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ergency phone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28초

전화상담원 도움이 심폐소생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Dispatcher-assistance o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Performance)

  • 피혜영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5-12
    • /
    • 2010
  • Purpose : The comparative effectiveness of without dispatcher-assisted telephone instruction CPR but received lectured and training(NDCPR) and without received lectured and training CPR but dispatcher-assisted telephone instruction(DCPR) in CPR. Methods : The CPR instruction to 774 students and faculties in universities and colleges. There selected without dispatcher-assisted telephone instruction CPR but received lectured and training(NDCRP) and without received lectured and training CPR but dispatcher-assisted telephone instruction(DCPR). Compare the effectiveness to sills performance of DCPR and NDCPR students and faculties of according to the CPR. Results : 397(51%) students and faculties was DCPR and 377(49%) students and faculties was NDCP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compression depth, hand position, adequacy of recoil, volume of ventilation, self-confidence, and willingness to do CPR between the two instructional methods. Conclusion : Under the guide of dispatcher-assisted CPR instruction integrated into mobil phone, novice could perform more effective CPR. This method could be used as a supplement to CPR practice and skill retention.

  • PDF

네트워크 CCTV와 스마트 단말기를 연동한 이동체 추적 시스템 (Moving Object Tracing System using Network-connected CCTV and Smartphone)

  • 임승균;이상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519-529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CCTV와 스마트 단말기를 연동한 이동체 추적 시스템을 소개한다. 긴급 상황 발생 시 신고자의 단말기는 GPS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중앙 서버로 전송한다. 중앙 서버는 신고자 위치를 위험지역으로 저장하고 신고자 촬영이 가능한 CCTV를 선택하여 추적촬영 명령을 한다. 동시에 보호자 및 유관기관에 신고자의 CCTV영상을 전송하여 신속한 대처를 할 수 있게 한다. 신고자가 주변 및 목적지의 위험 여부를 알고 싶을 때 중앙 서버에서 위험지역 정보를 알려줌으로써 신고자 스스로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긴급 매뉴얼 저장용 저전력 메모리 태그의 설계 (Design of A Low Power Memory Tag for Storing Emergency Manuals)

  • 곽노섭;은성배;손경아;차신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293-300
    • /
    • 2020
  • Since the communication networks like the Internet collapses at disaster and calamity sites, a maintenance system that can be operated offline is required for the maintenance of various faciliti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system that memory tags attached on the facilities may transmit the emergency manual to a smart-phone, and the smart phone displays it off-line. The main issue is to design low energy mode memory tags. This study presents two kinds of methods and analyzes each's energy consumption mode. The first one is to develop memory tags by using one chip, and the next one is to design memory tags by forming multi-modules. Both ways show proper application fields under the low energy mode. This research selects the off-line maintenance system by using one chip design, and proposes the direction of contents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And we expect that this memory tags will be valuable for disaster scenes as well as battle fields.

일반인 응급 상황 경험자의 심폐소생술 교육 및 수행에 대한 특성 고찰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Education & Performance by Bystanders in an Emergency)

  • 강경희;김윤미;이희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378-386
    • /
    • 2010
  • 최근 응급상황에서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수행 능력에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응급 상황을 경험한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교육 경험과 심폐소생술 수행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자료는 2008년 중앙응급의료센터에서 2000명 대상의 성인을 조사한 것으로 응급상황을 경험한 최종 169명을 대상으로 전화 설문조사 하였다. 응급 상황에서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고 수행한 사람은 13.6%로 나타났고, 교육을 받았으나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지 못한 경우는 23.6%, 심폐소생술 교육 경험이 없는데 수행한 사람은 7.1%, 교육받지 않고 심폐소생술도 시행하지 않은 경우는 55.6%로 나타났다. 특히 교육경험이 있으면서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지식(p=0.001), 1339 번호 인지(p=0.006) 및 이용경험(p=0.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적 특성이나 경제적 조건을 반영한 다양한 심폐소생술 교육 전략이 필요하다 하겠다.

Relation of Handwashing and Isolate of Bacteria from Mobile Phones of Healthcare Workers in a University Hospital

  • Choi, Min-Gyu;Kim, Sang-Ha;Park, Kyu-Ri;Kim, Young-Kwon;Kim, Jungho;Yu, Young-Bin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10-316
    • /
    • 2021
  • Mobile phones used by healthcare workers are not only an indicator of the contamination of healthcare associated bacteria, but can also be another source of infection. The number and time of handwashing, mobile phone operation time and disinfection were highly relation with the bacterial contamination on the surface of mobile phone. Healthcare associated bacteria isolated from the mobile phone surface were 28 MRCoNS (48.3%), 14 S. aureus (24.2%), 3 MRSA (5.2%), 5 A. baumannii (8.6%), 3 MRAB (5.2%), 3 Entrococcus spp. (5.1%), 2 Pantoea spp. (3.4%), 2 A. lowffii (3.4%), 1 E. cloacae (1.7%), 1 P. stutzeri (1.7%), and P. mirabillis (1.7%). For isolation according to department, 2 MRAB from the emergency room and 1 MRSA from intensive unit, the radiology team and the rehabilitation medical team, respectively were isolated. As a result of the relation of isolates from the department of patient contact (ER, RT, GW, CP, ICU, RMT), the bacterial isolation rate was 75% and the department of patient non-contact (MRT) was 10%.

학습자의 스마트폰 제어를 위한 아이스마트키퍼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I_smart_keeper for the Learner's Smart Phone Control)

  • 한규정;허재영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253-26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학교와 가정에서 학생들의 스마트 폰을 제어 할 수 있는 서비스인 아이스마트키퍼를 개발하였다. 이 서비스의 구현은 서버, 교사 앱, 부모앱, 학생앱 등으로 구성하였고, 학교에서의 스마트폰 제어는 학교일일시정표와 위치기반(GPS, Global Positioning System)으로 동작된다. 즉 학교의 주관리자가 미리 설정된 시간에 따라 학생의 스마트폰은 6가지 정책중 하나로 동작된다. 6가지 정책은 비상전화만 허용, 특정앱허용, 전화만허용, 전화/문자허용, 모두허용, 모두잠금 등이다. 이런 6가지 정책은 수업시간에 교사의 스마트폰으로 임시정책에 의해서 실시간으로 변경이 가능하며 특히 특정앱허용의 정책을 활용하면 수업에 유용한 앱만을 가지고 수업이 가능하다. 또한 학생들이 수업시간에 조퇴 등으로 학교위치를 벗어난 경우에는 위치기반으로 학생들의 스마트폰이 학교 정책을 적용받지 않게 된다. 그리고 학생들의 스마트폰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스마트건강지수를 5가지 유형중 하나로 표시하여 학생들의 건강한 스마트폰 사용을 유도하였다. 또한 가정에서도 부모앱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스마트폰 사용을 제어 할 수 있다. 본 서비스의 도입으로 학교에서는 스마트폰을 수거하지 않고 도난에 따른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다. 현재 1개 초등학교는 전체학생이 사용 중이며 3개 초등학교가 시험 실시중이다. 시험실시결과 교사의 만족도는 매우 높았고 적극적으로 수업에 활용하는 교사의 비율이 높았다. 학생들의 설문 조사 결과 만족도가 높았다.

실시간 무선 원격 제어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altime Wireless Remote Control Systems)

  • 이문구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6권6호
    • /
    • pp.63-69
    • /
    • 2009
  • 인터넷의 탈 중심적, 개방적인 특징과 이동통신의 이동성, 휴대성 그리고 인터넷과 이동통신의 양방향성 이라는 특징 및 장점들의 접목은 우리생활에 무선 인터넷을 탄생하게 하였으며, 생활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그러나 기존 유선상의 웹 기반인 시스템 관리 소프트웨어 솔루션들은 시간적, 공간적 제약과 오류사항에 대한 통보가 불확실하거나 신속한 지원요구 및 실시간 긴급조치가 어렵다는 문제점들을 갖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통신기기(휴대폰, PDA, Smart Phone, Webpad)를 이용하여 원격시스템을 관리 및 모니터링하고 실시간으로 원격지의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는 실시간 무선 원격제어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구현된 실시간 무선 원격제어 시스템은 모바일 장비를 이용하여 원격지 서버 관리 기능, 장애 및 이벤트 통보기능, 로그기록 기능, 인증기능 그리고 클라이언트 트랜잭션별 시스템 성능평가 기능 등을 제공한다.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생활스트레스에 따른 죽음인식태도와 생명윤리의식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Correlation between death attitude and life ethics,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life stress among paramedic department students)

  • 김승희;김정선;이효철;고대식;이미림;강광순;김철태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03-115
    • /
    • 2020
  • Purpose: This descriptive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wareness and life ethics awareness, according to life stress, among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paramedics. Methods: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using means and frequency,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military models were analyzed using the χ2-test and t-test by dividing them into lower and higher groups based on the mean life stress score (99.76 points). Results: Those with high life stress had higher death awareness than those with low life stress at 114.11 points. In contrast, those with low life ethics experienced more severe life stress with a score of 145.61 points (t=-2.609, p=.010)(t=-2.953, p=.003). The death recognition attitude and bioethics according to the degree of living stress-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low and high groups (r=.188, p=.043) (r=.201, p=.042). Conclusion: Paramedic students require education on how to cope with life stress. However, access to education is limited to people living in modern times. As a potential solution to this problem, observing videos on the Internet is recommended. Moreover, we suggest accessing Internet and smart phone applications for advertising/educational purposes.

신체억제대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 태도, 지식 및 교육경험과 교육요구도 조사 (Recognition, attitudes, knowledge, education experience, and education demand regarding physical restraint among laypersons)

  • 한다연;김철태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7-22
    • /
    • 2018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recognition, attitudes, knowledge, education experience, and education demand regarding physical restraint among laypersons.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105 randomly recruited laypersons in D city. Excluding 2 incomplete answers, 103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and chi-square test using SPSS 23.0. Results: Laypersons' recognition of physical restraints was rated at 3.37 out of 5 points, and showed a positive perspective. Knowledge on physical restraints was rated at 13.68 out of 18 points and was affected by age and education level (F = 2.845, p = .028)(F = 3.126, p = .029) A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had no education on physical restraints. Nevertheless, participants showed intention to receive education in physical restraint to reach further understanding. Conclusion: Education on physical restraints is necessary for lay persons. However, there were education limits for people living in modern times. As an intervention addressing this problem, observing videos on the internet is recommended. Moreover, for advertising/educational purposes, accessing the internet and using smart-phone applications are suggested.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WAP 기반 행동 모니터링 시스템 (Behavior Monitoring System based on WAP for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 김택현;이희영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
    • /
    • pp.2565-2568
    • /
    • 2003
  • This paper presents a behavioral data monitoring system based on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service for the 24-hour continuous health state monitoring of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The developed system transmits a character message to the predefined mobile cell phone through SMS service when an emergency state takes place. Simultaneously, the image captured by a CCD camera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computer installed WAP service program. Then, the user of the cell phone who received he message can access the server and open the transmitted image. This system can be used for the effective health monitoring of the elderly and disabl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