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0.20.12.555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Resilience, and Communication Style on Stress Coping in College Students  

Park, Yang-Shin (건국대학교 휴먼이미지학과)
Jang, Seong-Ho (건국대학교 휴먼이미지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resilience, and communication style on stress coping in college students. The research problems were verifi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303 college studen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ollege students who have high emotional intelligence show more problem-focused coping and social-support seeking coping in stressful conditions. Particularly, it is found that managing emotion in emotional intelligence has the greatest effect on problem-focused coping and social-support seeking coping, using emotion influences emotion-focused coping. Second, college students who have high resilience are also found more problem-focused coping and social-support seeking coping in stressful conditions. Especially it is found that controllability has the greatest effect on problem-focused coping, positivism influences wishful thinking coping. Similarly, sociability influences social-support seeking coping and emotion-focused coping. Third, those students who was androgynous with high assertiveness and responsiveness used more frequently the problem-focused coping, those who was feminine with high responsiveness used more frequently the social-support seeking coping and wishful thinking coping.
Keywords
Emotional Intelligence; Resilience; Assertiveness; Responsiveness; Stress Copi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박상희, "예비특수교사의 성격특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회복탄력성과의 관계," 발달장애연구, 제20권, 제3호, pp.63-83, 2016.
2 R. Norton, "Foundation of a communicator style construct,"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4, pp.99-112, 1978.   DOI
3 J. C. MaCroskey and V. P. Richmond, Fundamentals of human communication: An interpersonal perspective, Prospect Heights. Illnois: Waveland Press, Inc., 1996.
4 박혜인, 허경호, "한국형 소통 스타일 하부 차원 개발에 대한 탐색적 연구: 대학생 집단을 중심으로," 한국소통학회, 제15호, pp.7-57, 2011.
5 L. McCallister, I wish I'd said that!, John Wiley & Son, 1992.
6 김경희, 실용음악전공 학생들의 스트레스 지각정도와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긍정심리자본 감성지능, 의사소통능력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국내박사, 2019.
7 유안진, 이점숙, 김정민, "신체상, 부모와 또래애착, 탄력성이 청소년의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3권, 제5호, pp.123-132, 2005.
8 김성은, 김철희, "비서의 감정노동, 직무만족, 이직의도와 회복탄력성간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경영과 정보연구, 제33권, 제5호, pp.261-283, 2014.
9 D. L. Coutu, "How resilience works," Harvard Business Review, Vol.80, No.5, pp.46-55, 2002.
10 양재도, 육군 간부의 스트레스 대처, 회복탄력성과 군 생활 적응과의 관계 연구, 배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11 장해순,"대학생의 자아노출과 공감능력이 스트레스 지각정도 및 대처전략에 미치는 영향,"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제21권, 제3호, pp.5-28, 2013.
12 R. S. Lazarus and S. Folkman,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pringer Publishing Co., NY: Behavioral Science Books, 1984.
13 L. Pearlin and C. Schooler, "The structure of coping,"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19, pp.2-21, 1978.   DOI
14 김정희, 지각된 스트레스 인지세트 및 대처방식의 우울에 대한 작용,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7.
15 P. Salovey and J. D. Mayer,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Vol.9 No.3, pp.185-211, 1990.   DOI
16 C. S. Wong and K. S. Low, "The effects of leader and follower emotional intelligence on performance and attitude: An exploratory study," The Leadership Quarterly, Vol.13, No.3, pp.243-274, 2002.   DOI
17 송주은, 채현주,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수준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차이,"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0권, 제4호, pp.502-512, 2014.   DOI
18 고미숙,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감성지능,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대학 생활 적응,"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제15권, 제10호, pp.280-291, 2015.
19 http://www.naeil.com/news_view/?id_art=274537
20 장해순, "가족 및 사회적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차이," 사회과학연구, 제26권, 제2호, pp.1-20, 2010.
21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906051566398210
22 오미정,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의 대처방법에 대한 인식유형," 아동간호학회, 제6권, 제3호, pp.423-436, 2000.
23 정은주, 직무스트레스와 직무탈진의 관계에서 정서와 대처전략의 조절효과,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24 D. Goleman, Emotional intelligence, Bantam Books, New York, 1995.
25 박형숙, 하재현, 이미헌, 이현주"간호사의 감성지능과 스트레스 대처와의 관계," 기본간호학회지, 제21권, 제4호, pp.466-474, 2014.   DOI
26 C. M. Youssef and F. Luthans,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in the workplace the impact of hope, optimism, and resilience," Journal of Management, Vol.33, No.5, pp.774-800, 2007.   DOI
27 류진숙, 현은민, "청소년의 정서지능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4권, 제1호, pp.209-221, 2006.
28 김주환, 회복탄력성: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유쾌한 비밀, 위즈덤하우스, 2011
29 S. S. Luthar, D. Cicchetti, and B. Becker, "The construct of resilience: A critical evaluation and guidelines for future work," Child Development, Vol.71, No.3, pp.543-562, 2000.   DOI
30 신우열, 김민규, 김주환, "회복탄력성 검사 지수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제20권, 제4호, pp.105-131, 2009.
31 B. M. Gillespie, W. Chaboyer, M. Wallis, and P. Grimbeek, "Resilience in the operating room: Developing and testing of a resilience model," J. Advance Nurs, Vol.59, No.4, pp.427-438, 2007.   DOI
32 방미영,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감성지능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33 정윤화, 이경희, "간호대학생의 폭력경험, 대처양식 및 회복탄력성이 정서반응과 임상실습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4권, 제3호, pp.391-399, 2016.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