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isenia bicyclis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8초

Phaeophyta Extracts Exhibit Antiviral Activity against Feline Calicivirus

  • Choi, Yuri;Kim, Eunjung;Moon, Sunyoung;Choi, Jong-Duck;Lee, Myung-Suk;Kim, Young-Mo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7권1호
    • /
    • pp.155-158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viral activity of Phaeophyta extracts against feline calicivirus (FCV), used as a norovirus surrogate. A bioassay-guided cytotoxicity and virus infectivity assay revealed that methanolic extracts of Phaeophyta possessed significant antiviral activity against FCV. Among them, Eisenia bicyclis extract exhibited the highest antiviral activity against FCV. The 50% effective concentration of the extract ($EC_{50}$) inhibiting FCV viral replication by 50% was $80{\mu}g/mL$. The extract also showed the highest selectivity index, calculated from the ratio of the median cellular cytotoxicity concentration ($CC_{50}$) and $EC_{50}$, indicating antiviral efficacy against FCV. In addition, significant interruption of FCV infection was observed by pretreatment of host Crandall-Reese feline kidney cells with the E. bicyclis extract ($200{\mu}g/mL$) prior to virus infec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α-amylase and α-glucosidase inhibition effects of Korean edible brown, green, and red seaweed extracts

  • Ju-Won Ryu;Myeong Seok Lee;Mi-Jin Yim;Jeong Min, Lee;Dae-Sung Lee;Young-Mog Kim;Sung-Hwan Eom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6권3호
    • /
    • pp.181-187
    • /
    • 2023
  • The control of intestinal α-amylase and α-glucosidase is an effective therapeutic strategy for prevention of post-prandial hyperglycemia associated with diabetes mellitu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diabetes activities of Korean edible seaweed against α-amylase and α-glucosidase, two carbolytic enzymes involved in serum glucose regulation. Of the 41 species initially screened, Cladophora wrightiana var. minor, Eisenia bicyclis, Ecklonia cava, Ishige foliacea, and Ishige okamurae exhibited the strongest inhibitory activities from brown seaweeds. Asparagopsis taxiformis showed the strongest inhibitory effects from red seaweed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crude brown seaweed extracts (C. wrightiana var. minor, E. bicyclis, E. cava, I. foliacea, and I. okamurae) and crude red seaweed extracts (A. taxiformis) may have beneficial effects suppressing the rise in postprandial hyperglycemia through the inhibition of α-amylase and α-glucosidase.

하계 독도 연안 해조류의 종조성 변동과 갯녹음현상 (Variation of Species Composition of Benthic Algae and Whitening in the Coast of Dokdo Island during Summer)

  • 김미경;신재기;차재훈
    • ALGAE
    • /
    • 제19권1호
    • /
    • pp.69-78
    • /
    • 2004
  •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variations in a marine ecosystem through examining the species composition of benthic algae in the coast of Dokdo Island during summer (June & August, 2003). The total number of species found in benthic algae was 45 composed of 11% green algae, 29% red algae and 60% brown algae. The dominant species were Enteromorpha linza, Cladophora spp. and Codium frgile for green algae, Ecklonia cave, Eisenia bicyclis, Sargassum confusum, S. patens, S. horneri, Myagropsis myagroides for brown algae and Amphiroa cphedrace. A pusilla, Lithophyllum okamurae, Corallina spp. Laurencia pinnata, L. hamata, Chondria crassicaulit, C. dasyphylla, Gelidium amansii, Neosiphonia yendoi and Polysiphonia yendoi for red algae. The number of benthic algal species decreased more in this study than in previous researches. The whitening of the rocky shore might provoke the decrease of benthic algal biomass and species.

대황 추출물이 갱년기 유도 흰쥐의 골 조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isenia bicyclis Extracts on Bone Tissues in Ovariectomized Rats)

  • 박용수;강민숙;김보경;김미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33-39
    • /
    • 2013
  • 갱년기 여성에는 여러 폐경 증후들이 나타나는데, 특히 estrogen의 감소로 인하여 급격한 골 소실로 골다공증의 위험성이 높아 이에 대한 예방 및 치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갈조류인 대황 에탄올 추출물을 시료로 하여 in vivo 실험을 통하여 갱년기 장애 시 나타날 수 있는 골 손실 개선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골 형성 지표인 alkaline phosphatase(ALP) 활성, 결합조직 중의 콜라겐 함량 및 pyridinoline 함량을 측정하였다. 폴리페놀 함량이 높은 추출물을 이용하는 것이 estrogen의 활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어, 대황의 열수와 에탄올 두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에탄올 추출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동물 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ALP는 폐경 시 estrogen의 결핍으로 인하여 골 전환이 증가하므로 골 형성의 지표로써 널리 사용되고 있다. 난소절제 시 estrogen 결핍으로 bone turnover가 증가되어 비 난소절제군에 비해 혈장 중의 ALP 활성이 증가되었으나, 난소 절제 후 대황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는 그 활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것은 난소절제 후 estrogen의 분비가 감소되는데 반해 대황 추출물이 estrogen 대체 작용을 함으로써 난소절제로 인한 골 손실 정도를 완화시킨 것으로 추측되어진다. 대황 추출물이 골 손실 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연골 및 골 조직의 콜라겐 함량 및 콜라겐 성숙가교인 pyridinoline 함량을 측정하였다. 연골 및 골조직의 경우 비 난소절제군인 SHAM군에 비해 난소절제군인 OVX-CON군의 콜라겐 및 pyridinoline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난소절제로 인한 estrogen 결핍으로 그 생성량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황 추출물 투여에 의한 영향을 검토한 결과, 연골조직의 콜라겐 함량은 200 mg/kg/day 투여한 OVX-EB200군의 경우 대조군인 OVX-CON군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적인 수준은 아니었다. 반면 골 조직의 콜라겐 함량의 경우, 난소를 절제한 후 대황 추출물을 50 mg/kg/day 투여한 OVX-EB50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콜라겐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200 mg/kg/day 투여한 OVX-EB200군의 경우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콜라겐 성숙가교인 pyridinoline 함량을 HPLC로 분석한 결과, 골 조직의 pyridinoline 함량이 난소절제 후 감소하였으나, 대황 추출물을 투여한 군(OVX-EB50)에서 대조군인 OVX-CON군과 비교하여 증가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 결과는 estrogen 부족 시 일어날 수 있는 골 손실에 대한 예방 소재로써 갈조류인 대황의 활용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한 기능성 소재 개발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감태와 대황 에탄올 추출물 처리에 의한 저장 중 고등어 내의 히스타민 생성 억제 효과 (The Inhibitory Effect of Ecklonia cava and Eisenia bicyclis Ethanol Extract on Histamine in Mackerel)

  • 김보람;김꽃봉우리;김민지;김동현;정슬아;강보경;박시우;박원민;박홍민;임성미;조영제;안동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93-9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고등어 육을 감태와 대황 에탄올 추출물에 침지를 통하여 histamine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알아보았다.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고등어 필렛을 $4^{\circ}C$에서 25일 동안 저장하면서 생균수, histamine 함량, pH, VBN 함량을 측정하였다. 무처리구와 처리구 모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생균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나, 25일차까지 대황 및 감태 침지 처리구는 무처리 보다 약 2 log cycle 정도 균의 생육이 억제되었다. Histamine 함량의 경우 감태 및 대황 침지 처리구는 5일차에 115 및 96 ppm을 나타내어 무처리구 384 ppm에 비해 histamine 생성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pH의 경우 감태 및 대황 에탄올 추출물에 침지한 처리구가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무처리구에 비해 pH가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 VBN 함량은 저장 10일차에, 모든 처리구에서 크게 증가하였고, 특히 무처리구가 50 mg/100 g로 가장 크게 증가하였고 감태 및 대황 침지 처리구는 각각 42, 41 mg/100 g의 함량을 나타내어 무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감태 및 대황 에탄올 추출물이 저장기간 동안 고등어육내의 histamine 생성량을 감소시켜 고등어의 품질보존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대황으로부터 추출한 crude laminaran 가수분해물의 암 세포독성 (Cytotoxicities of Hydrolyzed Crude Laminaran from Eisenia bicyclis on the SNU-1, HeLa and SW Cells)

  • 도정룡;김동수;박종혁;김영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793-798
    • /
    • 2006
  • E. bicyclis 열수추출물에서 얻은 crude laminaran의 암 세포독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효소 및 산 가수분해와 고온가압처리에 의한 저분자화를 시도하였으며, 분자량 수준별 위암(SNU-1), 자궁암(HeLa) 및 대장암(SW) 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 효과를 알아보았다. 저분자화한 crude laminaran의 총당 및 황산기 함량은 가수분해 방법에 따라 각각 72.3 및 3.5%(효소가수분해), 68.5 및 3.0%(산가수분해), 70.2 및 3.2%(고온가압처리) 수준이었으며, 각 가수분해물의 구성당 조성은 glucose가 78.5, 75.7 및 74.7% 수준으로서 주요 성분이었으며 mannose가 각각 9.9, 10.6 및 11.5%, galactose가 각각 8.5, 9.2 및 9.6%, 그리고 fucose가 각각 3.1, 4.5 및 4.2% 수준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위암, 자궁암 및 대장암 세포주를 대상으로 한 저분자화 수식 laminaran의 세포독성을 MTT assey법으로 조사한 결과 10kDa 이상의 분획에서 높은 세포독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분자량 50-10 kDa에서 $IC_{50}$ 값은 효소적 가수분해시 60.4, 58.6 및 53.9 ${\mu}g/mL$, 산 가수분해시 75.6, 73.5 및 77.4 ${\mu}g/mL$, 고온가압처리시 61.7, 68.2 및 60.8 ${\mu}g/mL$으로 다른 분획물에 비해 저농도에서 세포독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가수분해 처리한 crude laminaran은 분자량 10,000 dalton 이상에서 세포독성이 높았으며, 가수분해 방법에 따른 laminaran의 세포독성에 미치는 영향은 효소적 가수분해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고온가압처리 및 산 가수분해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35종 해조류 추출물의 in-vitro 항혈전 활성 평가 (Evaluation of In-vitro Anticoagulation Activity of 35 Different Seaweed Extracts)

  • 안선미;홍용기;권기석;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1호
    • /
    • pp.1640-1647
    • /
    • 2010
  • 혈전성 질환을 예방, 개선할 수 있는 안전한 항혈전제를 개발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항혈전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식용 해조류 35종(갈조류 17종, 홍조류 11종 및 녹조류 7종)을 대상으로 메탄올 추출물을 조제하고, 이들의 thrombin time (TT), prothrombin time (PT),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을 평가하였다. 트롬빈 저해(TT)의 경우 35종 중에서 감태, 곰피, 대황, 넓패, 패, 알송이모자반 및 야마다모자반에서 강력한 활성을, 프로트롬빈 저해(PT)의 경우 트롬빈 저해활성이 나타난 7종 중 야마다모자반을 제외한 6종에서 강력한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혈액응고인자 저해(aPTT)에서는 감태, 곰피, 대황, 넓패, 패, 알송이모자반 및 톳에서 강력한 활성이 나타났다. 선별된 8종의 시료를 대상으로 다양한 농도에서 항혈전 활성을 평가한 결과 알송이모자반에서 가장 강력한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곰피, 대황 및 넓패가 효과적이었다. 항혈전 활성과 해조류 추출물의 총 flavonoid, 총 polyphenol, 총당 및 환원당 함량과의 상관 관계를 검토한 결과, 활성물질은 flavonoid성 물질로 추측되었으며, 선별된 8종은 총 flavonoid 함량 및 총 polyphenol 함량이 매우 높은 특징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는 경제적이면서 대량공급이 가능한 식용 해조류로부터 신규의 안전한 항혈전제 개발이 가능함을 제시하며, 야마다모자반과 톳은 트롬빈 또는 혈장내 응고 인자에 대한 특이 저해제로 개발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해조류 추출물의 항산화 및 nitrite 소거활성 평가 (Evaluation of Antioxidant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Seaweed Extracts)

  • 안선미;홍용기;권기석;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76-583
    • /
    • 2011
  • 유용생리활성의 해조류를 이용한 식품소재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35종 해조류(갈조류 17종, 홍조류 11종 및 녹조류 7종)의 메탄올 추출물을 대상으로 in-vitro 항산화 및 nitrite 소거활성을 평가하였다. 해조류 추출물($500\;{\mu}g/ml$) 중 감태, 곰피, 대황, 넓패, 패, 모자반, 알송이모자반, 야마자모자반 및 잘피의 9종에서 60% 이상의 DSA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ASA활성은 DSA활성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상관계수 0.855). 환원력 평가 결과에서는 감태, 곰피 및 대황의 3종만이 0.88 ($Abs_{700}$) 이상의 강력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식품에서의 발암인자인 nitrosoamine생성억제와 관련된 NSA평가의 경우, 전체 35종의 해조류 중 19종에서 60% 이상의 NSA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모자반, 야마다모자반, 알송이모자반, 패, 넓패에서 우수한 활성을 확인하였다. 1차 선별된 9종 해조류의 DSA, ASA, NSA의 $IC_{50}$를 조사한 결과, 기존의 항산화능이 알려진 곰피, 대황, 감태 이외에도 야마다모자반 및 넓패에서 강력한 항산화 활성과 nitrite 소거활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야마다 모자반 및 넓패를 이용하여 항혈전, 항산화, NSA 활성을 동시에 나타내는 기능성 식품소재로의 개발이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Study of Antioxidative Substances from Some Indonesian Plants

  • Cahyana, Herry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8년도 Proceedings of UNESCO-internetwork Cooperative Regional Seminar and Workshop on Bioassay Guided Isolation of Bioactive Substances from Natural Products and Microbial Products
    • /
    • pp.162-162
    • /
    • 1998
  • Various natural compounds act as antioxidants in protection against lipid peroxidation. Lipid peroxidation yields a variety of decomposition products which have been implicated in not only decreasing the nutritional value of food, but also in developing an off-flavor and toxic substances. As a source of safer and more effective natural antioxidants of natural origin have been widely investigated. Some Indonesian plants have evaluated for their antioxidative activity, and suggested the possible existence of various antioxygenic compounds in them. We attempted to study such antioxygenic compounds with simple method evaluation. As we are interested in the natural product compounds, we examined of several sample such as edible sea-weeds, and some edible fruits. Sea-weed, Eisenia bicyclis, one of the edible brown algae, exhibited the activity. As a traditional food additive consumed by Indonesian, Garcinia parvifolia is used as taste supplement in region West Sumatra, have been studied. Our current studies on the semi-polar fractions shows the activity by the thiocyanate method test. Another sample, Garcinia mangostana, a famous fruit with sweet taste, the part kernel have also evaluated. The acidic fraction of the extract showed antioxidative activity. Some other active components were found in the neutral and BuOH fractions.

  • PDF

Suppressive Effects of Fucoxanthin on Degranulation in IgE-antigen complex-stimulated RBL-2H3 Cells

  • NamKoong, Seung;Joo, Hae-Mi;Jang, Seon-A;Kim, Ye-Jin;Kim, Tae-Seong;Sohn, Eun-Hwa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39-345
    • /
    • 2012
  • The marine carotenoid fucoxanthin can be found in marine brown seaweeds, macroalgae, diatoms, and microalgae, and has remarkable biological properties. Numerous studies have shown that fucoxanthin has considerable potential and promising applications in human health, but the underlying mechanisms involved in its anti-allergic activity are not fully understood. We here investigated the mechanisms by anti-allergic activity of fucoxanthin fraction from Eisenia bicyclis in immunoglobulin E-antigen complex (IgE/DNP-BSA)-stimulated RBL-2H3 mast cells. This study we found that the fucoxanthin inhibits the release of ${\beta}$-hexosaminidase and suppressed not only transcriptional activation of NF-${\kappa}B$, but also phosphorylation of ERK and JNK in IgE/DNP-BSA-treated RBL-2H3 cells. Fucoxanthin may be useful for preventing allergic diseases, including asthma and atopic dermatit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