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ctron optic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5초

The Electron Trap Analysis in Thermoluminescent LiF Crystal

  • Park, Dae-Yoon;Ko, Chung-Duck;Lee, Sang-Soo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권3호
    • /
    • pp.214-222
    • /
    • 1972
  • 광학급 LiF단결정의 열형광유선은 r선조사선양이 증가함에 따라서 변화한다. 즉 선량이 적을 때는 2개의 glow peak를 가지나, 선양이 정차 증가하여 10$_{5}$ rontgen 정도에 이르면 5개의 glow peak를 나타낸다. 이들 glow peak에 대응하는 energy 준위 Ei(i=1,2,3,4, 및 5)는 전도대 밑으로 부터의 깊이로 표시할 때 다음과 같은 값을 갖는다. 이들 E$_i{$의 값은 가열속도 $\theta_1$=6.6$^{\circ}C$/sec와 $\theta_2$=3.4$^{\circ}C$/sec에 대한 glow peak의 온도를 얻은 다음, Randall-Wilkins의 이론에 따라서 계산되었다. 광학급 LiF단결정에서 E$_1$과 E$_2$이외의 전자 trap은 열적으로 불안정하며 LiF(Mg) 열형광선양계에 불가결한 것으로 되어있는 sensitization의 효과가 거의 없다. LiF(Mg)는 $\theta$=6.6$^{\circ}C$/sec 일때, 17$0^{\circ}C$와 23$0^{\circ}C$에 glow peak를 나타내며 이들에 대응하는 전자 trap E$_4$와 E$_{5}$ 이외에 방사선이 조사됨에 따라서 E$_1$, E$_2$, E$_3$ 및 E$_{6}$의 전자 trap이 형성되며 이들 값은 다음과 같다. LiF(Mg)에서 방사선상해 때문에 형성된 E$_1$, E$_2$, E$_3$및 E$_{6}$는 모두 상당히 열적으로 안정하며, sensitization과정에서 형성된다. 이 안정한 6준위계에서 LiF(Mg)예 의한 방사선 선양측정이 시행되어야 한다. E$_1$,E$_2$,E$_3$ 및 E$_{6}$의 안정성은 LiF결정내의 $Mg^{$ ++/ 불순물의 영향으로 사료된다. 광학급 LiF단결정의 열형광에서 r선양의 대수표시양과 전열형광양의 대수표시 사이에 비선형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열적으로 안정한 12$0^{\circ}C$ glow peak만을 고려하여 r선양의 대수표시양과 12$0^{\circ}C$ slow peak의 높이의 대수표시량 사이에서 비선형성이 감소되어, LiF(Mg)에 대한 곡선과 매우 유사한 곡선을 얻게 된다.

  • PDF

Aspergilli에 기생(寄生)하는 Penicillium rugulosum에 대(對)하여 (Penicillium rugulosum Parasite on Aspergilli)

  • 이배함;채희병;이복권;심성보
    • 한국균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5-52
    • /
    • 1976
  • 기생미생물(寄生微生物)에 대한 연구(硏究)에서 숙주(宿主)와 기생균(寄生菌)을 분류동정(分類同定)하고 성장과정(成長過程)과 그 처리조직학적(處理組織學的) 해부학적(解剖學的) 구조(構造)를 광학(光學) 및 전자현미경(電子顯微鏡)을 통하여 관찰(觀察)하고, 이종간(二種間)의 상호관계(相互關係)를 구명(究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숙주(宿主)와 기생균(寄生菌)은 Aspergillus niger와 Penicillium rugulosum으로 각각 동정(同定)되었다. 2. 기생균(寄生菌)은 숙주(宿主)의 Sterigmata에 기생(寄生)하고 있는 것을 관찰(觀察)하였다. 3. 기생상태(寄生狀態)의 진행(進行)에 따라 숙주(宿主)의 세포(細胞) 내용물(內容物)이 소실(消失)되어 간다. 4. 기생균(寄生菌)은 합성배지(合成培地)에서도 배양(培養)되므로 활물기생(活物寄生)이 아니다.

  • PDF

Comparative study of the shear bond strength of various veneering materials on grade II commercially pure titanium

  • Lee, Eun-Young;Jun, Sul-Gi;Wright, Robert F.;Park, Eun-Jin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7권1호
    • /
    • pp.69-75
    • /
    • 2015
  • PURPOSE. To compare the shear bond strength of various veneering materials to grade II commercially pure titanium (CP-Ti). MATERIALS AND METHODS. Thirty specimens of CP-Ti disc with 9 mm diameter and 10 mm height were divided into three experimental groups. Each group was bonded to heat-polymerized acrylic resin (Lucitone 199), porcelain (Triceram), and indirect composite (Sinfony) with 7 mm diameter and 2 mm height. For the control group (n=10), Lucitone 199 were applied on type IV gold alloy castings. All samples were thermocycled for 5000 cycles in $5-55^{\circ}C$ water. The maximum shear bond strength (MPa) was measured with a Universal Testing Machine. After the shear bond strength test, the failure mode was assessed with an optic microscope and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a Kruskal-Wallis Test and Mann-Whitney Test. RESULTS. The mean shear bond strength and standard deviations for experimental groups were as follows: Ti-Lucitone 199 ($12.11{\pm}4.44$ MPa); Ti-Triceram ($11.09{\pm}1.66$ MPa); Ti-Sinfony ($4.32{\pm}0.64$ MPa). All of these experimental groups showed lower shear bond strength than the control group ($16.14{\pm}1.89$ MPa).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i-Lucitone 199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the Ti-Lucitone 199 group and the Ti-Triceram group. Most of the failure patterns in all experimental groups were adhesive failures. CONCLUSI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veneering materials such as heat-polymerized acrylic resin, porcelain, and indirect composite to CP-Ti was compatible to that of heatpolymerized acrylic resin to cast gold alloy.

펨토초 레이저 어블레이션을 이용한 Si 웨이퍼의 미세 관통 홀 가공 (Femto-second Laser Ablation Process for Si Wafer Through-hole)

  • 김주석;심형섭;이성혁;신영의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9-36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펨토초 레이저를 사용하여 정밀하고 효과적인 레이저 어블레이션 작업이 가능한지를 확인하기위한 수치 해석 및 가공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Si 재료 내부의 에너지 전달 메커니즘에 대한 수치해석을 실시하였으며, Si 웨이퍼에 각각 다른 조건으로 적용된 레이저 플루언스 값으로 $100\;{\mu}m$ 직경의 미세 관통 홀을 형성한 후, 광학현미경과 3차원 표면 형상 측정 장비를 사용하여 형성된 미세 관통 홀의 가공성과 열영향부의 발생 정도를 관찰하고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를 통해 레이저 플루언스 조건에 따른 열영향부의 발생 정도를 분석하였으며, 또한 최소한의 열영향부를 가지며 우수한 홀 가공성을 보이는 최적의 미세 관통 홀 가공 조건을 도출하였다.

  • PDF

Characterization and Corrosion Behaviour of Zn-Sn Binary Alloy Coatings in 0.5 M H2SO4 Solution

  • Fatoba, O.S.;Popoola, A.P.I.;Fedotova, T.
    • Journal of Electrochem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권2호
    • /
    • pp.65-74
    • /
    • 2015
  • This work examines the characterization and corrosion behaviour of laser alloyed UNSG10150 steel with three different premixed composition Zn-Sn binary powders using a 4.4 kW continuous wave (CW) Rofin Sinar Nd:YAG laser processing system. The steel alloyed samples were cut to corrosion coupons, immersed in sulphuric acid (0.5 M H2SO4) solution at 30℃ using electrochemical technique and investigated for its corrosion behaviour. The morphologies and microstructures of the developed coated and uncoated samples were characterized by Optic Nikon Optical microscope (OPM)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EDS). Moreover, X-ray diffractometer (XRD) was used to identify the phases present. An enhancement of 2.7-times the hardness of the steel substrate was achieved in sample A1 which may be attributed to the fine microstructure, dislocations and the high degree of saturation of solid solution brought by the high scanning speed. At scanning speed of 0.8 m/min, sample A1 exhibited the highest polarization resistance Rp (1081678 Ωcm2 ), lowest corrosion current density icorr (4.81×10−8A/cm2 ), and lowest corrosion rate Cr (0.0005 mm/year) in 0.5 M H2SO4. The polarization resistance Rp (1081678 Ωcm2 ) is 67,813-times the polarization of the UNSG10150 substrate and 99.9972% reduction in the corrosion rate.

실시간으로 적응빔형성 및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평면능동위상배열 레이더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the Planar Active Phased Array Radar System with Real-time Adaptive Beamforming and Signal Processing)

  • 김관성;이민준;정창식;염동진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812-819
    • /
    • 2012
  • Interference and jamming are becoming increasing concern to a radar system nowdays. AESA(Active Electronically Steered Array) antennas and adaptive beamforming(ABF), in which antenna beam patterns can be modified to reject the interference, offer a potential solution to overcome the problems encountered. In this paper, we've developed a planar active phased array radar system, in which ABF, target detection and tracking algorithm operate in real-time. For the high output power and the low noise figure of the antenna, we've designed the S-band TRMs based on GaN HEMT. For real-time processing, we've used wavelenth division multiplexing technique on fiber optic communication which enables rapid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antenna and the signal processor. Also, we've implemented the HW and SW architecture of Real-time Signal Processor(RSP) for adaptive beamforming that uses SMI(Sample Matrix Inversion) technique based on MVDR(Minimum Variance Distortionless Response). The performance of this radar system has been verified by near-field and far-field tests.

InP 기판에 성장한 자발형성 InAs/InAl(Ga)As 양자점의 구조 및 광학적 특성 (Structural and Optical Properties of Self-assembled InAs/InAl(Ga)Ae Quantum Dots on InP)

  • 김진수;이진홍;홍성의;곽호상;최병석;오대곤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94-200
    • /
    • 2006
  • 분자선증착기 (Molecular beam epitaxy. MBE)를 이용하여 InP (001) 기판에 자발형성 (Self-assembled) InAs/InAlAs, InAs/InAlGaAs 양자점 (quantum dots, QDs)을 형성하고 구조 및 광학적 특성을 원자력간현미경(Atomic force microscopy, AFM), 투과전자현미경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상온 포토루미네슨스 (Photoluminescence, PL) 실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AFM 측정을 통해 표면 형태를 분석한 결과 InAs 양자구조는 기저물질의 표면상태에 따라 양자대쉬, 비대칭적인 형태를 갖는 양자점, 대칭적인 형태를 갖는 양자점과 같이 다양하게 성장되었다. InAlGaAs 물질을 장벽층으로 하는 InAs 양자점의 평균크기는 폭이 대략 23 nm, 높이가 약 2 nm 이었다. 성장조건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광통신시스템에 중요한 파장중의 하나인 $1.55{\mu}m$ 발광파장을 갖는 InAs 양자점을 형성하였다.

전극 구조 변화에 따른 Cold Hollow Cathode Ion Source의 특성 변화 (Characterization of Cold Hollow Cathode Ion Source by Modification of Electrode Structure)

  • 석진우;;한성;백영환;고석근;윤기현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0권10호
    • /
    • pp.967-972
    • /
    • 2003
  • 직경 5 cm cold hollow cathode 이온원을 박막의 이온보조증착법 또는 이온보조반응법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이온빔으로 넓은 면적을 균일하게 조사할 수 있는 이온원을 설계, 제작하기 위한 방안으로 연구하게 되었다. 이온원은 글로우 방전을 위한 음극과 이온화 효율의 증가를 위한 자석, 플라즈마 챔버, 그리드 전극으로 이루어진 이온광학시스템, 직류전원공급장치로 이루어진다. 전자인출전극의 구조 및 형태로 구분하여 한개의 노즐로 이루어진 (I) 형태와 복수개의 노즐로 변형된 (II) 형태로 제작하였다. 서로 다른 구조의 전자인출전극 (I)형태와 (II) 형태를 부착한 이온원에 beam profile을 측정한 결과 (I) 형태의 전자인출전극을 부착한 경우에는 이온원의 중심에서 140 $\mu\textrm{A}$/$\textrm{cm}^2$으로 측정되어 졌으며, 외곽으로 멀어질수록 급격히 전류밀도가 감소하여 균일한 영역(최대값의 90%)은 직경 5 cm로 측정되어졌다. (II) 형태로 변형되어진 이온원의 경우 중심에서 65 $\mu\textrm{A}$/$\textrm{cm}^2$으로 (I) 형태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전류밀도가 측정되었지만 외각으로 멀어졌을 경우에도 전류밀도는 완만하게 감소하여 균일한 영역은 직경 20 cm로 측정되었으며, 본 연구목적에 부합되는 특성이 측정되었다. 이온빔 균일도가 증가한 (II) 형태의 전자인출전극을 부착한 이온원으로 주입하는 아르곤 가스량의 변화, 이온광학시스템의 플라즈마 그리드 전극과 가속 그리드 전극 간격의 조절, 이온빔 에너지 변화에 따른 beam profile 및 특성을 괸찰하였다.

광릉늑대거미 (Arctosa kwangreungensis) 배후발생과정의 조직 미세구조 분석 (Histologic and Microstructural Analyses on Postembryonic Development in the Wolf Spider Arctosa kwangreungensis (Araneae: Lycosidae))

  • 양성찬;문명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42권1호
    • /
    • pp.17-26
    • /
    • 2012
  • 배회성거미류의 배후발생과정에서 형태적 분화가 행동학적 특성으로 발현되는 기전을 규명하기 위하여 광릉늑대거미(Arctosa kwangreungensis) 후기배아와 각 발생 단계의 유충을 실험재료로 그 조직학적 및 미세구조적 변화를 광학 및 주사전자현미경으로 분석하였다. 난황주머니를 가진 후기배아는 부속지의 근육조직과 신경절의 미분화로 비활성상태를 유지하며, 시각기의 신경절과 신경의 발달도 미약하였다. 제1령 유충의 두흉부에서는 미분화된 세포집단이 관찰되고 체색의 발현과 복부신경절의 분화가 현저하였다. 먹이 활동을 시작하는 제2령 유충의 중추신경계에는 신경섬유가 급격히 증가되었고, 성체와 유사한 부속지의 분절구조와 시각기의 조직학적 체제가 확립되었다. 제3령 이후의 유충들은 탈피를 거듭하여 두흉부에서 중추신경계가 차지하는 영역이 축소되었고 독선과 근육조직, 그리고 결합조직등의 활발한 분화가 진행되었다. 먹이활동을 시작하는 제2령 유충 단계에서 부속지와 시각기의 조직학적 발생과 이를 통제하는 신경계의 분화가 완료되는 것으로 미루어, 섭식환경이 배후발생과정을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시각과 부속지에 의존하여 먹이를 포획하는 배회성거미류의 행동 습성이 형태조직학적 분화와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원숭이 외측슬상체배측핵에서 칼슘결합단백 Parvalbumin과 Calbindin-D 28K의 분포 (Immunocytochemical Localization of Parvalbumin and Calbindin-D 28K in Monkey Dorsal Lateral Geniculate Nucleus)

  • 고승희;배춘상;박성식
    • Applied Microscopy
    • /
    • 제24권4호
    • /
    • pp.61-77
    • /
    • 1994
  • The calcium-binding proteins (CaBP), parvalbumin (PV) and calbindin-D 28K (calbindin) are particularly abundant and specific in their distribution, and present in different subsets of neurons in many brain regions. Although their physiological roles in the neurons have not been elucidated, they are valuable markers of neuronal subpopulations for anatomical and developmental studies. This study is designed to characterize dorsal lateral geniculate nucleus (dLGN) neurons and axon terminals in terms of differential expression of immunoreactivity (IR) for two well-known CaBPs, PV and calbindin.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on 6 adult monkeys. Monkeys were perfused under deep Nembutal anesthesia with 2% paraformaldehyde and 0.2% glutaraldehyde in 0.1M phosphate buffer. After removal, the brains were postfixed for 6-8 hr in 2% paraformaldehyde at $4^{\circ}C$ and infiltrated with 30% sucrose at $4^{\circ}C$. Thereafter, they were frozen in dry ice. Serial sections of the thalamus, at $20{\mu}m$, were made in the frontal plane with a sliding microtome. The sections were stained for PV and calbindin with indirect immunocytochemical methods. For electron microscopy, after infiltration with 30% sucrose the blocks of thalamus were serially sectioned at $50{\mu}m$ with a Vibratome in the coronal plane and stained immediately by indirect ABC methods without Triton X-100 in incubation medium. Stained sections were postfixed in 0.2% osmium tetroxide, dehydrated and flat-embedded in Spurr resin. The block was then trimmed to contain only a selected lamina or interlaminar space. The dLGN proper showed strong PV IR in fibers in all laminae and interlaminar zones. Particularly dense staining was noted in layers 1 and 2 that contain many stained fibers from optic tract. Neuronal cell body stained with PV was concentrated only in the laminae. In these laminae staining was moderate in cell bodies of all large and medium-sized neurons, and was strong in cell bodies of some small neurons together with their processes. Calbindin IR was marked in the neuronal cell body and neuropil in the S layers and interlaminar zones whereas moderate in the neuropil throughout the nucleus. Regional difference in distribution of PV and calbindin IR cell is distinct; the former is only in the laminae and the latter in both the S layer and interlaminar space. The CaBP-IR elements were confined to about $10{\mu}m$ in depth of Vibratome section. The IR product for CaBP was mainly associated with synaptic vesicle, pre- and post-synaptic membrane, and outer mitochondrial membrane and along microtubule. PV-IR was noted in various neuronal elements such as neuronal soma, dendrite, RLP, F, PSD and some myelinated or unmyelinated axons, and was not seen in the RSD and glial cells. Only a few neuronal components in dLGN was IR for calbindin and its reaction product was less dense than that of PV, and scattered throughout cytoplasm of soma of some relay neurons, and was also persent in some dendrite, myelinated axons and RLP. The RSD, F, PSD and glial elements were always non-IR for calbindin. Calbindin labelled RLP were presynaptic to unlabeled dendrite or dendritic spine and PSD. Calbindin-labeled dendrite of various sizes were always postsynaptic to unlabeled RSD, RLP or F. From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dLGN cells of different functional systems and their differential projection to the visual cortex can be distinguished by differential expression of PV and calbindi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