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on Problem

검색결과 335건 처리시간 0.022초

이익(李瀷)과 신후담(愼後聃)의 사칠론(四七論)에서 중절(中節)의 의미 (The Appropriateness in Yi Yik and Shin Hudam's Theories of Moral Emotion)

  • 홍성민
    • 철학연구
    • /
    • 제141권
    • /
    • pp.313-342
    • /
    • 2017
  • 이 논문은 이익과 신후담의 사칠론에서 중절의 철학적 함의를 해명하고 있다. 논문에 따르면, 퇴계의 사단칠정론에서 사단과 중절한 칠정 사이의 관계 규정은 곤란한 문제로 남겨졌다. 이익은 중절한 칠정의 의미를 새롭게 분석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는 중절한 칠정의 도덕성을 인정하면서도 그것이 사단과 차별적이라는 점을 철학적으로 해명하고자 하였다. 공정무사한 공감자를 설정하여 이 문제를 풀고자 한 것이 그의 해법이었다. 이러한 이익의 생각은 중절의 윤리적 가치에 대해 참신한 재평가를 수행한 것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신후담은 스승 이익의 생각에 반대하면서 중절의 도덕적 가치를 평가 절하하였다. 신후담에 따르면, 성인(聖人)의 공칠정(公七情)과 중절(中節)한 칠정은 다른 것이었다. 성인의 공칠정은 공적 도덕성이 실현된 감정 상태이지만 중절한 칠정은 자연적 욕구와 생리적 기호가 적절한 상태에 놓인 것에 불과한 것이었다. 전자가 이발(理發)이라면 후자는 기발(氣發)인 것이다. 그는 이익에게서 모호하게 표현되었던 성인칠정(聖人七情)을 명백히 공(公)과 사(私)의 두 측면으로 차별화함으로써 퇴계학 전통의 이발(理發)을 한층 강화하였다. 여기에 이르러 사단과 칠정이라는 오래된 구분선은 해체되고 공(公)과 사(私)가 도덕 감정의 기준으로 부각되었다.

만성 관절염 환자의 대응양상에 따른 통증, 우울 및 삶의 질 (The Study of Pai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Coping Strategy in Chronic Arthritis Patients)

  • 양혜주;박정숙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13-221
    • /
    • 2002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in the level of pai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by coping strategy in the chronic arthritis patients. Method: These data were collected by means of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from 90 chronic arthritis patients undergoing treatment at a university hospital in Daegu city from June 10, 2000 to July 15, 2000. The instruments of study were coping strategy scale by Jeon(1985), pain scale by Lee and Song(1987), depression scale by Radloff(1977) and quality of life scale by Cho(1987). Data analysis was done by SPSS Win 10.0 program and Pearson correlation, t-test, Cronbach's-${\alpha}$ were used.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item mean score of pain for chronic arthritis patient was 6.54. The item mean score of depression for chronic arthritis patient was 2.18. The item mean score of quality of life for chronic arthritis patient was 5.69. 2. The chronic arthritis patients with problem-focused coping experienced pain higher than those with emotion-focused coping(t=o.400, p=o.o45). The chronic arthritis patients with emotion-focused coping experienced depression higher than those with problem-focused coping(t=-2.564, p=0.012). The chronic arthritis patients with problem-focused coping experienced quality of life higher than emotion-focused coping(t=-1.682, p=0.046). Conclusion: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any coping strategy can control the arthritis patient's problem. Therfore, The development of a coping strategy to reduce pain and depression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the chronic arthritis patient will be needed.

  • PDF

RBF 커널과 다중 클래스 SVM을 이용한 생리적 반응 기반 감정 인식 기술 (Physiological Responses-Based Emotion Recognition Using Multi-Class SVM with RBF Kernel)

  • 마카라 완니;고광은;박승민;심귀보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364-371
    • /
    • 2013
  • Emotion Recognition is one of the important part to develop in human-human and human computer interaction. In this paper, we have focused on the performance of multi-class SVM (Support Vector Machine) with Gaussian RFB (Radial Basis function) kernel, which has been used to solve the problem of emotion recognition from physiological signals and to improve the accuracy of emotion recognition. The experimental paradigm for data acquisition, visual-stimuli of IAPS (International Affective Picture System) are used to induce emotional states, such as fear, disgust, joy, and neutral for each subject. The raw signals of acquisited data are splitted in the trial from each session to pre-process the data. The mean value and standard deviation are employed to extract the data for feature extraction and preparing in the next step of classification.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proving that the proposed approach of multi-class SVM with Gaussian RBF kernel with OVO (One-Versus-One) method provided the successful performance, accuracies of classification, which has been performed over these four emotions.

형판 벡터와 신경망을 이용한 감성인식 (Emotion Recognition Using Template Vector and Neural-Network)

  • 주영훈;오재흥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710-715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사람의 식별과 감정을 인식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색차 정보에 의한 형판의 위치 인식과 형판 벡터 추출에 기반 한다. 단일 색차 공간만을 이용할 경우 피부색 영역을 정확히 추출하기 힘들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색차 공간을 병행하여 피부색 영역을 추출하며, 이를 응용하여 각각의 형판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사람의 식별과 감정 인식을 위해서 추출된 형판에 대한 각각의 특징 벡터를 신경회로망을 이용하여 학습하여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제안된 방법은 실제 실험을 통하여 그 가능성을 보인다.

Audio and Video Bimodal Emotion Recognition in Social Networks Based on Improved AlexNet Network and Attention Mechanism

  • Liu, Min;Tang, Jun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7권4호
    • /
    • pp.754-771
    • /
    • 2021
  • In the task of continuous dimension emotion recognition, the parts that highlight the emotional expression are not the same in each mode, and the influences of different modes on the emotional state is also different. Therefore, this paper studies the fusion of the two most important modes in emotional recognition (voice and visual expression), and proposes a two-mode dual-modal emotion recognition method combined with the attention mechanism of the improved AlexNet network. After a simple preprocessing of the audio signal and the video signal, respectively, the first step is to use the prior knowledge to realize the extraction of audio characteristics. Then, facial expression features are extracted by the improved AlexNet network. Finally, the multimodal attention mechanism is used to fuse facial expression features and audio features, and the improved loss function is used to optimize the modal missing problem, so as to improve the robustness of the model and the performance of emotion recognition.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concordance coefficient of the proposed model in the two dimensions of arousal and valence (concordance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0.729 and 0.718, respectively, which are superior to several comparative algorithms.

대학생의 감성지능, 회복탄력성, 커뮤니케이션 유형이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Resilience, and Communication Style on Stress Coping in College Students)

  • 박양신;장성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555-566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의 감성지능, 회복탄력성, 커뮤니케이션 유형이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밝혀내는데 목적이 있다. 대학생 303명에 대한 설문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상관관계분석과 다변인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연구문제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감성지능이 높은 대학생일수록 처해진 스트레스 상황에서 문제중심적 대처방식, 사회적지지 추구 대처방식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감성지능 중 감성조절은 문제중심 대처방식과 사회적지지 추구 대처방식에, 감성활용은 정서완화 대처방식에 영향력이 가장 크게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회복탄력성이 높은 대학생일수록 처해진 스트레스 상황에서 문제중심적 대처방식, 사회적지지 추구 대처방식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회복탄력성 요인 중 통제성은 문제중심적 대처방식에, 긍정성은 소망적사고 대처방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사회성은 사회적지지 추구 대처방식에는 정적으로, 정서완화적 대처에는 부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커뮤니케이션 유형에 따라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양성적/능력있는 유형은 문제중심적 대처방식을, 여성적/순응적 유형은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방식, 소망적 사고 대처방식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학 학습에서의 메타-정의 유형 탐색 (Explorating Meta-Affect Types in Mathematical Learning)

  • 김선희;박정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3권3호
    • /
    • pp.469-484
    • /
    • 2011
  • 본 연구는 수학 학습의 정의적 영역에서 메타-정의의 개념을 구체화하고 명확히 하기 위해 메타-정의의 유형을 구분하고, 실제 사례를 보여주었다. 메타-정의는 정의의 모니터링, 감정의 평가, 감정의 조절, 정의의 활용 4가지로 구분되었고, 모니터링 후 평가, 조절, 활용이 시간적 순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감정을 평가하고 조절하는 데 수학과 수학 학습에 대한 신념이 중요한 잣대로 작용하였으며, 메타-정의는 정의를 조절하고 학습 전략을 선정하는 등 수학 학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 PDF

도시 저소득층 주부의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전략척도 개발과 대처행동 조사 (Development of a Korean Coping Strategy Scale and Examination of Urban Low Income Housewives' Coping Strategy)

  • 정문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6권12호
    • /
    • pp.129-143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Korean Coping Strategy Scale and to examine cop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housewives form urban low-income families using this Scale. Two hundred and forty mothers were either interviewed or filled out this Coping Strategy Scale and Demograpic Information Questionnaire. The Coping Strategy Scale consisted of 14 items under 4 dimensions of problem-solving, support-seeking, emotion-regulation/explosion, and abandonment. Item analysis and construct validation were found acceptable. The alpha coefficient of the Scale was 73.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thers used problem-solving most as a coping strategy, followed by supportseeking and emotion-regulation/explosion. Abandonment coping strategy was used least frequently. The demographic variables of mother's and their husbands' age, duration of marriage, income and expenditure per moth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mothers' coping strategies.

  • PDF

2세 남아의 공격적 행동에 대한 놀이치료 사례 (A Case Study of Play Therapy for Aggressive 2 Years Old Boy)

  • 이숙;노명희;최정미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13
    • /
    • 1998
  • This case study was designed to test the effect of eclectic play therapy with parent's counseling and education programs for aggressive 2 years old boy. It was found that the boy had some important problems about emotion control ability, social problem-solving skill, and basic daily living practices adding to aggressive behavior. After the treatment of 10 sessions which taken once in a week, he showed much improved ability about emotion control, social problem-solving skill and basic daily living practices, and didn't show any more aggressive behavior without proper reason. (Korean J Human Ecology 1(1) : 1∼13, 1998)

  • PDF

정서조절 양식과 부모 애착이 청소년의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Emotion Regulation Style and Parent Attachment : Effects on Adolescents' Satisfaction with Life)

  • 유안진;이점숙;정현심
    • 아동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67-181
    • /
    • 2006
  • Subjects were 2192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f Seoul and Kyonggi Province. Data, consisting of a self-report questionnaire, were analyzed by two-way ANOVA, univariate F-tes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Findings were that boys showed more avoidance/distraction and active problem solving styles but less support seeking than girls. Older adolescents reported less parent attachment than younger adolescents; girls reported more mother attachment than boys. Older adolescents reported more life satisfaction than younger adolescents; girls reported more life satisfaction than boys. A higher degree of life satisfaction was reported by subjects with more parent attachment, more active problem solving and less avoidance/distraction styles, by younger adolescents, and by girls. Degree of parent attachment was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adolescents' satisfaction with lif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