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ction broadcast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38초

TV선거개표방송의 방송그래픽 내용분석 (Content analysis of Broadcast Graphic for TV Election Returns Broadcasting)

  • 신유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130-137
    • /
    • 2009
  • TV선거개표방송은 각 방송사의 공공적 책임과 과학적 분석력, 제작 경쟁력을 가늠하는 척도가 된다. 이런 이유로 각 방송사는 선거개표방송의 제작에 많은 비용과 인력, 시설 등을 사용한다. TV선거개표방송은 그 제작과 형식, 표현 등에 있어서 많은 발전을 해왔는데, 그 중에도 선거관련정보를 전달하는 방송그래픽, 인서트그래픽은 제작기술의 발전과 다양한 방식의 표현, 시각적 효과로 인해 근래의 TV선거개표방송의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TV선거방송의 인서트그래픽의 영상구성요소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각 방송사는 인서트그래픽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안정성과 신뢰성을 그 시각적 이미지로, 정확하고 명료한 정보 전달을 최우선으로 제작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제작기술발전에 의한 다양한 영상의 제작은 물론 더욱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정보전달에 대한 방법적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초기 가상스튜디오 활용 사례 연구: 1990년대 중반 국내 선거방송을 중심으로 (Early Virtual Studio Use Case Study: Focusing on domestic election broadcasting in the mid-1990s)

  • 나소미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호
    • /
    • pp.53-62
    • /
    • 2022
  • 선거방송은 1990년대 중반부터 가상스튜디오를 활용하기 시작했다. 1996년 SBS의 '버추얼스튜디오'는 세계 최초로 가상스튜디오를 도입한 한국 방송 기술의 혁신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이전에도 KBS와 MBC에서 가상스튜디오라고 명명하고 선거방송에 활용한 사례가 있다. 선거방송에서 가상스튜디오를 포함한 CG(Computer Graphics) 사례 연구는 2000년대 이후에는 다양하게 진행됐으나 초기(2000년대 전)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실제로 가상스튜디오를 이용하기 시작한 1990년대의 중반의 사례를 분석하여, 기존의 연구를 보완하였다. 1995년에 스모키(KBS), 매직 II(MBC) 기술로 시작하여, 가상스튜디오의 초기 모델을 제시하였고, 이후 SBS의 가상스튜디오와 함께 각 방송사는 드림스튜디오(KBS), Space 21 스튜디오(MBC)라는 이름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분석 결과 선거방송은 데이터와 당선 예측을 보여주던 도표에서 가상스튜디오의 도입을 기점으로 선거방송이 스토리를 구성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논문은 초기 가상스튜디오의 가치를 다루는 역사 연구의 한 형태로써 미디어가 발전하는 한 형태인 재매개의 과정을 살펴보는 데 의의가 있다.

Malaysia's 13th General Election: Political Communication and Public Agenda in Social Media

  • Sern, Tham Jen;Zanuddin, Hasmah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1권2호
    • /
    • pp.73-89
    • /
    • 2014
  • Everyone has a voice and can broadcast it to the world. We hear about the old maxim of media do not tell people what to think but what to think about. Under this theory or approach, a key function of political communication is to make the public think about an issue in a way that is favorable to the sender of the message. In a democracy, political communication is seen as crucial for the building of a society where the state and its people feel they are connected. Thus, this is a study on how social media (e.g., Facebook, blogs, and YouTube) were used in the domain of Malaysian politics during the 13th general election campaigning period in order to set the agenda to form public opinion. The study found that Facebook was the most popular social media tool that political parties actively engaged with during the 13th general election campaign period. Apart from that, issues pertaining to the election were significantly highlighted by the political parties in social media, especially Facebook. However, other issues that were also important to the people such as the economy, crime, and education were not sufficiently highlighted during the election campaign period. This indicates that the political parties influence the public on what to think about using social media.

K-Box : 마그네틱 센서기반 투표함 모형 추적을 이용한 증강현실 선거 방송 시스템 및 어플리케이션 구현 (K-Box : Augmented reality broadcasting system using magnetic sensor based ballot box model tracking and its election applications)

  • 양기선;오주현;김병선;김창헌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8-20
    • /
    • 2015
  • 본 논문은 마그네틱 센서 기반의 오브젝트 추적 기술을 이용한 혼합현실 선거 방송 시스템을 제안한다. 마커 기반의 증강현실 기술은 방송환경에서는 강한 조명으로 인하여 마커의 특징점 추출의 간섭 및 소실로 추적이 끊기는 문제가 있다. 특히, 선거방송와 같은 생방송 중에 그래픽이 튀거나 사라지는 것은 방송 사고와 다름없다. 따라서, 우리는 조명이나 가림의 영향 없이 추적 성능을 강인하게 하기 위해서, 무선의 마그네틱 센서를 내장한 별도로 제작한 투표함 모형을 추적하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마그네틱 센서를 내장한 실물 투표함을 실시간으로 추적하게 하고, 그 정보를 증강현실 방송 시스템과 통합한 시스템 구성 및 그것을 이용한 증강현실 선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보여준다. 그 결과, 연기자가 선거정보그래픽과 연동하는 투표함을 자유롭고 직관적으로 움직일 수 있었으며, 자연스러운 증강현실 합성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한국 방송에서 초기 컴퓨터 활용에 관한 연구: 선거 개표방송 변천사를 중심으로(1985년-1992년) (A Study on the Early Computer Utilization in Korean Broadcasting: Focusing on the History of Election Broadcasting(1985-1992))

  • 나소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1호
    • /
    • pp.301-307
    • /
    • 2022
  • 오늘날 각 방송사는 선거방송에서 최신 기술인 CG(computer Graphics)를 최대한 사용하여 시청자의 눈을 사로잡으려고 경쟁한다. 이 논문은 CG디자이너의 관점에서 선거 개표방송 내의 CG 기술과 디자인의 변천사를 조사하였다. 컴퓨터를 활용하여 선거 개표방송을 시작한 1980년대부터 가상스튜디오가 본격적으로 활용되기 전까지, 총선, 대선, 지방선거의 개표방송 영상을 시청하면서 CG로 제작한 이미지 부분과 기술의 활용을 다각도로 분석하였다. 국내에서는 자체 개발한 EDDS(Election Data Display System)부터 시작하여, 컴퓨터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화를 하였고, 그 시기부터 일일이 수작업한 애니메이션 CG를 도입하였다. 이후 방송사는 다양하고 화려한 CG 이미지 경쟁에 초점을 맞추었고, CG 이미지는 기술과 디자인이 함께 발전하면서, 2차원에서 3차원으로 확장되었다. 한국 방송은 1985년부터 1992년 사이에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면서, 정보력에 중점을 두었던 것에서 이미지로 변화하는 과도기라고 볼 수 있다.

디지털 방송 카메라와 토론자 간의 시각 편차 해석 (Analysis of sight deviation between the panelists and the camera of digital broadcasting)

  • 최철재;주석흠;이태희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835-840
    • /
    • 2014
  • 본 논문은 선거방송에 참여한 토론자가 제한시간 확인을 위해 디지털 초시계를 빈번하게 곁눈질로 인하여 발생하는 토론자와 촬영 중인 디지털 방송 카메라와의 시각 불일치에 대한 시각편차에 대하여 해석하였다. 스튜디오와 같은 소규모 토론회에서는 토론 참여자와 온에어 방송카메라와의 시각 일치는 비교적 안정적이다. 그러나 공개토론이나 토론 참여자가 다수인 경우 중앙에 설치된 대형 LCD 모니터 초시계를 지속적으로 곁눈질함으로 발생하는 시각의 편차가 심각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토론자 인원수, 데스크의 길이, 디지털 초시계와의 거리, 방송 카메라와의 거리와 높이에 따른 시각편차의 해석방법에 관하여 논한다.

선거방송을 위한 선거후보 당선자 예측 어플리케이션 - 제 20 대 국회의원 선거에 적용한 연구 - (Application for Predicting Candidate on Election Broadcasting - A Case Study on the 20th Assembly Election -)

  • 양근석;구진원;노민철;신용우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6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95-98
    • /
    • 2016
  • 민주주의의 꽃, 제 20 대 국회의원 선거가 막을 내렸다. 지난 선거에서는 방송사뿐만 아니라 정당들도 엄청난 비용 지출과 노력이 소요되었다. 한 예로, 지난 4. 13 총선거 (제 20 대 국회의원)에서 방송 3 사 출구조사 비용으로 약 66 억원 이상이 지출됐다. 그리고 정당에서는 여론조사 비용으로 약 70 억원 이상을 지출했다. 이러한 큰 비용 지출과, 담당자들의 노력을 줄이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텍스트 마이닝과 감정분석을 적용한 후보 당선자 예측 어플리케이션을 제안한다. 첫째, 소셜 그래프 모델을 소개하여 지역 구조를 발견한다. 둘째,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후보자 관련 데이터를 가공한다. 셋째, 텍스트 감정 분석을 통해 후보자의 정보를 수치화 한다. 본 논문의 성능과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해, 제 20 대 국회의원 선거에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제안한 방법이 정확도와 수학적 통계 검증을 통해 가치 있는 효율성을 보였다. 선거방송을 위한 후보자 예측 도구의 도입으로 향후 선거(방송)에서의 큰 비용과 노력을 줄이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 기대한다.

  • PDF

TV 선거 공론장 구조 연구: 기계적 제도화의 역설(Paradox) (Study of the Electoral TV-Public Space: Paradox of the Mythical Structure Manipulated by the Technical Institutionalization)

  • 박태순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6권
    • /
    • pp.198-230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미디어 선거가 제도적으로 발전하면서 파생하고 있는 선거 공론장의 역설적 현상들을 밝혀내는 것이다. 오늘날 TV방송은 방송 저널리즘 차원을 넘어서 정치적장의 중심에 자리 잡기 시작하였으며 중요한 정치적 실천 기제가 되었다. TV방송과 대의 민주주의 체제의 융합은 미디어크라시(Mediacracy) 혹은 텔레크라시(Telecracy)라 일컬어지는 새로운 정치 구조를 생산하고 있다. 이 두 분야의 융합에 따른 새로운 정치 현상은 무엇보다도 선거에서 잘 나타난다. TV방송은 선거 후보자들에게 다양한 정치적 상징들을 생산하고 무수한 대중에게 시, 공간적 제약을 벗어나 전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따라서 TV선거방송은 후보자들에게는 가장 유효하고 영향력 있는 선거운동의 장이 되고 있다. 이러한 영향력의 확대에 따라서 국가는 이 선거 공론의 장에 대하며 보다 적극적으로 개입하기 시작했다. 국가 중심의 제도화는 TV선거방송을 표준화, 규격화함으로써 모든 후보자들이 쉽게 참여할 수 있고 유권자들에게는 보다 명확한 판단의 기준들을 제공해 줄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그러나 또 한편으로는 이 제도화가 시민 공론장으로서 방송의 역할을 국가적 행정체계와 방송의 기술체계에 종속시키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기술 중심의 기계적 제도화는 선거방송을 정치적 상징의 생산과 상징적 이미지의 작동을 제한하고 통제하는 체제로 구조화시키고 있다. 결국, 도구적 합리성과 기술적 관리 체계에 바탕을 둔 제도화는 선거방송에서 정치적 인간(Homo politicus)의 주체성을 후퇴시키고 행정 및 방송 기술을 정치적 상징을 생산하고 작동하는 주체로 만들고 있다. 이러한 프랑켄슈타인적 전도는 TV선거방송을 신화적 공론장으로 귀결시킨다. TV선거 공론장의 역설(paradox)은 미디어 선거 시대에 유권자의 탈정치화, 정치의 픽션화 그리고 그에 따른 선거의 무관심을 고조시킴으로써 미디어와 정치의 위기를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 따라서 정치적 인간 주체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국가 중심의 제도체계를 벗어나 시민들이 TV선거 공론장의 주체적 참여자가 되도록 개방해야 할 필요가 있다.

  • PDF

총선 출구조사에서 정당별 지역구 의석수 추정 (Estimating the Number of Seats in Local Constituencies of a Party Using Exit Polls in the General Election)

  • 김지현
    • 응용통계연구
    • /
    • 제26권1호
    • /
    • pp.59-70
    • /
    • 2013
  • 2012년 4월 11일 총선 당일 이루어진 출구조사에서 정당별 의석수를 구간으로 예측했음에도 불구하고 예측이 빗나갔다. 지상파 3사가 출구조사는 공동으로 실시하였지만 정당별 의석수 예측은 각자 하였다고 하는데 구체적 예측 방법은 공개하지 않았다. 이 논문에서 정당별 지역구 의석수를 구간으로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그 성능을 모의실험을 통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제19대 총선 출구조사의 실제자료에 적용해 보았다.

IPv6 Autoconfiguration for Hierarchical MANETs with Efficient Leader Election Algorithm

  • Bouk, Safdar Hussain;Sasase, Iwao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11권3호
    • /
    • pp.248-260
    • /
    • 2009
  • To connect a mobile ad hoc network (MANET) with an IP network and to carryout communication, ad hoc network node needs to be configured with unique IP adress.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 server autoconfigure nodes in wired networks. However, this cannot be applied to ad hoc network without introducing some changes in auto configuration mechanism, due to intrinsic properties (i.e., multi-hop, dynamic, and distributed nature) of the network. In this paper, we propose a scalable autoconfiguration scheme for MANETs with hierarchical topology consisting of leader and member nodes, by considering the global Internet connectivity with minimum overhead. In our proposed scheme, a joining node selects one of the pre-configured nodes for its duplicate address detection (DAD) operation. We reduce overhead and make our scheme scalable by eliminating the broadcast of DAD messages in the network. We also propose the group leader election algorithm, which takes into account the resources, density, and position information of a node to select a new leader. Our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our proposed scheme is effective to reduce the overhead and is scalable. Also, it is shown that the proposed scheme provides an efficient method to heal the network after partitioning and merging by enhancing the role of bordering nodes in the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