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utherococcus senticosus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26초

가시오갈피 현탁배양 체세포배의 저온장기저장 및 식물체 재분화 (Long-Term Cold Storage and Plant Regeneration of Suspension Cultured Somatic Embryos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im)

  • 이성호;임정대;허권;김명조;이찬옥;이재근;최학숙;유창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494-499
    • /
    • 2004
  • 체세포배발생을 이용한 가시오갈피 대량증식체계 확립을 위하여 저온처리에 의한 체세포배의 장기저장 실험을 수행하였다. 현탁배양 체세포배의 $4^{\circ}C$에서의 저온저장에는 구형배 이전의 조기단계의 체세포배가 적합하였고 $2\;g/{\ell}$ 이하의 낮은 접종밀도에서는 36개월 이상 저장이 가능하였다. 장기간 저온 저장한 체세포배는 상온에 옮긴 후 2,4-D를 첨가한 배지에서만 성장을 회복하여 배발생캘러스를 형성하였으며 배발생캘러스의 증식속도는 배양온도를 $32^{\circ}C$로 높였을 때에 가장 효율적이였다.

RAW 264.7 대식세포에서 산지별 가시오가피 줄기 추출물의 면역 증강 효과 (Immunomodulatory Effect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Stem Extract by Cultivars in RAW 264.7 Macrophage Cells)

  • 최예은;양정모;정채원;유희원;조현덕;조주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44-53
    • /
    • 2024
  • 본 연구는 국내산 가시오가피의 건강기능식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산지별 채취한 가시오가피의 유효물질 함량 및 면역 증강 효과을 평가하였다. 태백, 철원, 삼척, 강원도 농업기술원에서 수확한 가시오가피의 지표성분인 eleutheroside B 및 eleutheroside E의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면역 증강에 대한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MTT 세포독성 평가, NO 생성량과 cytokine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지표성분 eleutheroside B의 함량은 채취 지역별로 70%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2.96±0.11-6.24±0.05 mg/g로 태백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열수 추출물에서는 1.11±0.05-2.11±0.03 mg/g로 태백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Eleutheroside E 함량은 채취 지역별로 70%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4.93±0.20-10.79±0.03 mg/g을 나타냈으며 철원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고, 열수 추출물에서는 1.75±0.14-3.64±0.05 mg/g로 철원과 농업기술원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또한, eleutheroside B 및 E 함량은 열수 추출물보다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더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채취 지역별 가시오가피의 70% 에탄올 추출물은 50-200 ㎍/mL 농도에서, 열수 추출물은 100-500 ㎍/mL 농도에서 RAW 264.7 대식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대식세포의 활성화로 방출되는 NO 성성량을 측정한 결과, 가시오가피 줄기 추출물에서 NO 생성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TNF-α, IL-6, IL-1β을 포함하는 cytokine의 방출을 측정한 결과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냈다. 따라서 가시오가피 줄기는 면역 관련 질환의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가시오갈피 개갑종자의 저온처리에 의한 발아 묘목의 생육특성 (Dehisced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Affected by Chilling Period in 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im.)

  • 이성호;임정대;김명조;허권;유창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347-351
    • /
    • 2003
  • 가시오갈피종자의 적정파종기를 구명하기 위하여 개갑종자의 저온처리기간에 따른 발아율을 조사하고 파종시기에 따른 묘목의 생존율과 생육정황을 조사하였다. 1. 채종하여 $15^{\circ}C$에서 140여일 간 모래로 층적저장한 종자는 냉장온도 $(5^{\circ}C)$에서 10일부터 발아하기 시작하여 85일까지 개갑종자는 93.7%, 비개갑종자는 26.1%가 발아하였다. 개갑종자와 비개갑종자 모두에서 85일 이후에 는 발아율의 증가가 둔화되었다 2. 유묘출현율, 생존율, 묘소질을 비교한 결과 5월 11일 이전에 저온에서 발아한 종자를 포트에 가식하는 것이 적정하였다. 3. 저온처리중 발아종자 길이 에 따른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는 하배축이 $0.5{\sim}2$ cm 신장하였을 때 파종한 처리구의 생존율이 가장 높았다. 4. 발아종자의 생존율은 50%차광처리에서 30% 차광보다 10배 높게 나타났다. 5. 4월 10일과 5월 11일 사이에 파종하는 것이 묘의 생육에 가장 좋으며 적정 파종시기를 지나치더라도 적절한 관리대책만 따라가면 4월부터 8월까지 거의 모든 생육기간중에 발아종자 파종이 가능하였다.

Molecular Authentication of Acanthopanacis Cortex by Multiplex-PCR Analysis Tools

  • Kim, Min-Kyeoung;Jang, Gyu-Hwan;Yang, Deok-Chun;Lee, Sanghun;Lee, Hee-Nyeong;Jin, Chi-Gyu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80-686
    • /
    • 2014
  • Acanthopanacis Cortex has been used for oriental medicinal purposes in Asian countries especially in Korea and China. In the Korean Pharmacopeia, the cortexes of the dried roots, stems and branches of all species in Eleutherococcus and 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are known as 'Ogapi'. Mostly the cortexes of E. gracilistylus roots and E.senticosus roots were used as 'Ogapi' in China and Japan, respectivel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and compare the molecular authentication of Korean 'Ogapi' by using the ribosomal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The ITS region has the highest possibility of effective and successful identification for the widest variety of molecular authentication. The ITS region was targeted for molecular analysis with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specific for morphologically similar to E. gracilistylus, E. senticosus, E. sessiliflorus from their adulterant, moreover, E. sieboldianus were detected within sequence data. Thus, based on these SNP sites, specific primers were designed and multiplex PCR analysis were conducted for molecular authentication of four plants (E. gracilistylus, E. senticosus, E. sessiliflorus, and E. sieboldianus). The findings of results indicated that ITS region might be established multiplex-PCR analysis systems and hence were proved to be an effective tools for molecular evaluation and comparison of 'Ogapi' with other plants.

가시오가피의 종자 후숙처리시 배의 생장과 개갑 특성 (Characteristics of Embryo Growth and Dehiscence during the After-ripening Period in Eleutherococcus senticosus)

  • 박호기;박문수;김태수;김선;최경구;박기훈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673-677
    • /
    • 1997
  • 가시오가피 종자는 채종직후 미분화 상태의 배로 발아를 위해서는 후숙이 필요하다. 가시오가피 종자의 후숙을 위하여 습윤층적처리한 후 미분화 배의 생장과 개갑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시오가피의 내과피를 포함한 종자의 형태는 길이 7.1$\pm$0.9mm, 폭 3.0$\pm$0.3mm, 두께 1.47$\pm$0.12mm 정도이었으며 1,000 입중 18.5$\pm$1.9g 정도이었다. 2. 가시오가피 종자의 후숙전 0.30$\pm$0.06mm 정도이며 배장율은 .4.8%의 미분화 배로 층적처리 20일 전후에 배의 생장이 시작되었고 40일 전후에 배축과 자엽이 분화되었다. 3. 후숙기간과 배장율과는 높은 정의 상관(r=0.845)을 보였으며 배의 생장은 층적처리 후 60~80일 사이에 급격히 증가하였고 후숙 80일 이후에는 증가폭이 다소 둔화되었다. 4. 가시오가피 종자는 배가 어느 정도 생장하면 종피의 봉선이 터져 열개되는 개갑종자이었으며 배장율 60~70%에서 가장 높은 개갑빈도를 나타냈다. 5. 개갑율은 후숙 40일에 15.3%가 개갑되었고 60일 이후 개갑율이 급격히 증가되었으며 후숙 150일에 76.5%가 개갑되었다.

  • PDF

Comparison of Cryoprotectants and Cryopreservation Protocols for Eleutherococcus senticosus via Somatic Embryogenesis

  • Ahn, Chang Ho;Shin, Jung Won;Lee, Ha Na;Yoon, Hyun Won;Seo, Jeong Min;Kim, Yeoung Ryul;Baek, Saeng Geul;Nam, Jae Ik;Choi, Yong Eui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8권3호
    • /
    • pp.152-158
    • /
    • 2022
  • A cryopreservation is an essential tool for preservation of germplasm. In this study, the possibility for cryopreservation of embryogenic cells of Siberian ginseng (Eleutherococcus senticosus) in liquid nitrogen (-196℃) was evaluated. The effects of glycerol and dimethyl sulfoxide (DMSO) at different concentrations (5%, 10% and 20%) as cryoprotectants on regrowth of cryopreserved E. senticosus embryogenic cells were tested. There was significant effect of cryoprotectants on regrowth of embryogenic cells (p=0.0019). The highest and lowest fresh mass gain were achieved when embryogenic cells were frozen with 10% DMSO and 5% glycerol (138.2±5.9 and 61.3±14.6, respectively). The effect of the cryoprotectants on the frequency embryo germination was test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lycerol and DMSO (p=0.846). Three different concentrations of cryoprotectant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frequency embryo germination (p=0.534). Finally, the genetic fidelity of the plantlets regenerated from non-cryopreserved and cryopreserved embryogenic cells was tested by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nd inter simple sequence repeat (ISSR) analysis. RAPD and ISSR analysises showed that there was no genetic variation among regenerants.

가시오갈피에서 발생하는 주요 병해충 특성 (Characteristics of Major Diseases causing 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

  • 이재홍;정햇님;강안석;최강준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99-202
    • /
    • 2007
  • 가시오갈피에 발생하는 다양한 병해충을 분리, 동정하여 가시오갈피의 지속적인 안전재배를 위한 병 ${\cdot}$ 해충방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가시오갈피에 발병하는 병원균을 분리동정한 결과 Phoma sp., Rhizoctonia solani, Botrytis cinerea 등 3종으로 밝혀졌으며, 병징의 특징에 따라 각각 검은무늬병, 잎마름병, 잿빛곰팡이병으로 명명하였다. 병원균에 의한 가시오갈피의 피해는 Phoma sp.에 의한 검은무늬병이 가장 컸으며, 개체별 병징의 형태나 병발생의 차이는 있었지만 6월 초부터 병반이 관찰되어 9월부터 병반면적이 30%를 넘어 계속 확대되었다. 수집균주의 배양온도별 균사생장량을 검토한 결과 균주 모두 $25^{\circ}C{\sim}30^{\circ}C$에서 생장량이 가장 많아, 여름 고온기에 많이 발생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해충별 발생시기 및 가해부위를 보면 진딧물은 6월 10일부터 관찰되어 어린 줄기를 흡즙하였고, 8월 상순에 다시 발생해 새로 분화되는 어린 화아에 집중적으로 발생하여 흡즙하였으며 노린재와 끝검은말매미충은 8월하, 6-7월에 각각 나타났으나 피해는 관찰되지 않았다.

숙지황과 가시오가피 복합추출물(OPB)이 난소절제 흰쥐의 골밀도 및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erbal Formulation (OPB), Rehmannia Glutinosa Libosch and 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 Extracts on Bone Density and Bone Biochemical Marker in Ovariectomized Rats)

  • 김정근;김세원;이병의;황현환;권종석;고선일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1호
    • /
    • pp.35-43
    • /
    • 2007
  • 본 연구는 숙지황과 가시오가피 복합추출물 (OPB)이 난소절제 흰쥐의 골밀도 및 골대사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13주된 20마리의 Sprague-Dawley 암컷 흰쥐를 대조군과 실험군으로 나누었고, OPB의 골밀도 및 골대사 변화에 대한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난소절제 후 3일 후부터 OPB를 100 mg/kg씩 8주 동안 경구투여 하였다. pQCT 방식으로 골밀도, 골함유량, 골강도를 측정하였고, 혈청 중 CTx (C-telopeptide of type I collagen)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난소절제 후 대조군의 골밀도는 $-29.8{\pm}3.0%$로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이러한 감소는 OPB의 투여에 의해 $-21.4{\pm}2.3%$로 억제되었다. 골강도의 변화에서는 anti-fracture 값과 anti-twisting 값이 대조군에 비해 OPB 처리군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혈청 중 골흡수 지표인 CTx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OPB 처리군에서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숙지황과 가시오가피의 복합 추출물인 OPB가 난소를 절제한 흰쥐에서 골 소실을 억제하므로 임상에서 난소절제 후 또는 폐경 후 골다공증의 개선제로 이용될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가시오갈피나무 부정근(不定根) 배양(培養)에서 부정근(不定根)의 생장(生長)과 Eleutheroside유(類)의 생산(生産)에 미치는 Jasmonic acid처리(處理)의 영향 (Effect of Jasmonic Acid on the Root Growth and the Eleutheroside Accumulation in the Adventitious Root Culture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 안진권;이위영;박응준;박영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3호
    • /
    • pp.249-254
    • /
    • 2008
  •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가시오갈피 부정근 배양시에 jasmonic acid를 농도별 (0, 0.01, 0.05, 0.1, 03, 0.5 mg/L)로 처리하여 부정근의 생장과 eleutheroside류 생산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Jasmonic acid 처리농도별 부정근의 생장은 무처리구에서 4.6 g Dry weight (DW)/L로 가장 높았으며 jasmonic acid 농도가 증가할수록 부정근 생장은 감소하였다. 그러나 eleutheroside B와 E의 함량은 jasmonic acid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여 0.5 mg/L 처리구에서 각각 $476.3{\mu}g/g\;DW$, $676.0{\mu}g/g\;DW$로 생산량이 가장 많았다. 반면에 eleutheroside $E_1$은 0.01 mg/L 처리구에서 $46.1{\mu}g/g\;DW$로 생산량이 가장 많았다. 배지 1L당 eleutheroside류의 총생산량은 0.01 mg/L 처리구에서 $2468.6{\mu}g/L$를 생산하여 가장 우수하였다. 0.1 mg/L의 jasmonic acid 처리 후 10일간 eleutheroside류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 eleutheroside B는 jasmonic acid처리 후 6일째, eleutheroside E는 처리 후 8일째, eleutheroside $E_1$은 처리 후 4일째 각각 가장 많은 생산량을 보여 주었다.

가시오갈피나무 부정근(不定根) 배양(培養)에서 부정근(不定根)의 생장(生長)과 Eleutheroside류(類)의 생산(生産)에 미치는 Methyl jasmonate 처리(處理)의 영향 (Effect of Methyl Jasmonate on the Root Growth and the Eleutheroside Accumulation in the Adventitious Root Culture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 안진권;이위영;박응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3호
    • /
    • pp.331-336
    • /
    • 2010
  •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가시오갈피 부정근 배양시에 methyl jasmonate를 농도별 (0, 5, 10, 20, 40 및 80 ${\mu}M$)로 처리하여 부정근의 생장과 eleutheroside류 생산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Methyl jasmonate 처리농도별 부정근의 생장은 무처리구에서 5.4 g dry weight(DW)/L로 가장 높았으며 methyl jasmonate 농도가 증가할수록 부정근 생장은 감소하였다. 그러나 eleutheroside B의 함량은 methyl jasmonate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여 40 ${\mu}M$ 처리구에서 각각 359.9 ${\mu}g$/g DW로 생산량이 가장 많았다. 반면에 eleutheroside E와 $E_1$은 10 ${\mu}M$ 처리구에서 각각 798.1 ${\mu}g$/g DW, 19.7 ${\mu}g$/g DW로 생산량이 가장 많았다. 배지 1 L당 eleutheroside류의 총생산량은 10 ${\mu}M$ 처리구에서 3818.1 ${\mu}g$/L를 생산하여 가장 우수하였다. 20 ${\mu}M$의 methyl jasmonate 처리 후 15일간 eleutheroside류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 eleutheroside B는 methyl jasmonate처리 후 12일째, eleutheroside E는 처리 후 3일째, eleutheroside $E_1$은 처리 후 9일째 각각 가장 많은 생산량을 보여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