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onal Labor Level

검색결과 158건 처리시간 0.026초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자기효능, 감정노동을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Nurse's Health Promoting Behavior: Focusing on Self-efficacy and Emotional Labor)

  • 홍은영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54-162
    • /
    • 2014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self-efficacy, emotional labor,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It also investigated factors affect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nurses working for tertiary and general hospital. Methods: Between June and July 2013, a convenience sample of 233 subjects was collected from 2 tertiary hospitals and 4 general hospitals. The data analysis was done with ANOVA, t-tes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Emotional labor of the subjects was slightly lower than that of other nurses and the average level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was lower than the median. Health promoting behaviors were differentiated by education, hospital type, and monthly income. Self-efficacy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HPLP-II, but emotional labor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and HPLP-II. The most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was self regulation(16.3%). The combination of self regulation, attentiveness to required display rules, BSN, preference to task difficulty, and monthly income(${\geq}300$) accounted for 25.4%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Attentiveness to required display rules was a negative factor of HPLP-II. Conclusion: When developing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nurses, self-efficacy should be considered a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dentify mediating variables between emotional labor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해양경찰공무원의 감정노동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Emotional Labor on Job Burnout Marine Police Officials)

  • 김종길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721-728
    • /
    • 2015
  • 행정의 패러다임 변화로 경찰행정도 민간부분과 마찬가지로 고객중심 민원서비스제도의 개선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서비스제공자인 경찰공무원도 부정적인 요소인 감정노동이 발생하고 있다. 이 연구는 해양경찰의 감정노동의 정도를 파악하고 감정노동이 직무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해양경찰공무원은 공공부분에 종사하는 다른 공무원과 동일하게 감정노동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감정노동이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해양경찰공무원이 지각하는 감정적 부조화가 고갈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또한 감정적 부조화는 냉소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감정표현의 주의정도는 직업효능감 저하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감정노동이 방치된다면 소진에 영향을 미쳐 조직에 부정적인 영향으로 성과달성에 중대한 장애요인이 될 수 있으며, 또한 개인의 신체적, 정신적으로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한 정책의 시행이 필요하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감정노동 파악 및 개선방안: 초점집단인터뷰 적용 (The Emotional Labor Status and Improvement Plans of Nurses Working in the Integrated Nursing Service Ward: Applying Focus Group Interviews)

  • 김찬희;이선희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7권2호
    • /
    • pp.104-113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emotional labor of nursing personnel working in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ward and to suggest the way service improvement can be achieved. Methods: A total of 28 nurses working in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ward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to conduct focus group interview.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after the interview to perform data analysis in the order of data classification, topic categorization, and keyword derivation. Results: The five categories of subjects and relating keywords drawn from the focus group interviews are as follows: 1) Emotional labor experience: suppressing emotions, expressing emotions or actions that are different from reality, 2) Situations of emotional labor: verbal abuse and assault, sexual harassment, personal needs and errands, 3) Responses to emotional labor: responding directly, responding directly, receiving senior's help, using the organizational system, persevering, 4) Problems caused by emotional labor: work exhaustion, job change intention, job stress, 5) Protection plan against emotional labor: manual or education for nurses, education for patients and carers, compensation, tough sanctions though system strengthening.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although nurses working in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ward generally experience high levels of emotional labor, the problem solving of them relies mainly on personal respons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measures to protect nurses in an organizational level response, thus to improve the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system.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The Degrees of Emotional Labor and the Its Related Factors among Clinical Nurses)

  • 차선경;신이수;김경영;이보영;안수연;장향순;권은정;김덕희
    • 임상간호연구
    • /
    • 제15권2호
    • /
    • pp.23-35
    • /
    • 2009
  • Purpos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degrees of emotional labor and the effects of Type A personality, emotional expressiveness, job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the emotional labor among clinical nurse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clinical nurses working at the general hospital in Seoul. The subjects were selected by quota sampling in consideration of the length of employment and the working units.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286 clinical nurses an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2.0 software Results: The level of emotional labor of the subjects was revealed moderate to high. Significant explanatory variables of the degrees of emotional labor included psychological job load, the lack of job autonomy, and role conflicts. These three variables demonstrated the explanatory power of 11.4% of the emotional labor.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intervention program intervening emotional labor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improve psychological job load, the job autonomy, and role conflicts among clinical nurses.

뇌졸중환자 간병인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Emotional Labor on Burnout for Caregivers of Stroke Patients)

  • 김창숙;김지수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1-38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mpact of emotional labor on burnout in stroke patients' caregive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41 paid caregivers working at 3 hospital across Gyeonggi province from January to April 2014. Results: The caregivers' level of emotional labor showed 2.9/5.0 points and burnout, 2.5/5.0.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among attentiveness to required display rules (p=.007), emotional dissonance (p=.001) and burnout. In a multiple regression, age (${\beta}$=.279, p=.001) and emotional dissonance (${\beta}$=.193, p=.046) were associated with burnout in caregivers. These factors attributed to 16.9% of variance in the burnout of caregiver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burnout in stroke patients' caregivers can be influenced by emotional dissonance as well as physical condition such as age.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be develop support program to deal with mental labor to improve their mental health and lighten their workload for caregivers.

치과위생사의 직무역할 특성과 사회적 지원이 감정노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n the Impacts of Characteristics of role and Social Support of Dental Hygienist on Emotional Labor)

  • 이가령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1707-1715
    • /
    • 2018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업무역할특성과 사회적 지원이 감정노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시도된 조사연구로 울산지역 치과병의원에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들 중 연구에 동의한 103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시행되었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분석은 SPSS Statistics ver 18.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와 ons-way ANOVA,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직무역할 특성과 감정노동과의 관계에서 역할갈등이 높고 역할 모호성이 클수록 감정노동의 강도가 높았고 사회적 지원을 많이 받을수록 감정노동의 강도가 낮게 나타났다. 치과위생사들의 감정노동이 개인적 차원에서 스스로 감정을 잘 관리하는 차원을 넘어 치과병의원에서의 구성원과의 관계 개선을 위한 노력과 치과위생사 업무특성에 따른 명확성과 보다 전문적인 업무 세분화를 통해 해소될 수 있다고 볼 수 있어 이는 치과위생사의 감정노동에 대한 관리방안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본다.

노인일자리전담기관 종사자의 감정노동과 직무만족의 관계: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Labor and the Job Satisfaction of Workers in Senior Employment Agencies: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 이병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2호
    • /
    • pp.463-468
    • /
    • 2021
  •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전담기관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대전과 충청 지역에 소재한 21개 노인일자리전담기관의 종사자 26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분석은 SPSS/AMO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 등을 사용하였다. 노인일자리전담기관 종사자의 감정노동과 직무만족의 관계, 그리고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분석결과를 기초로 하여 노인일자리전담기관 종사자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 몇 가지 방안을 제안하였다. 노인일자리전담기관 종사자들의 감정노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종합적인 감정노동의 관리시스템의 구축, 감정노동을 호소하는 종사자들에게 대한 신속한 상담치료 등과 감정노동에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을 개발해야 한다. 종사자들의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비정규직 비율의 감소, 처우수준의 개선, 셀프리더십의 배양 등이 필요하다.

콜센터 상담원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Occupational Stress and Depression in a Call Center Counselor)

  • 백종태;이후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290-299
    • /
    • 2018
  • 본 연구는 콜센터 상담원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가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자기효능감 및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경로분석을 통해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D도시 4개의 콜센터에서 종사하고 있는 상담원 486명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7년 1월 5일부터 1월 25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설문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 상담원의 우울수준은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군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이 낮은 군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변수 간의 상관관계는 우울수준과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경로모형 분석결과, 우울수준에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은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은 감정노동과 우울수준을 낮추는 매개효과가 있었고, 조직몰입은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수준을 낮추는 매개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콜센터 상담원의 우울수준을 낮추기 위해서는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낮추고,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한 정신건강 중재안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학교 영양(교)사의 개인적 정서특성이 감정노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dividual Emotional Characteristics on Emotional Labor of School Dietitians)

  • 조우정;양일선;최항석;이해영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592-60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individual emotional characteristics (empathetic concern and emotional contagion) on emotional labor (frequency of emotional display, intensity and variety of emotional display,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of school dietitians.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of 309 school dietitians and then analyzed statistically by SPSS 18.0 packag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empathetic concern (3.93) occurred more often than emotional contagion (3.22) in school dietitians. The older (p < 0.001) and more experienced (p < 0.01) they were, the higher empathetic concern they had. It showed that married dieticians (p < 0.001), nutrition teachers (p < 0.01), and dieticians who were working in elementary schools (p < 0.01) had a higher rate of empathetic concern than single dieticians, non-nutrition teachers, and dieticians who were working in middle and high schools, respectively. Their level of emotional labor was the highest in deep acting (3.32), followed by surface acting (3.28), frequency (3.12), intensity and variety (3.09). According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motional contagion proved to be strongly significant and positively related to frequency of emotional display (${\beta}=0.257$, p < 0.001). Both empathetic concern (${\beta}=0.117$, p < 0.05) and emotional contagion (${\beta}=0.162$, p < 0.01) were positively related to intensity and variety of emotional display, and empathetic concern (${\beta}=0.173$, p < 0.01) had also an effect on deep acting.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emotional labor of school dietitians should be managed on the organizational viewpoint, not a personal matter.

일부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감정노동과 자아존중감이 직업정체감에 미치는 융합적 요인 (Convergence factors of emotional labor of clinical practice and self-esteem on professional identity in some dental hygiene students)

  • 최정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99-10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일부 치위생(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임상실습 감정노동과 자아존중감이 직업정체감에 미치는 융합적 요인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전남지역에 소재한 대학 3개교에 재학 중인 치위생(학)과 학생 205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모든 자료는 SPPS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아존중감과 직업정체감은 양의 관계(r=0.366, p<0.01)를 보였지만 임상실습 감정노동과 직업정체감은 음의 관계(r=-0.213, p<0.01)로 나타났다.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직업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 요인은 전공만족도(${\beta}=0.434$), 자아존중감(${\beta}=0.236$) 그리고 임상실습 감정노동(${\beta}=-0.199$)이었다. 설명력은 34.6%의 영향력을 보였다. 따라서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직업정체감 향상을 위하여 전공 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키고 임상실습 시 경험하는 감정노동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