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mentary SW Education

검색결과 210건 처리시간 0.028초

SW교육 강화를 위한 교육대학교의 교육과정 개선 요구 분석 (Needs of Improving the Curriculum of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for Strengthening SW Education)

  • 김철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1-8
    • /
    • 2019
  • 초등교원을 양성하는 교육대학교에서 SW교육을 강화시키기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G교육대학교 학생 1,2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SW교육 시간을 늘리고, SW교육 역량을 제고할 수 있도록 교육 내용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양 과정에서의 SW를 활용한 교수법과 교재를 개발하고, 그것을 위한 시수가 확보되어야 한다. 셋째, 전공 과정에서는 교과 내용학 보다는 교과 교육학을 중심으로 한 교육 내용이 확대되어야 한다. 넷째, 심화 과정에서는 초등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를 높일 수 있도록 엔트리 등 교육용프로그래밍언어를 중심으로 한 프로그래밍 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 또한, 심화과정에서의 필수 과목을 줄이고 선택과목을 늘림으로써 학생들의 과목 선택권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스크래치데이 참여학생들의 SW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A Perception on SW Education of Students with Scratch-Day)

  • 김수환;한선관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461-470
    • /
    • 2014
  • 본 논문은 스크래치데이 행사에 참여한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SW 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2013, 2014년에 실시된 스크래치 행사에 참여한 558명의 학생에게 창의컴퓨팅 교육을 실시하고, 학생들의 인식을 묻는 설문을 통하여 우리나라 SW 교육의 인식을 파악,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은 창의컴퓨팅 교육을 재미있고, 유용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학교교육에서도 교육이 이루어지기를 희망하고 있었다. 또한, 사용의도 측면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사전에 스크래치 교육을 경험한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유용성, 사용의도에서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에서는 창의컴퓨팅 교육의 재미, 용이성, 유용성이 학교교육에 적용해야 한다는 인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SW교육이 초 중등 교육에서 필요하며 학교 현장에서 적용 가능성을 도출하였다.

초등 SW교육 핵심교원 양성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 분석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Analysis of Training Program for Core Teachers of Elementary SW Education)

  • 박세영;전용주;서정희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31-4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국가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SW교육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초등 SW교육 핵심교원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제 전국 단위 직무연수 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개발 방향 설정, 파일럿 연수 진행, 연수 최종안 적용 및 추가보완의 과정을 거쳤으며, 개발된 연수 프로그램을 교육부 주관 2019년 동계 및 하계 직무연수에 적용 하였다.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을 위해 SW교육 교수효능감, 만족도 조사 등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 개발된 연수 프로그램의 긍정적인 효과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초등학생을 위한 로봇 활용 파이썬 학습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Python Instructional Model Using Robot for Elementary Students)

  • 박대륜;유인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357-366
    • /
    • 2018
  •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교육의 도구는 블록형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EPL)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블록형 EPL은 SW 교육의 입문 도구로써 장점이 많지만 확장성에서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산업 현장에서도 활발하게 사용하고 있는 텍스트 기반의 프로그래밍 언어인 파이썬을 활용한 SW 교육의 접근 방안을 모색하였다. 파이썬을 활용한 학습 프로그램과 모형을 개발하고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0차시를 적용하였다. 그 결과 로봇 활용 파이썬 학습 모형을 적용한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으며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텍스트 기반 프로그래밍 언어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교의 교육정보화 수준에 따른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차이 분석 (Analysis on the Differ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mputational Thinking according to the Level of School's Educational Information)

  • 박형용;이승진;안성훈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1-9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2015 교육과정에서 SW교육이 확대됨에 따라 운영되고 있는 SW교육 연구학교의 초등학생 2,547명을 대상으로 컴퓨팅 사고력 평가를 실시하고, 보다 효과적인 SW교육 환경을 마련하고자 학교별 교육정보화 수준에 따라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이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 점수는 학교장의 정보 연수 경험과 학교의 정보 인프라 구성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학교장의 CEO 정보 연수 경험, 무선 네트워크와 모바일 기기 구성, 무선 네트워크 속도에 따라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 검사 점수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에서 SW교육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SW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학교장 연수 실시, 학교 교실의 무선 네트워크 시설 확대, 모바일 기기에 대한 보급 확대 등을 제안하였다.

컴퓨팅 사고력(Computational Thinking) 함양을 위한 대학에서의 SW교육에 관한 고찰 (Study of SW Education in University to enhance Computational Thinking)

  • 박성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4호
    • /
    • pp.1-10
    • /
    • 2016
  • 사회 전체가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운영되고, 사물인터넷을 통한 새로운 디지털 시대가 시작되면서 서로 융복합적으로 연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사회변화와 함께 실생활의 문제들이 복잡해지고 의사소통 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이 점차 강조됨에 따라 이를 교육과정에 반영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이미 해외에서 먼저 시작되었고, 국내에서는 2015년도 교육과정 개정을 통해 초중등에서도 SW교육을 교육과정에 포함하게 되었다. 반면 대학생들을 위한 SW교육에 대한 필요성은 최근에서야 그 움직임이 서서히 시작되었다. 현재 SW교육은 단순 프로그래밍교육이 아닌 컴퓨팅 사고력(Computational Thinking) 증진을 목표로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 주목받고 있는 컴퓨팅 사고력에 대한 동향분석과 함께 대학SW교육에서 컴퓨팅 사고력 증진을 위해서 국내외 대학들이 관련 코스들을 어떻게 운영하고 있는지 분석하고, 컴퓨팅 사고력을 효과적으로 함양할 수 있는 교수학습모형을 제안하였다.

창의성과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한 디자인 사고 적용 피지컬 컴퓨팅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마이크로비트를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physical computing program applying design thinking to improve the creativity and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Focusing on Microbit)

  • 서영호;김관민;김종훈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377-385
    • /
    • 2021
  • 본 연구는 디자인 사고를 적용한 피지컬 컴퓨팅 SW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고자 하였다. 제작한 SW교육 프로그램 제주시 소재 J, B 2개 초등학교 5, 6학년 22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창의성과 컴퓨팅 사고력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총 5회기 20시간에 걸쳐 디자인 사고를 적용한 피지컬 컴퓨팅 SW교육을 진행한 후 창의성과 컴퓨팅 사고력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디자인 사고를 적용한 피지컬 컴퓨팅 SW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컴퓨팅 사고력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내러티브-종이아트 활동 기반 로봇활용 SW교육 효과성 비교 (Comparison on Effectiveness of SW Education using Robots based on Narrative-Paper Art Activities)

  • 손경진;한정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419-425
    • /
    • 2018
  • 2015 교육과정에는 SW교육의 문제해결과정, 알고리즘 및 프로그래밍 교육을 포함하고 있는데, 컴퓨터에 능숙하지 않거나 흥미가 없는 학생을 대상으로 직접 만지고 체험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로봇활용교육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로봇활용교육에서 로봇을 제작하는 시간제한을 극복하면서도 창의적 활동을 할 수 있는 내러티브 종이아트 활동을 기반으로 하는 로봇활용 SW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대해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한 결과, 창의적 문제해결의 하위 요소 4가지는 모두 유의미한 상승을 보여주었다. 또한 로봇에 대한 이해력과 학습태도도 유의미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세대 소프트웨어(SW)교육 표준 모델 개발 (Development a Standard Curriculum Model of Next-generation Software Education)

  • 김갑수;구덕회;김성백;김수환;김영식;김자미;김재현;김창석;김철;김한일;김현철;박남제;박정호;박판우;서인순;서정연;성영훈;송태옥;이영준;이재호;이정서;이현아;이형옥;전수진;전용주;정영식;정인기;최숙영;최정원;한선관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337-367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SW교육의 확대 및 차기 개정 교육과정에서 초·중·고의 일관성 있는 SW교육 적용 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차세대 SW교육 표준모델을 개발하였다. 2017~2018년 학계에서 수행된 초·중등 SW교육 표준 모델 연구를 바탕으로 국내외 SW교육에 관한 기초 조사 및 분석, 유관기관 및 전문가 공개 포럼, 글로벌 SW교육 워크샵, 대국민 공청회 등을 통해 초·중·고등학교 SW 교육을 위한 일관성 있는 적용 체계를 갖추고, 이후 고등교육 및 산업분야에 연계가능한 차세대 SW교육 표준 모델을 개발하였다.

초등 교사들의 인공지능에 관한 교육적 인식 (The Educational Perception on Artificial Intelligence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 류미영;한선관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317-324
    • /
    • 2018
  • 본 연구는 인공지능의 이해와 교육적 영향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한 것이다.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30문항의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초등 교사 151명을 대상으로 설문 자료를 수집하여 t-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여자교사가 남자교사보다 AI의 인식이 적었고 교육의 필요성도 낮았다. 선도학교 운영 여부에 따라 AI교육이 창의성 신장에 도움을 줄 것으로 인식하였다. 경력이 많은 교사일수록, SW교육 연수 경험과 교육 지도 경험이 많을수록 AI의 이해가 좋았으며 교육적 필요성이 높았다. 본 연구 자료가 향후 SW 교육이 현장에 안착하기 위한 자료가 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