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derly men and women

검색결과 538건 처리시간 0.037초

농촌지역 노인에서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의 2년 후 변화 (Changes of Risk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among the Elderly in the Rural Area after Two Years)

  • 오숙희;김하정;손석준;심정신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5권1호
    • /
    • pp.36-45
    • /
    • 2010
  • 대사증후군으로 확진된 65세 이상 농촌지역 노인의 2년 후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와 건강생활습관행태의 변화를 보고자 2006년 7월 1일부터 8월31일까지 J군 보건소에서 건강검진을 받았던 134명 중에서 대사증후군에 해당된 65명을 선정하여 이 가운데 2년 후 재방문한 62명의 노인을 최종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 결과 2006년 대사증후군 62명이 2008년에는 53명으로 감소되어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전체적으로 14.5%가 감소하였다. 2년 동안 대상자의 대사증후군 변화 양상을 보면 1차 조사 시 비정상 기준치에서 2차 조사 시 정상으로 변화된 대상자는 허리둘레 8.1%, 수축기혈압 6.5%, 공복혈당 4.8%, 총콜레스테롤 3.2%, 이완기혈압 1.5%순이었다. 이에 반해 2년 전 정상 기준치이었으나 2년 후 비정상 기준치를 보인 대상자는 공복혈당6.4%, 허리둘레 4.8%, 총콜레스테롤 1.6% 순이었다. 교육수준($X^2$=12.691, p=.002), 흡연($X^2$=9.074, p=.001), 운동습관($X^2$=8.880, p=.012), 과거병력($X^2$=7.669, p=.010)에 따라 대사증후군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사증후군 예방을 위해서는 향후 교육수준이 낮은 그룹의 행동위험인자를 규명할 것을 제안하며, 대상자의 학력수준별 맞춤식 교육 및 상담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흡연군, 비운동군, 과거병력이 있는 군에게 집중적으로 대사증후군 예방을 위한 정기검진을 강화하고, 스스로 관심을 갖도록 교육과 개별상담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인식된 짐스러움이 노인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삶의 의미와 사회참여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Perceived Burdensomeness on Suicidal Ideation of Older Adults: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Meaning in Life and Social Participation)

  • 홍주안;권호인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4권3호
    • /
    • pp.411-42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인식된 짐스러움과 좌절된 소속감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삶의 의미가 매개하는지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이 과정에서 노인 자살의 보호 요인으로 알려진 사회참여가 조절효과를 갖는지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호남지역에 거주 중인 남녀 노인 403명으로, 이들을 대상으로 자살사고, 인식된 짐스러움과 좌절된 소속감, 삶의 의미(의미 발견/의미 추구), 사회참여에 대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PROCESS Macro를 사용한 매개분석 결과 인식된 짐스러움이 삶의 의미 발견을 약화시킴으로써 자살사고를 강화하는 경로임을 확인하였다. 반면 좌절된 소속감은 자살사고로 가는 직접 경로만이 유의했다. 사회참여를 포함한 조절된 매개분석 결과 인식된 짐스러움이 삶의 의미 발견 약화를 통해 자살사고로 이어지는 경로를 사회참여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의 함의, 제한점 및 추후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고령운전자의 자가보고식 운전능력에 대한 경로분석 (Path Analysis of the Self-Reported Driving Abilities of Elderly Drivers)

  • 이유나;유은영;정민예;김종배;김정란;이재신
    • 대한작업치료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57-72
    • /
    • 2018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고령운전자의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자가보고식 운전능력 및 상관성을 파악하고 시각, 청각, 인지, 운동, 심리요인을 바탕으로 설정한 가설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여 지역사회 고령운전자의 자가보고식 운전능력에 대한 경로모형을 제시하고자 함이었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만 65세 이상 지역사회 거주 고령운전자의 122명이었다. 대상자들의 시각과 청력, 운동기능, 인지기능, 우울 및 자가보고식 운전능력을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하여 분석하고 가설모형의 검증을 위해 AMOS 22.0을 사용하여 경로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연구결과 남성의 경우 여성보다 자가보고식 운전능력 점수가 높았으며 주간 운전일수 6~7일인 경우는 주 3일 이하에 비해 점수가 높았다. 면허취득 기간과 운전경력은 자가보고식 운전능력과 정적 상관성을 보였다. 경로모형의 적합성 결과 최종모형은 p값(.911)이 .05를 초과하며, TLI(1.202), NFI(.949), CFI(1.000)가 모두 .90이상이고 RMSEA(.000)는 0.1이하로 가설모형이 측정 자료에 잘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첫째, 우울, 청력감퇴, 악력은 고령운전자의 자가보고식 운전능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나이는 우울, 악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우울과 악력을 매개하여 자가보고식 운전능력에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었다. 셋째, 우울은 인지처리지연과 악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고령운전자의 자가보고식 운전능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의 직 간접적인 관계를 파악하고 자가보고식 운전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의 다차원적인 효과를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었다.

일부 농촌지역 노인들에서 Edinburgh 파행 설문지를 이용한 말초동맥질환 유병률 (Prevalence of peripheral arterial disease(PAD) used by edinburgh claudication questionnaire among the elderly people in rural communities)

  • 손지연;김귀연;이종영;김두희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8권2호
    • /
    • pp.364-372
    • /
    • 1995
  • 말초동맥질환 유병률을 조사하기 위하여 경상북도 경산군 남산면과 진량면 53개 리의 65세 이상 노인 803명을 방문 면담 조사하였다. 조사 도구로는 Edinburgh 파행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더불어, 성별, 연령, 흡연 습관에 관하여 질문하고, 신장과 체중을 측정하여 체질량 지수로 치환하고, 혈압을 측정하였다. 말초동맥질환의 유병률은 9.0%이며 남자는 8.5%, 여자는 9.3%로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리고, 전형적 파행은 3.9%이고, 비전형적 파행은 5.1%이고 증상의 정도를 보면 1도는 4.4%, 2도는 4.6%이었다. 연령에 따른 말초동맥질환의 유병률을 보면 $65\sim69$세는 7.7%, $70\sim74$세는 9.5%, $75\sim79$세는 9.7%, 80세 이상은 9.8%로 연령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은 있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말초동맥질환의 유병률은 수축기 혈압이 160mmHg 이상군에서는 18.9%로 160mmHg 미만군의 7.9%보다 유의하게 높았고(p<0.05), 체질량 지수가 20미만군에서는 15.1%이고, $20\sim25$ 미만군에서는 10.3%, 25 이상의 비만군에서는 2.8%로 체질량 지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병률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흡연군에서는 8.8%, 비흡연군은 9.0%로 흡연에 따른 말초동맥질환의 유병률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우리나라 농촌지역 노인들에서의 말초동맥 질환의 유병률이 9.0%로 말초동맥질환이 우리나라에서도 중요한 노인보건문제로 추후 이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노인의 우울과 가족관계가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연구 (Impact of Depression and Family Relationship on Problem Drinking among Older Adults)

  • 윤숙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4호
    • /
    • pp.11-17
    • /
    • 2016
  •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음주문제의 정도와 우울과 가족관계 요인이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자료는 한국복지패널(Korea Welfare Panel Study)의 2015년에 발표된 2014년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한국복지패널 자료는 서울을 포함한 7개 광역시와 제주도를 비롯한 9개도의 가구를 대상으로 연 1회 실시하는 전국적인 자료이다. 연구대상의 음주문제를 파악하기 위해 세계보건기구의 AUDIT(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논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음주문제의 차이를 교차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남성노인과 여성노인은 음주문제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음주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가를 살펴보면, 나이가 어릴수록 음주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울과 가족관계가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우울이 가족관계보다 상대적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건강한 노후의 삶을 살아가기 위한 신체적 정신적 건강은 노인의 삶의 질에 중요한 요인으로 노인의 건강습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예방 차원의 접근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농촌지역 노인들의 인지기능 장애와 사망과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gnitive Impairment and Mortality in the Rural Elderly)

  • 선병환;박경수;나백주;박요섭;남해성;신준호;손석준;이정애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0권3호
    • /
    • pp.630-642
    • /
    • 1997
  • 60세이상 노인인구를 대상으로 '농촌지역 노인들의 우울 및 인지기능 장애에 관한 연구'를 한 이정애와 정향균의 연구대상 558명에 대해 농촌지역 노인들의 인지기능 장애와 사망과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3년동안 동안 전체 대상자의 사망률은 558명중 57명인 10.2%이었으며 353명의 정상 인지기능군 중 사망자는 30명으로 사망률 8.5%, 126명 의 경도 인지장애군중 사망자는 14명으로 사망률 11.1%, 79명의 중증 인지장애군중 사망자는 13명으로 사망률 16.5% 이었다(표 3). 2) 3년동안 전체 연구 대상자의 생존율은 0.91이었으며 정상, 경도, 중증 인지기능 장애군의 3년 생존율은 각각 0.92, 0.90, 0.86이었다. 로그 순위 검정법으로 인지기능 정상군과 경도 및 중증의 각 인지기능 장애군의 생존곡선을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인지기능 정상군과 경도 이상의 인지기능 장애군간 생존곡선을 비교한 결과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혼란변인을 보정하지 않는 Cox의 비례위험 회귀 모형의 단변량분석의 결과 95% 신뢰구간(C.I. : Confidence Interval)에서 사망위험도가 유의한 변인은 연령, 월수입, 흡연습관, 신체장애 등이었으며, 인지기능 장애정도를 정상 그리고 경도 및 중증으로 분류한 분석에서는 정상군에 비해 경도 및 중증의 사망위험도가 유의하게 높지 않았으나, 인지기능 점수(MMSEK score)의 증가에 따른 분석 결과 사망위험도가 0.94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표 4). 4) 잠재적 혼란변인들의 영향을 보정한 Cox의 비례위험 회귀모형의 다변량 분석의 결과 인지기능 장애정도 및 MMSEK 점수증가에 따른 사망위험도는 어느 모형에서도 인지기능 장애정도가 사망에 미치는 위험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표 5). 5) 남녀별로 각각 인지기능 장애와 사망위험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다변량 분석을 시행한 결과 인지기능 장애정도 및 MMSEK 점수 증가에 따른 사망위험도는 어느 모형에서도 인지기능 장애정도가 사망에 미치는 위험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표 6, 표 7). 이상 본 연구는 농촌지역 노인들에서 인지기능 장애정도가 사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지만, 인지기능 장애정도가 사망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고찰하지 못하였다.

  • PDF

노인의 만성동통 유무에 따른 건강상태 및 일상활동장애 비교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nd Activities for the Pain and No-pain Groups in the Elderly)

  • 김효정;김명애;박경민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4권1호
    • /
    • pp.79-89
    • /
    • 1999
  • 본 연구는 동통이 있는 노인 집단과 동통이 없는 노인 집단간의 제 특성, 건강상태와 일상 생활 장애정도와 비교해서 노인 동통관리의 기초자료로 삼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였다. 연구대상은 대구시 일부 저소득층 아파트 밀집지역의 가정노인 189명이었고 자료수집기간은 1997년 11월 6일부터 11월 16일까지 였으며 가정 및 복지기관을 방문하여 대상자와 일대일 면접으로 면접자가 직접 기록하였다. 연구도구는 연구자가 국내 외 동통관련문헌을 고찰후 노인의 동통특성을 잘 나타내는 문항을 선택하여 작성하였다. 질문내용은 일반적 특성 7문항, 현재 건강상태에 관한 1문항, 지난 1년간 동통경험유무에 관한 1문항, 동통이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장애에 관한 5문항, 총 1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AS Program으로 전산처리 하였으며 동통유무별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동통유무별 건강상태의 차이와 일상생활활동 장애정도의 차이검증을 위해 ${\chi}^2$ 검증을 이용하였다. 1. 전체 대상자수(N=189)에 대해 지난 1년간 동풍을 경험한 대상차 (N=158)의 비율은 83.6%였고 동통 경험이 없는 자(N=31)의 비율은 16.4%였다. 2. 성별 동통호소율은 남자에서 69.5%(N=41), 여자에서 90.0%(N=117)의 분포를 나타내 여자가 남자보다 훨씬 높은 비율을 차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chi}^2$=12.448, df=1, P=.000) 3. 배우자 유무에 있어서는 '유'가 동통호소 집단에서 40.7%인 반면 비동통집단에서 73.3%로 더 많았고 '무'가 비동통집단에서 26.7%인 반면 동통호소집단에서 59.3%로 더 많아 두 집단간 배우자 유무분포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chi}^2$=10.736, df=1. P=.001) 4. 교육수준은 국문해독가능여부에 따라 '문맹'과 '국문해독가능'으로 측정한 결과 동통호소집단에서 운맹 비율(49.0%)이 높은 반면 비동통집단에서는 국문해독가능한 자의 비율(86.7%)이 더 높아 두 집단간 교육수준분포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chi}^2$=13.020, df=1, P=.000) 5. 직업에 있어서는 전일제 또는 시간제로 작업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동통호소집단에서 7.0%인 반면 비동통집단에서 32.3%로 직업을 가지지 않은 사함의 비율이 동통호소집단에서 더 높아 두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chi}^2$=18.807, df=2, P=.000) 6. 주관적인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한 분포에서, 동통호소집단은 건강 16.5%임에 비해 불건강은 61.4%이며 비동통집단은 각각 64.5%, 6.5%를 차지해, 동통호소집단에서 불건강호소률이 높아 두 집단간 건강상태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chi}^2$=40.055, df=1, P=.000) 7. 일상생활 장애정도에 대한 동통호소집단과 비동통집단의 비교에서는 동통호소집단이 비동통호소집단에 비해 활동량 감소율(${\chi}^2$=57.829, df=1, P=.000), 수면장애율(${\chi}^2$=12.785, df=1, P=.000), 근무, 집안일, 용무 등 일상생활을 잘 수행하지 못하는 비율(${\chi}^2$=39.196, df=1, P=.000), 친척이나 친구가 집에 방문했을 때 잘 응대하지 못하는 비율(${\chi}^2$=13.163, df=1, P=.000), 취미생활이나 오락활동과 같은 즐거운 일을 하지 못하게 되는 비율(${\chi}^2$=28.177, df=1, P=.000)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 PDF

부산 경남지역 산업체급식소의 급식 평가 연구 -급식대상자를 중심으로- (Consumer's Perceptions of The Quality of Employee Foodservice in Pusan City and Kyeung Nam Provinces -By the Consumers' Characteristics-)

  • 이명해;류은순;강현주;류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409-420
    • /
    • 1996
  • Consumer's perceptions of the qualities of food and food-related services were surveyed through questionnaires by 672 adults randomly selected from 20 industrial foodservice in Pusan and Kyeung Nam a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By age, the elderly group gaved the highest mean score not only for freshness and temperature among the food characteristics but also for cleanliness of dishes and materials of dishes among the food-related service. 2) By occupation, the white collar worker group gaved the highest mean score in all characteristics of food and food-related service than did the blue collar worker group. Especially for courtesy of employees, the mean rating given by the white collar worker group was 3.15/5.00, but by the blue collar worker group was 2.67/5.00. 3) Good appetitive group rated taste of food 3.15/5.00, quality of food vs. food price 3.17/5.00, and freshness 3.15/5.00. But poor appetitive group rated taste of food 2.44/5.00, quality of food vs. food price 2.65/5.00, and freshness 2.70/5.00. 4) Men agreed that the rice and soup were right in amount. And women responded that the rice was in a large amount and the soup was not enough. 5) The white collar worker group agreed that the rice, the soup, the side dish, and the kimchi were right in amount. However the blue collar worker group agreed that the rice was right in amount, the soup and the side dish were not enough, and the kimchi was in a large amount. For seasoning of food, the white collar worker group responded that the salty taste and the hotness were just right. But the blue collar worker group responded that the food was neither salty nor hot at all. 6) The taste of food was shown to be positively correlated (p<0.001) with various food item combinations, freshness of food, and the variety of cooking methods.

  • PDF

60세 이후 노년층의 식습관조사 (A Survey of Food Habits of the Elderly Over Sixty Years of Age in Seoul)

  • 김선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0권4호
    • /
    • pp.59-67
    • /
    • 197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know the food habits of 200 persons, 89 males and 111 females, aged 60 years and over from June 13 to July 2, 1977 in Seoul.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Changes of the food preferences The preferences about foods after 60 years of age showed in lower scores of dislikes than those before and, however,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Beef was the item which 75% of the subjects liked and was the highest in desire to eat, Likes for hot, salty, and sour taste except sweet were diminished but they generally liked hot or sweet food rather than sour or salty one and also warm dish rather than cold one. A majority of them wanted to have their meals cook more soft and tender. 2. Intakes of foods The average consumptions of the basic food groups per capita per day were 475.5g of males .and 431.8g of females for cereals and grains, 119.6g and 103.6g for meats add legumes, 221.7g and 216. lg for fruits and vegetables, 52.6g and 39.4g for milk and small fishes, and 5.0g and 4.7g for fats and oils. 3. Intakes of calorie and nutrients The percentage contributions of three nutrients, carbohydrate, protein, and fats to the total amounts of calories were 75.9, 12.4, and 11.7% of mates and 75.6, 12.4, and 12.0% of females. Women had a slightly higher percentage of caloric intake to RDA than men who didn't satisfy RDA. The subjects revealed an insufficient protein intake as well as calcium. Therefore, many older people have to be convinced of the importance of milk for both nutrients. The mean ratios for iron, niacin, and thiamin intake were higher than RDA and on the contrary. those for riboflavin, vitamin A, and ascorbic acid intake were below RDA. It seems necessary, for the aged to maintain good state of health, to promote their appetite, and to take regular mealtime because difficulty of teeth, illness, irregular mealtime, and loss of appetite had influence on less intakes of calorie and nutrients.

  • PDF

일부 대전시민의 영양상태와 지역사회 영양관리서비스 요구도에 관한 단면조사연구 (Nutritional status of Daejeon citizens and needs of community nutrition care services: a cross-sectional study )

  • 이다혜;전민선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23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nutritional status of residents, to examine the perception and needs of community nutrition care service, and to compare and analyze the results of females and males living in Daejeon, Korea. Methods: The subjects were 592 adults and elderly (278 men and 314 women) residents of Daejeon. The dietary quality was assessed using the nutrition quotient (NQ), and data of the perception and needs for community nutrition care service were obtained by a questionnaire survey. Descriptive analysis was applied to analyz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erception and needs of the respondents, and independent t-test and chi-square test were performed to analyze and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female and male participants. Results: A nutritional status that required monitoring was established in 78.9% of the respondents in this study. The balance factor (29.1 points) was much lower than the national average. In the diversity factor, the NQ score of the female group was 47.6 points, which was 8 points lower than that of males; the NQ grade was 43.9%,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emales and males (P < 0.001).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ose who needed community nutrition care services were residents experiencing health care difficulties. Additionally, dietitians (35.6%) were pointed out as the most suitable service providers.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community nutrition care service operation was securing the budget (47.0%).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how that Daejeon residents need overall nutrition support, and a demand for community nutrition care services exists. Our findings provide basic data and can serve as a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and establishment of a community nutrition care service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