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mentary School Textbooks

검색결과 771건 처리시간 0.026초

$\cdot$일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삽화 비교 연구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Illustrations of th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between Korea and Japan)

  • 이형철;안정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4권2호
    • /
    • pp.138-144
    • /
    • 2005
  • This study was intended to survey and analyze the illustrations of th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in the』 7th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and to compare the results with the illustration organization of th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of Japan. The analysis criterion was composed of two categories, the kind of illustration and the role of illustration. The kind of illustration was divided into five subcategories such as photograph, picture, illustration, cartoon and diagram. The role of illustration was divided into four subcategories such as motive induction, guidance for learning, the supply of material, the presentation of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zing criterion, the frequencies of relevant subcategories of illustrations in science textbooks were checked and arranged and the resultant data were analyzed by grad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Korean science textbooks have about 3.29 illustrations per page whereas Japanese ones have 4.1l. Compared with Korean science textbooks, Japanese ones have more illustrations. 2. From the analysis of the kinds of the illustrations by grade basis, it was found that the order of percentage of illustrations is photograph, cartoon and picture in both countrys' science textbooks. Korean ones are highly dependent on photograph. As a contrast Japanese ones have more ratio of cartoon and picture than Korean science textbooks. 3. The analysis of the roles of the illustrations by grade basis showed that the role of guidance for learning is major in both countrys' science textbooks. The role of guidance for learning is prominent in Japanese ones, but in Korean ones, the role of guidance for learning is a little higher than that of the supply of material.

  • PDF

유치원, 초등, 중등 과학 교재의 연계성을 위한 탐구능력 분석 -물질의 상태 및 상태 변화 개념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Science Process Skills for K-12 Science Curriculum Articulation : Focused on the Concept of the State and the State Change of Matter)

  • 백성혜;박진옥;박재원;임명혁;고영미;김효남;조부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0권1호
    • /
    • pp.91-105
    • /
    • 2001
  • 이 연구에서는 물의 상태와 상태 변화를 중심으로 유치원, 초등, 중등 과학 교재의 탐구능력 전개 과정의 연계성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유치원 제 5차 교육과정 교재들과 제 6차 교육과정에 근거한 초등학교 자연 고과서와 중학교 과학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유아, 초등, 중등 과학 교육과정의 연계성 측면에서 볼 때, 모든 학년에서 예상, 분류, 가설설정, 실험 설계 등의 탐구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측정 능력은 이론적으로 초등학교 저학년부터 가질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학년 이상에서만 제시되었다.

  • PDF

초등학교 정보통신기술 교과서의 "정보 처리의 이해" 영역의 내용 분석 연구 (Analysis of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Processing" Area in the ICT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s)

  • 정인기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35-43
    • /
    • 2010
  • 2005년 12월에 정보통신기술교육 운영지침의 개정안이 발표되었다. 그러나 아직도 학교 현장에서는 이와 같은 개정안의 내용에 따라 제대로 교육이 실시되지 않고 있으며, "정보 처리의 이해" 영역의 내용은 가장 미흡하게 교육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2006년 6월 이후에 출판된 초등학교 ICT 교과서에서 "정보 처리의 이해" 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많은 교과서가 정보통신기술교육 운영지침 개정안의 내용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등학교 교과서에서 소개하는 프로그래밍 언어도 너무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초등학교 정보통신기술 교과서에 대한 개정이 시급하며 검정 시스템도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초등학생들의 열과 온도에 대한 대안개념 조사 (Investigating Elementary Students에 Alternative Conceptions of Heat and Temperature)

  • 최행숙;김은경;백성혜;이길재;정완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0권1호
    • /
    • pp.123-137
    • /
    • 2001
  • In this study, the contents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related to 'heat and temperature' are analyzed and alternative conceptions ofi"heat and temperature" among students enrolled in grades 4, 5 and 6 are investigated. 259 students were selected from a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urban area. The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alternative conceptions and the content of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are also examined. Students' conceptions are analyzed from their answers to a paper-and-pencil test. The typical alternative conception of "heat and temperature" held by students was follows. They think that "heat" is a material and "temperature" is value of heat amount. They can't distinguish between "heat" and "temperature". Their explanation of "heat and temperature" is focused on hot or cool sensation and other observable characteristics of a material. A textbook analysis indicated that contents on "heat and temperature" were organized without the viewpoint of particle motion theory. This may be one of the causes of students' alternative conceptions.

  • PDF

초등학교 $3{\sim}4$학년 차세대 과학 교과용 도서의 실험본에 대한 교사와 학생 및 학부모들의 인식 (Elementary School Teachers', Students' and Their Parents' Perceptions of New Experimental Grade $3{\sim}4$ Science Textbooks and Teacher's Guides)

  • 강훈식;윤혜경;임희준;장명덕;임채성;신동훈;권치순;이대형;김남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8권1호
    • /
    • pp.79-9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tudents' and their parents' perceptions of new experimental grade $3{\sim}4$ science textbooks and teacher's guides developed by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63 teachers, 436 students and their 448 parents were selected from 9 elementary schools selected as model schools, and were administered the questionnaires of the perceptions of the new science textbooks and/or teacher's guides. The results revealed that many teachers had a rather positive perception of the teacher's guides. In addition, most of the teachers, students and their parents, especially the students and their parents than the teachers, perceived positively the new science textbooks. They also had various views of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new science textbooks and/or teacher's guides upon cognitive and motivational/emotional/affective aspects.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 PDF

초등학교 수학과 문제해결 교육 재고 (Reconsideration of Teaching Mathematics Problem Solving in Elementary School)

  • 정은실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3-141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수학과 문제해결 교육은 어떠했는지를 반추해보기 위해 그동안 우리나라 초등학교 문제해결 지도의 역사를 되돌아보고,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을 통해 문제해결이 어떻게 다루어졌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그 결과 제4차 교육과정부터 2009개정 교육과정 현재까지 문제해결이 계속 강조되어 왔으나, 그에 따른 교과서에서는 교육과정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경우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제6차 교육과정에서 문제해결에 대한 교육이 양적으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다가 그 이후 조금씩 약화되고 있으며, 2007,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문제해결을 위한 교육으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문제해결을 통한 지도는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및 익힘책에 제시된 변수 개념에 관한 분석 (An Analysis of Variable Concept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nd Workbooks)

  • 방정숙;조선미;김정원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6권1호
    • /
    • pp.81-100
    • /
    • 2017
  • The concept of variable is a big idea to develop algebraic thinking. Variable has multiple meanings such as the unknown, a tool for generaliz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ying quantities. In this study we analyzed in what ways the meanings of variable were presented in the current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nd workbook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frequent meaning of variable was 'the unknown', 'a tool for generaliz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ying quantities' in order. A close look at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ame symbol was often used in representing different values of variable as the unknown. In taking variable as a tool for generalization, questions to provoke generalization were sometimes included not in the textbooks but in the teachers' manuals. The main focus in dealing with variable as the relationship between varying quantities was on finding out the dependent values compared to the independent ones. Building on these results, this study is expecte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how to deal with variable concept in elementary mathematics instructional materials.

비례식과 비례배분에 대한 초등 수학 교과서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Proportional Expression and Proportional Distribution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장혜원;박혜민;김주숙;임미인;유미경;이화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9권2호
    • /
    • pp.229-248
    • /
    • 2017
  • 본 연구는 초등 수학에서 비례식과 비례배분 지도 시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해 문헌고찰을 통해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외 수학 교과서의 비례식과 비례배분 관련 내용을 종적 횡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비례식과 비례배분의 적절한 지도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종적 분석을 위해 국내의 5차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수학 교과서를, 횡적 분석을 위해 일본, 싱가포르, 중국 수학 교과서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각각의 교과서에 제시된 비례식과 비례배분 관련 학습 요소 및 지도 순서, 용어의 정의, 개념의 도입 맥락, 도입 시 사용된 시각적 표현을 기준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비례식과 비례배분 정의의 선수 학습과의 연결, 비례식과 비례배분의 도입 시 맥락과 지도 순서의 세심한 고려, 다양한 시각적 표현의 사용, 실생활 맥락 속에서 문제 해결 기회 확대의 필요 등 차기 교과서의 비례식과 비례배분 단원 구성을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연계 분석 -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5~6학년군을 중심으로 - (Analysis on Connection of Curriculum and Textbook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 Focused on 5~6 Grades)

  • 장혜원;강태석;임미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6권1호
    • /
    • pp.121-141
    • /
    • 2016
  • 국가 차원의 교육과정과 교사들의 교과서에 대한 높은 의존도를 특성으로 하는 우리나라 수학교육에서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연계 분석은 교육의 질을 검토하고 향후 발전을 위해 필요한 연구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현장 적용이 전 학년에 걸쳐 완료되는 시점에서 5~6학년군의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연계성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2학년군, 3~4학년군을 대상으로 한 선행 연구에 이어 5, 6학년 교과서를 분석 대상으로 하며, 분석내용 역시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상세화 및 세분화한 재구성 성취기준에 따른 교과서 분석, 교과서의 차시별 학습목표에 따른 재구성 성취기준과의 연계 분석, 용어와 기호 관련 교과서 분석, 수학적 과정 관련 교과서 분석의 네 가지로 동일하다. 각각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한다.

초등 수학 교과서의 문장제에 대한 실제적 맥락 관점에서의 분석 (An Analysis of the Word Problem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 from a Practical Contextual Perspective)

  • 강윤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5권4호
    • /
    • pp.297-312
    • /
    • 2022
  • 문장제는 학습자에게 다양한 문제해결의 경험을 제공하고 수학적 지식을 맥락에 적용할 수 있도록 안내하여 학습자의 수학 학습을 더욱 의미 있게 이끌 수 있다. 본 연구는 초등 수학 교과서의 문장제를 실제적 맥락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교과서 집필 및 교수 학습 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 수학 교과서 내 수와 연산 영역의 문장제를 살펴보았으며 구체적인 대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미국과 핀란드의 초등 수학 교과서를 참고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 수학 교과서의 문장제에 부자연스러운 맥락이나 소재를 설정하는 경우, 인위적인 수를 삽입하거나 문장제의 언어적 표현 및 삽화가 명료하지 않게 제시되는 경우 등이 나타났다. 이러한 경우 학습자가 문장제의 맥락을 실생활과 별개의 것으로 인식하거나 문장제에서 요구하는 내용을 이해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울 수 있다. 추후 교과서 집필 시 학습자를 고려하여 소재를 설정하고 삽화, 도식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문장 및 삽화를 더 명료하게 구성하는 등 실제적 맥락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의 문장제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