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utherococcus senticosus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42초

가시오가피의 거목번식방법(揷木繁殖方法) (Cutting Propagation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IM)

  • 박호기;박문수;김태수;최인녹;장영선;김규성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33-139
    • /
    • 1994
  • 가시오가피(五加皮) (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IM)는 강장(强壯), 강간(强肝), 혈당강하(血糖降下). 항(抗)스트레스, 스테미너 보강등(補强等)에 효과(效果)가 있는 식물(植物)로 강원도 북부(北部) 및 덕유산(德裕山)에 자생(自生)하고 있으나 계식기술(繫繫殖技術)이 거의 개발(開發)되어 있지 않아 묘목(苗木)을 대량(大量) 생산(生産)키 위하여 삽목계식에 대한 일연(一連)의 시험(試驗)을 $1990{\sim}1992$년(年) 수행(遂行)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발근촉진제(發根促進劑) 처리(處理)에 의한 삽목후 Callus 형성(形成) 및 발근율(發根率)은 Rootone-F 분의처리(粉衣處理)가 IAA, NAA 및 IBA보다 양호(良好)하였다. 2. 삽수의 발근억제(發根抑制) 물질(物質) 제거처리(除去處理)는 삽목후 처리간(處理間) 차리(差異)가 없는 점으로 보아 억제물질(抑制物質)은 없는 것으로 판단(判斷)되었다. 3. 삽목시 발근(發根)이 잘되는 상토(床土)는 Perlite(1):Vermiculite(1)가 40%로 가장 좋았으며, 모래는 12%, 황토(黃土)에서는 전혀 발근(發根)되지 않았다. 4. 삽목시기(揷木時期)는 가시오가피(五加皮)는 9월(月) 20일(日)(반숙지삽(半熟枝揷)),지리오가피(五加皮)는 7월(月) 20일(日)(녹지삽(綠枝揷)) 또는 9월(月) 20일(一) 반숙지삽(半熟枝揷)에 삽목하는 것이 가장 좋았으며, 당오가피(五加皮)는 삽본시기 및 삽수에 관계(關係)없이 발근(發根)이 잘 되었다.

  • PDF

가시오갈피(Eleutherococcus senticosus) 잎으로부터 α-Glucosidase의 저해 활성 물질, Hyperoside와 Isoquercetin의 분리 및 구조·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α-Glucosidase Inhibitory Compounds, Hyperoside, and Isoquercetin from Eleutherococcus senticosus Leaves)

  • 이기연;홍수영;정혜정;이재형;임상현;허남기;김성문;김희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2호
    • /
    • pp.1858-1864
    • /
    • 2014
  • 가시오갈피 잎에 함유된 ${\alpha}$-glucosidase의 저해 활성 물질의 분리를 위하여 가시오갈피 잎 80% 에탄올 추출물을 극성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순차 분획하고 각 분획층을 ${\alpha}$-glucosidase의 저해 활성 효과를 측정한 결과, EtOAc 층이 68.05%로 가장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EtAOc 분획층을 MPLC를 이용하여 fractionation-directed isolation을 수행하고 최종적으로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이 93.60%로 가장 우수하게 나타난 EAHC 분획물을 얻었다. EAHC 분획물을 prep-LC/MS로 분석하여 EAHCA와 EAHCB로 분리 정제하였다. EAHCA 분획물의 화학구조를 구명하기 위하여 $^1H$-NMR, $^{13}C$-NMR로 분석한 결과, 분자량 464.38 g/mol, 화학구조식 $C_{21}H_{20}O_{12}$인 hyperoside로 확인되었다. EAHCB 분획물의 화학구조를 구명하기 위하여 $^1H$-NMR, $^{13}C$-NMR로 분석한 결과, 분자량 464.38 g/mol, 화학구조식 $C_{21}H_{20}O_{12}$인 isoquercetin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 가시오갈피 잎으로부터 분리 동정된 hyperoside와 isoquercetin은 ${\alpha}$-glucosidase의 저해 활성 물질을 가진 화합물로 향후 혈당조절용 건강식품 또는 치료제 개발을 위한 물질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with the squalene synthases gene derived from panax ginseng

  • Seo, Jin-Wook;Jeong, Jae-Hun;Han, Sung-Tai;Lee, Hak-Sung;Choi, Yong-Eui;Shin, Cha-Gyun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145.3-146
    • /
    • 2003
  • Transgenic Eleutherococcus senticosus plants were prepared by introducing the genes for squalene synthase (SQS), hygromycin phosphotransferase (HPT) and green fluorescent Protein (GFP) through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The enzyme, SQS, represents a putative branch point in the isoprenoid pathway capable of diverting carbon flow specifically to the biosynthesis of phytosterol and oleanolic acid. The full SQS gene was isolated from P. ginseng roots. Early globular embryo clusters developed from embryogenic callus were used as the explant source. (omitted)

  • PDF

오가피로부터 분리된 조다당 분획물의 면역자극활성 및 Cisplatin과의 병용에 의한 항암 상승작용의 유도 (Immunostimulation Activity of the Crude Polysaccharides Fractionated from Eleutherococcus senticosus, and its Application to Prevent of Tumors by Combination Therapy with Cisplatin)

  • 하은숙;황수현;유광원;신광순;조형민;김창한;박우문;윤택준
    • 약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59-166
    • /
    • 2003
  • In order to study the clinical usefulness of crude polysaccharides fractionated from Eleutherococcus senticosus, EN-3, in eliminating tumors, we have investigated the effect of combination therapy on the murine tumor metastasis and growth models. In experimental metastasis of colon26-M3.1 cells, prophylactic intravenous (i.v.) administration of EN-3 (0.5, 5, and 50 $\mu\textrm{g}$/mouse) inhibited tumor metastasis compared with tumor control group in 33.6, 66.8, and 81.8% respectively. The administration of EN-3 (50 $\mu\textrm{g}$/mouse) also exhibited a 66.1% therapeutic effect on lung tumor metastasis. Although EN-3 induced no toxic effect on both tumor cell and normal splenocyte in the concentration below 100 $\mu\textrm{g}$/mι in in vitro, it induced significant proliferating activity on normal splenocyte in the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 an analysis of NK-cell activity, i.v. administration of EN-3 (4∼100 $\mu\textrm{g}$/mouse) significantly augmented NK cytotoxicity to YAC-1 tumor cells. The combination treatments of cisplatin (10 $\mu\textrm{g}$) and EN-3 (5 $\mu\textrm{g}$) induced synergistic effect on the inhibition of tumor metastasis in experimental tumor metastasis model produced by colon26-M3.1 cells. In addition, the combination treatments also exhibited prolongation of lifespan in S∼180 tumor bearing mouse for over the 60 days. Even though cisplatin (2.5 $\mu\textrm{g}$/mι) exhibited cytotoxicity to tumor cells and inhibited tumor growth over 95% in in vitro, combination treatment with EN-3 (20 $\mu\textrm{g}$/mι) was induced splenocyte proliferation and produced cytokines, such as TNF-$\alpha$, IL-1 and IL-12, from the macrophage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EN-3 stimulate immune system non-specifically and apply to the biological response modifiers (BRM) in chemo-immunotherapy for tumor prevention.

가시오갈피 수집종의 RAPD 변이분석 (Intraspecific Relationship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 by RAPD Markers)

  • 김선;김기영;박문수;최선영;윤성중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65-169
    • /
    • 1998
  • 가시오갈피의 지역 수집 종간 변이의 정도와 유연 관계를 검토하고자 덕유산, 오대산, 북해도 수집종을 공시하여 RAPD를 실시 한 결과 가시 오갈피 유연관계 분석에 적합한 Primer로 UBC Primer $#200{\sim}300$ #208등 20개의 primer를 선발하였고, 다형화율은 $7.1{\sim}90.9%$를 나타냈으며, 총 증폭된 band 157개 중 113개 의 다형 band를 얻을 수 있었다. 가시오갈피 수집종은 2그룹으로 분류되었으며, 1그룹으로 분류된 덕유산 1, 2, 3, 4, 6, 북해도 7, 8, 오대산 9, 10번 개체내의 유사도는 $0.65{\sim}0.86$으로 나타났으나, 변종으로 추정되는 덕유산 수집종 5번 개체는 다른 수집 종들과의 유사도는 0.27로 극히 낮았다. 또한 동일지역 수집종간에 유사 값은 다른 지역에서 수집된 개체들과 차이가 없었고, 화사길이에 따른 차이도 구분되지 않았다.

  • PDF

The effect of combined Rehmannia glutinosa Libosch and 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 (OPB) extracts on bone mineral density in ovariectomized rats.

  • Kim, Jung-Keun;Kim, Se-Won;Ko, Seon-Yle;Kim, Se-Nyun;Kwon, Jong-Seok;Hwang, Hyeon-Hwan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32권4호
    • /
    • pp.143-151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eventing effects of OPB (Rehmannia glutinosa Libosch and 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 extracts) and combined OPB/Calcium therapy on bone loss in ovariectomized rats. Sixty Sprague Dawley rats of 12-week-old were divided into eight groups: OVX (ovariectomized), OPBL (OPB 50 mg/kg), OPBM (OPB100 mg/kg), OPBH (OPB 200 mg/kg), OPBL/CAL(OPBL+CAL), OPBM/CAL (OPBM+CAL), OPBH/CAL (OPBH+CAL) and CAL (Calcium citrate 88.33 mg/kg+1$\alpha$, 25-dihydroxy-vitamin $D_3$ 33.33 IU/kg). Bone mineral density (BMD), bone mineral content (BMC), bone strength indices and cortical thickness were analyzed by peripheral quantitative computerized tomography (pQCT). pQCT scanning showed that OVX induc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rabecular bone mineral density and bone mineral content in the proximal tibia $(-36.4\pm2.4%,\;-21.8\pm12.7%)$. These decreases were significantly prevented by the administration of OPBM and OPBM/CAL. Cortical BMD and BMC of tibia were slightly enhanced by OPB and OPB/CAL.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OVX and OPB, OPB/CAL treated group. Bone strength indices and cortical thicknes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Our results suggest that OPB and combined OPB/Calcium therapy are effective in preventing the development of bone loss induced by ovariectomy in rats.

($GA_3$ 침지 및 토로스 분의 처리가 가시오갈피 종자 개갑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GA_3$ Soak and Seed Dressing with Toros (Tolclofos methyl) wp. on the Dehiscence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im Seeds.)

  • 임상현;정햇님;강안석;전명승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06-111
    • /
    • 2008
  • 가시오갈피의 종자 후숙을 촉진하고, 부패율을 낮추기 위하여 후숙전 Gibberellin 처리농도 및 침지시간, 토로스 분제를 사용한 종자소독처리에 따른 가시오갈피 종자의 배 배달 및 개갑특성을 조사하였다. 가시오갈피 종자 후속 전 적정 $GA_3$ 처리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개갑속도가 빨라지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500\;mg\;{\cdot}\;L^{-1}$ 처리구 이상에서는 부패율 급증에 따른 개갑율 감소현상이 확인되어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후숙전 종자소독처리는 가시오갈피 종자개갑에 유용한 미생물 (Trichoderma, Aspergillus 속 등)의 활동을 억제하여, 후숙과정을 지연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조구 (물 24시간 침지)에 비해 $GA_3\;300\;mg\;{\cdot}\;L^{-1}$ 24시간 침지처리구에서 개갑기간이 40여일 단축되었으며, 저온휴면타파처리 ($5^{\circ}C$, 70일)후 개갑종자의 85% 이상이 정상적으로 발아하는 것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