokémon Go users)

  • 한윤정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27-35
    • /
    • 2017
  • 본 연구는 증강현실 게임의 참여와 몰입 사이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인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참여로부터 형성되는 정서적 애착과 주의집중이 현존감에 대해 나타내는 매개효과와, 현존감이 몰입에 대해 나타내는 매개효과를 통해 참여와 몰입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해 포켓몬 고 게임이용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증강현실몰입(Augmented Reality Immersion) 설문척도를 번역한 설문조사를 통해 총 200부의 설문응답을 수집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에는 SPSS 23.0과 Mplus 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문항내적합치도 (Cronbach's ${\alpha}$) 계수를 통해 척도의 신뢰도를 확인하고 정규분포 충족 여부에 의해 모형 적합도를 확인한 후, 경로분석을 실시하여 각 변인 간 인과관계와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참여와 몰입의 관계에서는 직접적 인과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증강현실 게임 참여가 현존감과 몰입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정서적 애착과 주의집중이 매개가 되었을 때 인과관계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증강현실 게임의 참여에서 몰입으로 향하는 과정에 참여자의 정서적 애착과 주의 집중 상태가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함을 체계적으로 설명함으로써 인간과 상호작용하는 증강현실 기술의 발전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요소를 밝혀낸 점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응급실 간호사의 언어폭력경험과 공감피로 및 직무열의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of Verbal Abuse, Compassion Fatigue, and Work Engagement in Emergency Nurses)

  • 김희준;이영진;유문숙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00-308
    • /
    • 2019
  • Purpose: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verbal abuse, compassion fatigue, and work engagement among nurses in the emergency unit. Methods: Study subjects were 107 nurses working in a university hospital in Gyeonggi-Do. The instruments used were a verbal abuse checklist, a subscale of the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Scale used to measure compassion fatigue, and the Utrecht Work Engagement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version 22.0 program for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Emergency nurses experienced more verbal abuse and compassion fatigue than nurses in other departments, and the level of work engagement was low.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xperience of verbal abuse and compassion fatigue a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both of these variables and work engagement. Particularly, verbal abuse appeared in the order of nurses, patients & caregivers, and doctors. This means there were serious problems with communication with nurses. Conclusion: In order to reduce verbal abus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culture of mutual respect between nurses, medical staff, patients & caregivers. Moreover, a compassion fatigue management program is needed to reduce emotional fatigue.

The Effects of Message Tone and Formats of CSR Messages on Engagement in Social Media

  • CHAE, Myoung-Ji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10호
    • /
    • pp.501-511
    • /
    • 2020
  • As more consumers are interested in sustainability issues and evaluate brands based on their social responsibility issues involved, firms are using social media platforms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consumers abou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activities. However, the current literature focuses mostly on factors drive engagement of promotional messages, while little evidence was found in the literature on how to design effective CSR messages on social media to engage consumers. Using over 3,000 branded posts on Facebook and Twitter, this research explores factors that help CSR messages become more engaging in social media. The results show that, on average, CSR messages had a negative significant effect on consumer engagement. However, CSR messages became more engaging when designed with emotional appeals, longer texts, and a hashtag. While marginal, CSR messages with informational appeals and humor undermined the effect of CSR messages on engagement. Finally, we explore different types of CSR messages by their beneficiary scope and the role of brands in the message and discuss what message contents drive more engagement in social media.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the academic literature and managers by providing new insights on how to design CSR messages for effective communications in social media.

노인의 건강상태 (Health Status of Elderly Living in a City)

  • 소희영;김현리;류명인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69-178
    • /
    • 2004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health status of elderly. Method: This is a survey using cross-sectional design. The subject were 122 elders who were 65 and over in Daejeon. Instrumental activity of daily living, nutrition and Body mass index for physical health status, social engagement for social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and loneliness for emotional health status were measured. Results: Independent level was medium, and nutrition and BMI were normal level. Social engagement score was 2.38 which means low. Mean depression level was 7.71 and mean loneliness level was 56.77, which means high. The risk factors for vulnerable health status were no spouse, lower pocket money, living at institution, poor subjective health status. Conclusion: This finding indicates that the elderly subjects were in normal physical health status, but social and emotional health status were poor.

  • PDF

라이브 커머스에서 관계유대가 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 팬쉽의 매개 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 (The Effect of Relational Bonds on Consumers' Engagement in Live Commerce: Mediating Role of Fanship and Moderating Role of Consumers' Social Support)

  • 유맹맹;임승희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3권2호
    • /
    • pp.63-77
    • /
    • 2022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fanship between relational bonds and consumers' engagement. Also the study demonstrates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s' social support between relational bonds and fanship.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Chinese consumers who have used live commerce within the last 6 months.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 and a total of 276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Regression analyses with bootstrapping were conducted to test the research models. Findings - Findings of the study showed that fanship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bonds, social bonds and consumers' engagement. Furthermore, consumers' social support such as informational support and emotional support moderate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al bonds and fanship.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The findings of the study contributes to providing a theoretical framework to explain consumer behavior in a live commerce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bonds, social support, fanship, and engagement.

부산지역 중·고등학교 조리종사자의 직무변인이 직무소진과 직무관여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on Job Burnout, Engagement and Turnover Intention of Middle and High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 류은순;이경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0-79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data on the contribution of job characteristics (work, autonomy, reward, community, fairness, value) towards job burnout (emotional exhaustion, cynicism), job engagement (vigor, dedication, absorption) and turnover intention in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Typically, 594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in the Busan area participated in our survey. Workload (${\beta}=-0.512$, p<0.001) had the highest negative influence on emotional exhaustion, whereas reward (${\beta}=-0.216$, p<0.001) and community (${\beta}=-0.214$, p<0.001) had the highest negative influence on cynicism. Community (${\beta}=0.305$, p<0.001) and workload p<0.001) had the highest positive influence on vigor. Community (${\beta}=0.261$, p<0.001) and (${\beta}=0.238$, p<0.001) had the highest positive influence on dedication. (${\beta}=0.287$, p<0.001) and community (${\beta}=0.224$, p<0.001) had the highest positive influence on absorption. Workload (${\beta}=-0.195$, p<0.001) and community (${\beta}=-0.182$, p<0.001) had the highest negative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Overall, the results show that job characteristics are very important factors affecting foodservice employee's burnout, engagement, and turnover intention. So should try to reduce the employees' workload and increase the rewards for them along with activating communication among each other.

간호교육에서의 게임기반 학생응답시스템(GSRS) 적용 효과: 학습몰입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Game-Based Student Response System(GSRS) on Nursing Education : Focusing on Learning Engagement)

  • 황지원;김정애;황슬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56-166
    • /
    • 2021
  • 본 연구는 게임기반 학생응답시스템을 활용한 수업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간호교육에서 게임기반 학생응답시스템을 활용한 수업(실험집단)과 강의식 수업(비교집단)의 학습몰입을 중심으로 비교한 실험연구이다. 2019년 10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일개 간호대학생 211명이 참여하였다. 학습몰입의 두 집단 간의 차이는 t-test를, 관련 요인과는 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비교집단과 실험집단 간 학습몰입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체 학습몰입(p=.013), 정서몰입(p=.002)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는 국내 처음으로 게임기반 학생응답시스템을 활용한 수업이 학습몰입의 효과성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유튜브 여행 동영상의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이 사용자 참여에 미치는 영향 (The Differential Impacts of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on Travel-Related YouTube Video Engagement)

  • 김희진;송하연;유진영;최성철
    • 서비스연구
    • /
    • 제13권3호
    • /
    • pp.1-19
    • /
    • 2023
  • 여행 마케팅 분야에서 브이로그와 같은 동영상 기반 소셜미디어 컨텐츠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청자 반응 및 참여 행동을 향상시키는 콘텐츠 특징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유튜브 여행 콘텐츠의 나타난 감정이 시청자 참여 행동, 특히 "좋아요"와 "댓글" 작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방문자 수가 높은 세계 8개 관광도시에 관한 여행 관련 유튜브 동영상 4,619개의 나래이션을 머신러닝으로 추출하여 텍스트화 한 후 음이항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긍정 감정 및 부정의 감정 모두 "좋아요" 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동영상에서 나타난 긍정적인 감정과 부정적인 감정이 각각 높을수록 더 많은 시청자들이 "좋아요"를 클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댓글 수에 측면에서는 부정적인 감정만 유의한 영향을 보인 반면 긍정적인 감정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경험재인 여행 상품의 고유한 특성을 고려할 때 유튜브에서 시청자 참여를 높이고자 하는 마케터들에게 어떠한 동영상 특징이 "좋아요"와 댓글등의 참여 행동을 유도할 수 있는지를 이해하고 전략 수립에 도움을 준다는 면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또한 소셜 미디어, 특히 유튜브의 맥락에서 시청자 참여도에 미치는 감정의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향후에는 감정에 대한 긍정-부정의 분류를 넘어 특정 감정이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을 통해 소셜 미디어 동영상에 나타난 감정의 역할에 대한 이해를 깊이 할 수 있을 것이다.

Detection speed of negative information in anxious participants

  • 최문기;남기춘
    • 한국인지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인지과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9-41
    • /
    • 2006
  • A modifiedPosner cue-target paradigm in which neutral, positive and negative (threat) words were presented in peripheral location for cue was us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engagement component of attention across emotional valence and anxiety level of participants. Results showed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anxiety level of participants and emotional valence of cue in valid trial. This indicates that the engage component of attention is not encapsulated and influenced by anxiety level of participa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