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mentary School Music Education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33초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과 학습태도 향상을 위한 음악치료기반 홈페이지의 구현 및 적용 (An Implementation and Application of Music Therapy-Based Homepage to Improv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centration and Learning Attitude)

  • 양세진;양권우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6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261-266
    • /
    • 2006
  • 교육현장에는 주의집중력이 부족하고 학습태도가 잘 형성되지 않은 학생들이 많다. 이러한 학생들은 학습에 대한 효과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수업활동에도 방해가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음악치료이론을 이용하여 주의집중력을 향상시키고 학습태도가 잘 형성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 제안한 방법을 홈페이지로 구현한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홈페이지를 교육현장에 적용한 결과는 학생들의 주의집중력이 향상되고 학습태도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음을 보여준다.

  • PDF

음성 게시판을 활용한 판소리 학습 효과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Pansori Learning Using Voice Bulletin Board System)

  • 강의성;정유화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308-316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음성 게시판을 활용한 판소리 학습 방법을 제시하고, 제시된 판소리 학습 방법에 대한 효과를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참여관찰, 면담, 학습 장면에 대한 비디오 분석 등의 질적 접근 방법을 통한 자료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제안된 음성 게시판을 활용한 학습 방법은 학생들의 판소리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유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국악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유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 PDF

음성게시판을 활용한 웹 기반 국악교육 시스템 설계 -6학년 음악교과 국악 단원을 중심으로- (The Design of the Web-based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System Using Voice Bulletin Board)

  • 조재경;이재인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4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234-242
    • /
    • 2004
  • 세계는 점점 더 가까워지고 함께 공유하는 문화적 산물이 많아져 가면서 그 나라 고유의 전통문화의 존재의식은 젊은 층으로 내려갈수록 더욱 퇴색되어져가고 있다. 우리가 언제 어디서나 쉽게 듣고 즐기는 음악 또한 예외는 아니다. 쉽게 서양의 음악을 흥얼거리는 사람은 많아도 우리 국악을 흥얼거리며 가깝게 여기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6차 교육과정 이후 계속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국악을 학생들로 하여금 좀 더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더 잘 이해할 수 있고 더 가깝게 여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음성게시판을 활용한 국악교육 사이트를 설계하고자 한다. 이는 초등 현장에서 교사의 수업 보조 자료는 물론 학생 개개인이 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학습할 수 있으며 음성 게시판에 게재된 내용을 통해 교사의 일대일 조언은 물론 다양한 평가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 PDF

초등과학 5학년 1학기 '태양에서 행성까지 거리 비교'에 대한 초등예비교사들의 교재 재구성 내용 분석 (Analysis of Contents of Reorganization of Textbooks by Pre-Service Teachers' on 'Comparison of Distances from Solar System to Planets' in First Semester of Elementary Science 5th Grade)

  • 김해란;이용섭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25-235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천문 교육 방법의 개선 방향과 교육 자료 또는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얻는데 있다. 교육과정 '태양계와 별' 지도와 연계하여 초등예비교사들에게 태양으로부터 행성까지의 상대적인 거리를 비교하는 재구성 과제를 제시한 후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인 초등예비교사들은 B광역시 소재 초등 교사 양성 대학교 음악교육학과 2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들로 남자 11명, 여자 19명이다.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두루마리 휴지를 이용한 거리 비교 활동'은 태양에서 행성까지의 거리를 단순 비교하는 데는 적합하지만 태양계의 광대함을 체험하게 하거나 학생 참여 중심의 수업을 이끌어내는 데는 한계가 있다. 둘째, 넓은 학습 공간의 확보와 함께 행성의 크기와 행성까지의 거리를 동시에 반영하고 또한 태양계의 광대함도 체험하며 실내에서 적용할 수 있는 초등학생용 소프트웨어 자료의 개발이 더 필요하다. 셋째, 교과서 자료는 초등예비교사의 수업 설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튼튼이교실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비만아동의 신체조성, 신체균형, 체력 및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효과 - 전남 목포시의 일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 (The Effects of Child Health Program on Body Composition, Body Balance, Physical Fitness, Health Promotion Behavior among Obese Children)

  • 임은숙;고미자;강광순;한유정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7-31
    • /
    • 200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 health program on body composition, body balance, physical fitness,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obese elementary school. Methods: They ranged from the third to fith grade with over 20% body fat ratio. The subjects consisted of 20 obese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child health program. The contents of the program for 12 weeks from contained obese education, counseling and music rope jump twice a week. The program lasted from Sep. 3 to Nov. 30, 2007. The data were analysed with SAS 8.2. Results: Muscle mass(z=2.86, p=0.028), skeletal muscle mass(z=2.56, p=0.008), and fat free mass(z=2.57. p=0.006) in body compositio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right arm balance(z=4.12. p=0.001), left arm balance(z=2.96, p=0.010), and trunk balance(z=3.70, p=0.001), right leg balance(z=2.42 p=0.013) in body balance were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endurance(z=2.61. p=0.028), agility(z=3.43, p=0.006), flexibility(z=4.37, p=0.000), power(z=6.94, p=0.000) in physical fitnes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Health promotion and behavior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z=2.21. p=0.012). Conclusions: Child health promotion seemed to be useful for body composion, body balance. physical fitnes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 PDF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ADHD 성향 아동의 문제행동 개선과 사회적 기술향상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Program on Problem Behaviors and Social Skills Children with ADHD)

  • 신지혜;윤덕순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37-15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하는 ADHD 아동에게 음악치료를 통해 문제행동을 개선시켜 사회기술향상 효과를 알아보았다. J시에 소재한 B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1,2학년 중대상으로 K-CBCL로 부모의 동의를 얻은 아동 총 15명을 실험집단 7명과 통제집단 8명으로 임으로 무선배정 하였다. 음악치료 실시 전과 후에 ADHD 아동의 문제행동과 사회기술향상을 알아보기 위해 부모용 한국판 아동 청소년 행동평가 척도(K-CBCL; Child Behavior Checklist-Korean)와 사회기술평가 척도(Social Skills Rating System; SSRS), 교사용 또래의 사회적 수용도를 실시하였다. 음악치료에 참가한 실험집단의 ADHD 아동은 문제행동의 공격성, 주의집중력과 사회적 기술의 협동성, 자기주장, 자기통제에서 유의한 효과를 보였고 사회적 기술의 책임감과 자기 수용도는 유의한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사회적 기술의 책임감과 자기 수용도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통제집단보다 실험집단에서 점수가 높게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장기간의 실험을 실시하면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것이라 본다.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한 자기 주도적 봉사의 의미 탐색 -초등학교 저학년 돌봄 교실 봉사를 중심으로- (Exploring the Meaning of Self-directed Service experienced by Preservice Teachers -Focused on the Service of Daycare Programs for Lower Grades of Elementary-)

  • 황지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443-452
    • /
    • 2016
  • 본 논문은 예체능 및 놀이문화 형성 프로그램 중심의 '2016 여름방학 대학생 돌봄교실 봉사'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이들이 봉사과정을 통해 겪은 경험의 의미를 질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예비유아교사 6명으로 이들은 봉사프로그램의 계획, 예산편성, 재료구입, 실천, 평가까지 일련의 모든 과정을 스스로 해결해야하는 자기 주도적 봉사의 취지를 수용하고 참의의사를 밝힌 상황에서, 방학 중 40시간 이상 초등학교 저학년(1~2학년) 돌봄교실을 방문하여 봉사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자료로는 연구참여자저널, 개인면담 및 단체면담 전사본, 전화통화 전사본, 메일, 차수별 자체평가 기록지 등을 활용하였으며, 연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삼각측정, 구성원검토작업, 전문가의 조언과 검토 등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자기 주도적 봉사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들의 봉사경험관련 의미는 '생각하는 힘이 자라요', '소통의 중요성을 깨달아가요', '함께 하는 자체가 중요해요', '자원 정보 활용능력이 필요해요' 등으로 이루어진 '역량을 갖춘 전문적인 교사 되어가기'와 '유초연계교육의 필요성을 알아가요', '유초연계교육에 대해 배우고 싶어요' 등으로 세분화된 '유초연계교육에 대한 안목 키워가기'로 크게 범주화되었다.

초등학생의 시스템 사고 요인 구조 검증과 선호 과목에 따른 시스템 사고 비교 (Verification the Systems Thinking Factor Structure and Comparison of Systems Thinking Based on Preferred Subjects about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이효녕;전재돈;이현동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61-171
    • /
    • 2019
  •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초등학생의 시스템 사고 요인 구조를 검증하고 초등학생의 선호 과목군에 따른 시스템 사고를 비교하여 추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사전 검사에서는 Lee et al.(2013)이 개발한 STMI로 초등학생 732명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초등학생이 STMI를 어떤 요인 구조로 인식하는지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사전 검사 결과를 기초로 전문가 협의회를 거쳐 초등학생들이 STMI가 의도한 5요인 구조에 응답할 수 있도록 검사지를 수정하였다. 사후 검사에서는 수정된 STMI로 초등학생 503명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 검사에서 초등학생들은 STMI를 2개 요인(개인 내적 요인, 개인 외적 요인)으로 구성된 검사지로 응답하였다. 검사지에 대한 전체 신뢰도는 .932였으며 요인별 신뢰도는 .857과 .894로 나타났다. 둘째, 수정된 STMI에 대해서는 초등학생은 4개 요인으로 구성된 검사지로 응답하였다. 초등학생은 팀 학습, 공유 비전, 개인 숙련은 각각 독립된 요인으로 응답하였으며 정신 모델과 시스템 분석을 하나의 요인으로 응답하였다. 전체 검사지에 대한 신뢰도는 .886이었으며 요인별 신뢰는 .686~.864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의 선호 과목군에 따른 시스템 사고를 비교한 결과 자연과학(공학) 과목군을 선택한 학생들과 예술(예체능)을 선택한 학생들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초등학생에게 적합한 용어와 문장 구조로 수정된 시스템 사고 검사지를 활용할 경우 시스템 사고를 비교하는 연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추후 선호하는 과목군 등 여러 학생 변인들과 시스템 사고와의 관련성 연구도 이루어질 필요성이 제기된다.

Environmental Ethics Policy in Jepara: Optimization of Handicraft Designs from Wood Waste in the Furniture Industry

  • Deni SETIAWAN;Arif HIDAYAT;Supriyadi SUPRIYADI;Wahyu LESTARI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5호
    • /
    • pp.392-409
    • /
    • 2023
  • The amount of wood waste from furniture production is increasing. Wood waste is diverse and ranges from wood-splitting residues to leftovers from furniture production. Wood waste occurs in companies, household-based industries, and other forms of business where waste accumulates; therefore, an environmental and ethical policy is need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roducts created using wood waste and describe government regulations related to environmental policies. We analyzed the management of wood waste for use as a new product so that it is useful, does not become waste, and complies with policies related to environmental ethics. A case study design using qualitative methods was used. This research focused on managing wood waste in Jepara's furniture and crafts industry for the 2010-2021 period, using 23 sources from primary, secondary, and other supporting documen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bservation or gathering information related to research needs, conducting closed-door interviews with research sources, documenting data to strengthen research findings, and using online questionnaires to corroborate information related to wood waste management. This article presents wood waste products designed with optimized environmental ethics and awareness of environmental laws in wood-based industries.

공교육 중심의 해외 교육시장 진출 사례 분석: G러닝(게임 기반 교수학습 방법)의 미국 공교육 진출 (A Case Analysis of Entry in Global Education Market focused on Public Education : The Entry of G-Learning(Game Based Learning) into a Public School System in USA)

  • 위정현;원은석
    • 통상정보연구
    • /
    • 제15권2호
    • /
    • pp.109-128
    • /
    • 2013
  • 콘텐츠산업의 성장과 함께 국내 문화콘텐츠의 해외 진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좋은 성과를 내고 있는 게임, 음악, 영화 등의 분야와는 달리 교육콘텐츠의 경우 해외 시장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공적인 교육콘텐츠의 해외 진출 사례로 C연구소의 G러닝 미국 공교육 진출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사례에서 C연구소는 많은 어려움을 극복하고 LA라발로나 초등학교에서 5학년 정규 과정 G러닝 수학수업을 진행하고 학생들의 성적을 향상시켰다. 본 사례의 분석을 통해 이러한 성공이 가능했던 이유에 대한 전략적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었다. 첫째, 제품의 차별성이고, 둘째, 현지 인력을 중심으로 지원조직을 구성하여 현지 인적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었으며, 셋째,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정보 공유를 통해 연쇄적인 설득과정을 유도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