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onal engagement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27초

다차원적 관점에서의 참여에 기초한 초등과학 수업 참여의 잠재집단 분석 및 차이 탐색 (Latent Class Analysis and Difference Investigation of Elementary Students' Multidimensional Engagement in Science Classes)

  • 임희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9권1호
    • /
    • pp.145-153
    • /
    • 2020
  • Students' engagement is very important for effect science learning. Multidimensional approaches on students' engagement defines engagement in three ways which includes cognitive, behavioral, and cognitive engagement. Based on the multidimensional approaches on students' engagement, this study identified latent groups of elementary students characterized by patterns of cognitive, behavioral, and emotional engagement in science classes. This study also compared students' perceptions of their engagement in general science classes and small-group activities by the latent groups. 377 elementary students were involved in this study. 5-scale Likert survey were used in order to investigate students' engagement in science classes. Latent class analysis using Mplus program identified 3 latent groups of students engagement in science classes: Highly engaged, moderately engaged, and minimally engaged in three ways of engagement. The mean scores of cognitive, behavioral, and emotional engagemen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ree latent groups.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students perceptions on participating experiments activities and carefully listening of teacher among latent group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tudents' perceptions on their actions during small-group activities.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학습 장면에서 감정 개입을 촉진하기 위한 기능성 게임의 활용 - 단어 시각화 기반의 영어 학습용 기능성 게임 '워드 콜렉트리안' 제작 사례를 바탕으로 (A Study on Enhancing Emotional Engagement in Learning Situation - Based on Development Case of English Learning Serious Game 'Word Collectrian')

  • 이학수;도영임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95-106
    • /
    • 2012
  • 교육 현장에서 감정은 기억, 학습 성취, 동기부여에 있어 핵심적으로 중요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아동들을 대상으로 감정적 개입(emotional engagement)을 촉진하기 위해 기능성 게임을 학습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영어 학습용 기능성 게임 '워드 콜렉트리안'을 이용하여 탐색 연구를 진행하였다. 워드 콜렉트리안은 인터액션을 통한 단어의 동적 시각화와 맥락 영상의 제시를 통한 상황 인지, 완성된 단어의 배치를 통한 단어에 대한 애착 고취 등을 활용하여 아동들이 감정적으로 영단어 학습에 효과적으로 개입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1차 프로토타입을 활용한 기초 실험 결과 워드 콜렉트리안이 학습 효과와 감정 개입의 효과를 모두 불러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국 고등학생의 정서지능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학습동기와 그릿의 이중매개효과 (Doubl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Motivation and Grit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arning Engagement in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 나지문;고윤택;이창식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1호
    • /
    • pp.213-221
    • /
    • 2024
  • 본 연구는 중국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습동기와 그릿이 정서지능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이중매개하는지를 확인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자료는 중국의 한 고등학교에서 유의표집한 고등학생 30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PC+ Win ver. 25.0과 SPSS PROCESS macro ver. 4.2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적용된 통계방법은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및 이중매개효과 분석이었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지능, 학습동기, 그릿 및 학습몰입은 모두 정적인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고등학생들의 학습동기와 그릿이 정서지능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이중매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정서지능만이 아니라 학습동기와 그릿을 활용하여 학업몰입을 증진키실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특급 호텔 종사원의 사회지능과 감성지능이 직무열의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Social Intelligence (SI) and Emotional Intelligence (EI) as Predictors of Job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Deluxe Hotel)

  • 정효선;윤혜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8-7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호텔 종사원의 사회지능과 감성지능을 규명하고, 사회지능, 감성지능, 직무열의 및 조직몰입과의 유기적인 인과관계를 고찰하였으며, 이러한 인과관계에서 직무열의의 매개적 역할을 추가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지역 특급 호텔 종사원 419명을 대상으로 한 표본을 바탕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 호텔 종사원이 사회지능은 직무열의와 조직몰입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종사원의 감성지능은 직무열의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지만, 조직몰입에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감성지능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직무열의가 매개적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병원 간호사의 업무몰입 관련요인 (Work Engagement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General Hospital Nurses)

  • 박진화;이은경;김선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462-470
    • /
    • 2018
  •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업무몰입 관련 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D광역시와 K지역에 위치한 3개의 종합병원에 재직하고 있는 114명의 간호사이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업무몰입의 평균평점은 3.08점이었으며, 감정노동 하부요인 중 전문직 감정조절 노력은 3.82점, 대상자 중심 감정 억제는 3.28점, 규범에 의한 감정 가장은 3.22점이었으며 간호근무환경은 2.59점이었다. 업무몰입은 감정노동 하부요인 중 전문직 감정조절 노력(r=.30, p=.001), 대상자 중심 감정 억제(r=.20, p=.030)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간호근무환경과도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21, p=.024)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몰입은 연령, 직위, 전문직 감정조절 노력과 관계가 있었으며 이들 세 변수는 업무몰입을 20%(F=10.37, p<.001)설명하였다. 따라서 업무몰입 향상을 위한 전략 수립 시 연령과 직위를 고려해야 하며, 감정노동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서 전문직 감정조절 노력을 강화할 수 있는 전략을 찾는 노력이 이어져야 할 것이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살펴본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과학 학습 참여의 의미 (Exploration on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s of Science Learning Engagement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 임희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9권2호
    • /
    • pp.255-267
    • /
    • 2020
  • Students' engagement is important for meaningful learning and it has multifaceted aspects for their science learning. This study investigated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s of science learning engage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41 4th to 6th elementary students.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5-Likert scale questions and free response questions on science learning engagement. The results showed that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s of behavioral engagement were higher than emotional and cognitive engagement. Keyword network analysis with NetMiner program showed that the frequent key words of science learning engagement were 'experiment', 'listening', and 'teachers' explanation', which were mostly the behavioral types of engagement. The degree centrality and eigenvector centrality of these key words appeared high. 'Interest', which is emotional engagement, were also one of the frequent key words, but the centralities of this word were relatively low. The Frequent key words of science learning disengagement were mostly related with off-tasks, not doing expected behaviors and negative emotions about science and science learning. Educational implications on science learning engagement were discussed.

Level of Self-Efficacy of Science Teachers Towards Engaging Students

  • Upadhyaya, Indra Raj
    • 한국교육논총
    • /
    • 제40권2호
    • /
    • pp.57-73
    • /
    • 2019
  • The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level of self-efficacy of science teachers towards student engagement. Although the general self-efficacy of teachers has been explored a lot but the efficacy of science teacher has not been explored more and student engagement is crucial towards understanding of science concepts. Therefore,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nd the self-efficacy of science teachers mainly towards three dimensions of student engagement (Behavioral, Cognitive and Emotional engagement). The study was carried with 150 secondary science teachers as Kathmandu. Secondary science teachers were found to be moderately high efficacious in all aspects of behavioral engagement of students except four aspects in which they showed moderate efficacy. Regarding the self-efficacy on cognitive engagement they were moderately efficacious in two aspects and were found to be moderately high efficacious in other all aspects. However, science teachers' self-efficacy was found to be moderately high. Teachers were found to be efficacious in making clasroom constructive, developing collaborative skill and high order thinking among the students. However in some aspects they were found less efficacious.

  • PDF

Investigating Effects of Metacognitive Strategies on Reading Engagement: Managing Globalized Education

  • HUO, Naihean;CHO, Yooncheong
    • 산경연구논집
    • /
    • 제11권5호
    • /
    • pp.17-26
    • /
    • 2020
  • Purpose: Previous studies rarel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metacognitive reading strategies on reading engagement, particularly in globalized higher education, while those studies examined reading problems and engagement with lower reading lev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metacognitive reading strategies including global reading, problem solving, and supporting reading on reading engagement that include argentic, behavior, emotional, and cognitive engagement in global learning environment. This study investigated research questions: how do global reading, problem solving, and supporting reading strategies affect argentic, behavior, emotional, and cognitive reading engagemen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collected data via online survey in globalized learning environment. This study applied statistical analyses, such as factor and regression analyses and ANOVA.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etacognitive reading strategi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student reading engagement while they were reading class materials in English for academic purposes.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s managerial implications in higher education by providing better strategies to enhance learning skills in global context. In particular,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that the effects of problem solving and supporting strategies could be improved by adopting better management systems in globalized education.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서적 스트레스와 직무열의의 이중매개효과 (The Effects of Abusive Supervision on Turnover Intention: Dual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Stress & Work Engagement)

  • 최보윤;정승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291-299
    • /
    • 2022
  • 본 논문은 조직에서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그 경로에서 정서적 스트레스와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직장인 31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Macro 및 Bootstrapping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비인격적 감독, 정서적 스트레스, 직무열의, 이직의도 간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중매개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과 정서적 스트레스, 직무열의, 이직의도에 대한 경로를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제공한다. 향후 종단적 연구 및 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심층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감정노동이 직무열의와 직무소진에 의한 이직의도,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창업보육센터 종사자의 보상 조절효과 (The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on Turnover inten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Mediated by Burnout and Work Engagement : The Moderating effect of reward on manager at support centers for startup)

  • 김남기;전기흥;이종관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1호
    • /
    • pp.153-165
    • /
    • 2015
  • 본 연구는 창업보육센터 종사자(매니저)를 대상으로 감정노동(표면행동, 내면행동)이 직무열의와 직무소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직무열의와 직무소진이 이직의도와 고객지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관계에서 창업보육센터 종사자(매니저) 보상이 조절 역할을 하는지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감정노동의 표면행동은 직무열의와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내면행동은 직무열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직무소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열의는 이직의도에 부정적, 고객지향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직무소진은 이직의도에 긍정적, 고객지향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열의와 고객지향성 관계에서 창업보육센터 종사자(매니저) 보상이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