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onal Burnout

검색결과 287건 처리시간 0.027초

외식고객의 고객시민행동과 고객불량행동이 서비스 종업원의 감정부조화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ating-out Customers' Customer Citizenship Behavior and Customer Badness Behavior on Service Employees' Emotional Dissonance and Job Burnout)

  • 박범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342-352
    • /
    • 2020
  • 본 연구는 외식 고객의 고객시민행동과 고객불량행동이 서비스 종업원의 감정부조화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는데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외식종업원 338명을 대상으로 실증조사 후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가설을 검정하였다. 전체적인 연구 결과 첫째, 고객시민행동이 감정부조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객시민행동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객불량행동이 감정부조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고객불량행동이 종업원의 직무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종업원의 감정부조화가 직무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외식고객의 고객시민행동이 서비스 접점에서 종업원의 감정부조화와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외식업에서의 고객시민행동과 고객불량행동의 중요성을 확인시켜 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는 고객의 불량행동이 종업원의 감정부조화와 직무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므로 서비스 담당 종업원의 무조건적인 감정 억제나 고객 우선 중심의 영업 전략을 추구할 시 서비스 품질 저하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종업원과 고객의 우호적인 접점에서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고객시민행동을 촉진시켜 충성스러운 서비스를 통해 공헌 행동을 유발할 수 있는 마케팅 측면에서의 전략적 시스템화가 요구된다.

Wee업무 상담전문인력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직무역량과 감성지능 매개효과 중심 (The effect of Job stress on Burnout of Wee Counseling Specialists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Competency and Emotional intelligence)

  • 임정혜;김미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667-676
    • /
    • 2023
  • 본 연구는 Wee업무 상담전문인력의 직무스트레스, 직무역량, 감성지능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역량, 감성지능의 매개효과를 파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도 지역의 Wee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상담전문인력 104명으로, 2023년 2월부터 4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서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회귀분석, Sobel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Wee업무 상담전문인력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역량은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직무역량은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었고, 설명력은 45.6%이었다(Z=2.96, p=.003). 또한 직무스트레스와 감성지능은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설명력은 44.8%이었으며, 감성지능의 매개효과는 없었다. 이 결과를 기반으로 우리는 Wee업무 상담전문인력의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고 직무역량과 감성지능을 향상시키는 중재가 소진감소에 기여할 수 있고, 또한 직무스트레스 감소 중재에 직무역량 향상을 위한 중재가 반드시 포함되는 체계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함을 제안한다.

The Infl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resilience on Burnout of University Sports Athletes

  • Park, Jong-Hwa;Lee, Jin-Woo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4호
    • /
    • pp.89-97
    • /
    • 2022
  • 본 연구는 대학운동선수들의 감성지능이 회복탄력성과 탈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57명의 선수를 유의표집하여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이상과 같은 과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대학운동선수의 감성지능은 회복탄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운동선수의 감성지능은 탈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운동선수의 회복탄력성은 탈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생활시설 종사자의 소진(消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urnout of the Workers in Elderly Living Facilities)

  • 이인수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4권1호
    • /
    • pp.55-69
    • /
    • 2006
  •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to investigate group differences and determining factors of burnout of the workers in elderly living facilities. In this study, 131 male and female workers composed of social workers, health practitioners, and other management workers were selected among 23 retirement and nursing facilities in Korea between 2003 and 2005. They were asked about their socioeconomic background, working environment, and their perceptions on burnout in the working places. As for main dimensions of the burnout, there were three elements such as emotional weariness, diminishing personal accomplishment, and depersonalized behaviors. Particularly in this study, the depersonalized behaviors were defined as aggressive or rude verbal and behavioral outbursts from anger.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Most workers have medium level of perception on their commitment and burnout, but there. are some risk factors; newly married young workers were less satisfied or fairly rewarded with their job and as a result, they have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emotional weariness but lower feeling of personal accomplishments. In addition, they occasionality practiced aggressive or rude behaviors such as yelling, threatening, and physically harassing As for the influence of determining variables, long-time workers of long established facilities were more satisfied and less burnout. In addition, there are some impacts of job category; health practitioners were more burnout than social workers. In this study, suggestions are made as follows: first, guiding and settlement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or the newly started young married workers, particularly at early stage of their career. Second, future aspects of facility visions should be guided for the workers, so that they are relieved from stressful routines without any future plan. Third, medical workers such as physical therapists and nurses should be further monitored for main reasons of increasing their stress.

노인대상자의 비전문 간호제공자가 경험하는 소진예측요인 : Discriminant Analysis를 이용한 분석 (Predictors of Burnout among Informal Caregivers of Older Adults ; Using Discriminant Analysis)

  • 이해정;송라윤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585-595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edictors of burnout among informal caregivers of older adults. One hundred thirty seven caregivers who had provided care to older adults over 60 years of age for more than one month were included in the study. Most of the caregivers were white (91%) and female (78%). Mean ages of the caregivers were 64 years and 78% of them were married. Seventy percent of the older adults suffered from Alzheimer and related disease. In this study, caregivers reported that they experienced burnout once a month. The scores of emotional exhaustion and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of the caregivers were in the moderate burnout range. To examine the predictors of burnout, discriminant analysis was used. Caregivers were divided by two groups based on the sum of scores (cutpoint=6) on three dimensions of burnout after each dimension was categorized into high(3), moderate(2), and low(1). Nine predictor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 Caregiver's age, employment status,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of the older adult, presence of dementia of the older adult, caregiver's empathy toward the older adult (emotional and cognitive), and 3 coping strategies (negative, problem-focused, cognitive reconstructioning). Caregivers who reported high burnout showed higher cognitive empathy toward the older adults than those who showed low burnout. Caregivers who experienced high burnout used negative coping more often, and cognitive reconstructioning coping and problem focused coping less often than their counterparts. Wilks' Lambda was .78 indicating tha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significant. Cognitive empathy and cognitive reconstructioning coping showed high standardized canonical discriminat function coefficients over .40. Discriminant function with 9 predictors correctly classified 71% of the sample. In conclusion, informal caregivers also experienced certain level of burnout. Cognitive empathy and coping strategies predicted burnout experience of the caregivers. Based on this study, nursing intervention to the informal caregivers to improve their cognitive empathy toward the older adults and to modify their coping strategies in a way to reduce burnout experience can be applied. Further research to develop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s for the purpose of reducing burnout experience by modifying predictors was suggested.

  • PDF

외식업체 종사원들의 감정노동이 직무소진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조절효과 (Influence of Food-Industry Workers' Emotional Labor on the Turnover Intention and Job Burnout: Moder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 김경욱;박영희;이종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158-172
    • /
    • 2016
  • 본 연구는 부산지역 외식업체(뷔페레스토랑, 패밀리레스토랑)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감정노동이 직무소진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직무만족의 조절효과를 검정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통계프로그램 SPSS 21.0과 AMOS 21.0을 사용하여 연구대상자 278명에 대하여 빈도분석, 요인 및 신뢰도분석, 확인적 요인 분석 및 가설검정을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감정노동의 하위요인인 표면행동은 직무소진에 정(+)의 영향관계, 내면행동은 직무소진에 부(-)의 영향관계를 나타내었고, 직무소진은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관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직무만족의 조절효과는 내면행동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부산 지역 외식업체 종사원들이 근무 중 경험하는 감정노동의 하위요인 중 내면행위는 직무소진에 부(-)의 영향관계가 있으므로 내면행동의 증가는 것이 직무소진을 감소시키고 이직의도를 줄일 수 있는 방안임을 입증한 결과이다. 따라서 외식업체 경영주 들은 종사원들에게 교육을 실시하거나 복지를 향상시켜서 종사원들의 감정노동에서 내면행위를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응급실 간호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 요인 (Convergence factors Affecting Burnout of Emergency Room Nurs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노승애;양승애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99-113
    • /
    • 2022
  •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COVID-19 대유행 상황에서 COVID-19 스트레스, 대인관계(보호자-환자) 스트레스,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H 의료원 산하기관 5개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2021년 12월 9일부터 12월 23일까지 시행되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직무 관련 특성, COVID-19 스트레스, 대인관계(보호자-환자) 스트레스, 감정노동, 소진을 측정하기 위해 자기기입식 설문지로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분석, 기술통계분석,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응급실 간호사의 COVID-19 스트레스의 평균은 3.64점, 대인관계(보호자-환자) 스트레스 4.35점, 감정노동 3.38점, 소진 3.44점이었다. 일반적 특성 및 직무 관련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소진은 성별, 결혼상태, 총 임상 경력, 근무 기관 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소진은 COVID-19 스트레스, 대인관계 스트레스, 감정노동과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응급실 간호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 요인으로는 근무 기관 형태 중 권역 응급의료센터, 지역응급의료센터, 대인관계 스트레스, COVID-19 스트레스, 성별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28.6%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신종감염병 대유행 시점에서 응급실 간호사의 소진을 예방하고 간호업무성과를 높이기 위한 중재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교육에서의 소진에 관한 이론적 고찰 (Theoretical Review on Burnout Symptoms in Education)

  • 이상민;안성희
    • 의학교육논단
    • /
    • 제16권2호
    • /
    • pp.57-66
    • /
    • 2014
  • Burnout research has mostly been performed in human service fields. However, it has recently been expanded to cover diverse settings and even non-occupational samples, such as students. In this study, we defined the construct of academic burnout, which is the burnout experienced by students. Next, we described the concept of academic burnout by introducing measurements for assessing academic burnout. On the basis of the demand-control model (DCM) and effort-reward imbalance model (ERIM), which are the most predominant theoretical burnout models, we described the causal factors and the pathway to experiencing academic burnout symptoms. The ERIM was a more influential model than the DCM when explaining the academic burnout of Korean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longitudinal studies on academic burnout, we recognized emotional exhaustion and academic inefficacy as the initial symptoms of academic burnout. Finally, we discussed th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with specific components that should be included in those programs.

감정노동이 직무소진을 매개로 반생산적과업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via Burnout)

  • 강미영;한나영;배상욱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6권1호
    • /
    • pp.309-327
    • /
    • 2017
  • 최근 감정노동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본 연구는 감정노동이(표면행동, 내면행동)이 직무소진(정서적 고갈, 탈인격화, 자아성취감 저하)을 매개로 반생산적과업행동(조직일탈, 개인일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감정노동이 요구되는 콜센터종사자, 백화점판매원, 금융종사자, 병원접점종사자, 호텔접점종사자, 승무원, 고객센터종사자 등을 대상으로 총 350부의 설문지가 배부되었고, 불성실한 응답지를 제외한 300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실증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객접점 종사자들이 직무수행과정에서 선택하게 되는 감정노동의 유형인 표면행동은 직무소진 중 정서적 고갈, 탈인격화, 자아성취감 저하에 모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면행동은 직무소진 중 탈인격화, 자아성취감 저하에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서적 고갈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소진 중 탈인격화와 자아성취감 저하는 모두 반생산적과업행동(조직일탈, 개인일탈)에 모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서적 고갈은 반생산적과업행동(조직일탈, 개인일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PDF

병원 영양사들의 소진과 직무만족 요인 및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and Correlations of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of Dietitians in Hospitals)

  • 윤혜진;이주은;홍완수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6권3호
    • /
    • pp.195-207
    • /
    • 2010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factors and the correlations of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in hospital dietitians. Burnout was classified into three sub-concepts: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and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Job satisfaction was also classified into three sub-concepts, including relationships, self-realization, and advancement opportunitie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dietitians working in general hospitals of over 400 bed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factors that significantly influenced emotional exhaustion were health, work hours, number of intern dietitians, self-esteem, level of responsibility, while the factors that influenced depersonalization were relationships with coworkers, and role ambiguity. Personal accomplishment was influenced by age, the number of staff dietitians, the general number of managed workers, and self-esteem. In terms of job satisfaction, relationship was affected by age and relationships with supervisors, while self-realization was influenced by work hours, health, the number of patient meals, and role ambiguity. Age, job regularity, business management, role ambiguity, and relationships with supervisors also affected advancement opportunities.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and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s, which represented burnout, had negative relationships with satisfaction with relationships, self-realization and advancement opportunities. Dietitians with low job satisfaction were likely to experience burnout. These results suggest that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are influenced by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hat are individual or organizational problems encountered by hospital dietitians. Therefore, managers as well as dietitians need to understand these factors and overcome them through communication and mutual sup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