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go-state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4초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가족기능,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go-Resilience, Family Function and Acculturative Stress on Mental Health of the Youth of Multicultural Families)

  • 송순택;최희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16-125
    • /
    • 2020
  • 본 연구는 경기도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이 인식하는 자아탄력성과 가족기능 및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들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원조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 중학생 304명을 대상으로 기술통계분석,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이 문화적응 스트레스 하위변인인 과정스트레스를 높게 지각할수록, 자아탄력성의 하위변인인 감정조절을 낮게 지각할수록 우울불안이 높아져 정신건강 수준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자아탄력성을 고취시킬 수 있는 다양한 심리정서 프로그램의 개발과 문화적응 과정의 스트레스를 극복할 수 있는 지원방안 마련, 다문화가정을 지원할 수 있도록 관련 법률의 제도적 보완 등을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이성과 감성을 융합시켜 만든 대화훈련프로그램 -교류분석의 P-A-C기법을 활용하여- (A conversation training program that combines reason and sensitivity -Using the P-A-C technique of Transactional analysis-)

  • 김광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49-155
    • /
    • 2018
  • 본 연구는 어릴 때 형성된 성격이 현실의 생활과 성장에 도움이 되지 않을 때, 이성과 감성을 통합하는 대화훈련을 통하여 자율적인 인간으로 재탄생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만드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은 현재 자신의 성격을 5가지 자아 상태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수정 보완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외적으로 나타난 자아 상태를 자아 상태 활성화기법으로 보완하는 방법을 알게 하고, 내적인 부분은 교류분석(TA)변화의 궁극적 목표인 삼위일체의 변화 즉, 자각성, 자발성, 친화성의 3가지 능력의 변화를 통해 자율성을 달성하게 하는 것이다. 이는 개인의 모든 자원을 사용하여 문제점을 해결하는 능력으로 해방시키거나, 회복을 실제 행해보이게 하는 것이다.

패션에 표현된 가상성 (Virtuality in Fashion)

  • 이민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981-990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oncept of virtuality and analyze in which way virtuality is expressed in fashion. As for the research methodology, literary research was undertaken to study psychoanalytical and socioeconomic contexts in which virtuality has been formed. In addition, demonstrative studies on styles were undertaken through the analysis of photos in modern fashion magazine. With the explosive diffusion of the Internet since the 1990s, people have created a new identity in cyber space. Indeed, computers have made it possible for human beings to make virtual bodies in any way they want. Through the experiment of creating the figures that they dreamed of in their childhood buy could not embody in their actual life, people are making up for their narcissistic ego of their childhood. With the advent of the cyber society, dreams have been realized in cyber space, which in turn has influenced reality and finally had an effect on fashion. In cyber space, People try to break away from their bodies by combining elements of a different nature from them. They are dying hair and skin, and using holographic fabric for fashion, metallic color and geometric pattern for cosmetics. In pursuit of omnipotent beings, people have depicted models as flying in a weightless state and floating in the water within dress of undefined silhouette, so that they can be shown as transcending the law of nature. Furthermore, a variety of cultures newly appearing as dominant in cyber space have constantly interacted with actual life and formed an collage of heterogeneous cultures in fashion.

  • PDF

교류분석을 기반으로 한 FIFA Online3 캐릭터 행동과 교류방식 연구 (A Study on FIFA Online3 Characters' Behavior and Transaction Method based on Transactional Analysis)

  • 김미선;고일주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65-75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인간과 유사한 행동을 하고 사회적 교류를 하는 게임 캐릭터를 제안하기 위해 FIFA Online3 캐릭터의 행동과 사회적 교류 방식을 정의하였다. 다양한 메시지 교환이 발생하는 기타 게임에 비해, 축구 게임인 FIFA Online3는 공을 매개로 하여 타 캐릭터와 상호작용 한다는 점에서 캐릭터의 행동과 교류를 명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실제 사람의 심리와 행동에 대한 방법론인 교류분석을 기반으로 한 캐릭터 행동방식의 정의와 캐릭터 간 관계성 부여는 플레이어에게 현실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첫째, 캐릭터의 행동방식을 정의하기 위해 심리학 이론 중 하나인 교류분석 이론의 자아상태를 활용하였다. 둘째, 교류분석의 교류를 바탕으로 하여 자아상태를 가진 캐릭터가 게임에서 수행하는 행동을 통해 발생하는 캐릭터 간 교류방식을 연구하였다. 마지막으로 캐릭터가 사회적 교류를 진행하는 방식을 예를 들어 제시하였다. 이렇게 자아상태를 가진 캐릭터가 게임에서 보일 수 있는 행동과 교류를 정의함으로써 캐릭터가 실제 사람과 유사한 특성 가지고 게임에서 행동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포스트 모더니즘 의류광고에 나타난 에로티시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roticism Appearing in the Fashion Advertising of Post-Modernism)

  • 임영자
    • 복식
    • /
    • 제21권
    • /
    • pp.101-112
    • /
    • 1993
  • In representing eroticism in fashion advertising the sentiments of the Post-Modernism thinking of only impulse and pleasure as practical and affirming a human life may he divided into the follwing expression First1 y, Sumbolic Expression The sentiments of Post-Modernism associ ates, the direction sexual intercourse by means of the state and action of wearing the costume or represents indirect symbols with the symbolic expression of an object or phenomenon Secondly, Masochistic, Sadistic Expression. The sentiments of the Post-Modernism in expressing eroticism give people masochistic or sadistic feelings or expressions by means of protographic technigues or the state or background of wearing the model's costume. Thirdly, Homosexual Expression. The sentiments of the Post-Modernism is appropriate to expressing an androgynous and unisex look to people as a role of meeting potential instincts. Fourthy, Feministic Expression. The sentiments of me Post-Modernism also express a subjective woman and represent an extension of her ego through the existence of the woman herself by means of the body-conscious look. Fifthly, Narcissistic Expression. The de-genre such as the introduction high technology and de-campus rnakes consumers have theirself-identity.

  • PDF

한국 민담에 나타난 대극의 합일 - <구렁덩덩 신 선비> 중심으로 - (Coniunctio Oppositorum in Korean Fairytale - <Gurungdungdung Sin Seonbi> -)

  • 李裕瓊
    • 심성연구
    • /
    • 제27권1_2호
    • /
    • pp.1-27
    • /
    • 2012
  •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 민담에서 대극의 합일(coniunctio oppositorum, Vereinigung der Gegensötze), 신성혼(hieros gamos, göttliche Hochzeit) 주제를 다루어보는 것이다. 한국 민담 <구렁덩덩 신 선비>는 동물형상의 배우자를 맞이하는 민담 중의 하나이다. 특히 여성주인공이 남성의 동물 배우자를 맞이하는 민담이다. 이 민담은 아플레이우스(Apuleius)가 소개한 그리스 민담 <아모르와 프쉬케>와 그림 형제 모음 민담 <노래하며 날아오르는 종달새>와 비교할 수 있다. 민담에 등장하는 동물들은 신성(神性)과 통한다. 동물들은 본능에 충실한 삶을 살기 때문에, 종(種)의 집단무의식의 법칙성을 고스란히 실현하고 있다. 1) 동물성은 자아중심적 태도가 배제되어 있어서 인간 이하의 본능적 측면뿐 아니라, 인간성을 초월한 신성도 함께 나타낸다. 민담에서 주인공이 동물이 되는 경우 개별적으로 지나치게 강조된 일방적 의식의 태도를 교정하고, 보편적 인간성을 획득할 기회가 된다. 동물이 되어 지내는 동안 주인공은 자연계의 다른 생명체의 의미와 가치를 알아차릴 수 있는 경험을 하기 때문에, 신이한 자연의 지혜를 획득하게 된다. 결국 동물 형상은 상징적으로 집단적, 보편적 삶의 가치를 실현하는 존재이므로, 자아의식에 치유적으로 작용하고, 전체성에 이르도록 기여한다. 민담의 동물 형상들은 모두 무의식의 보상적 내용을 반영하고 있다. 동물의 형상으로 등장하는 무의식의 내용들은 자아의식에 수용되기 어려운 본능적 충동으로 이해될 것이기 때문에 그 자체 의식에 대극적이다. 민담에서 다루는 대극의 합일은 자아의식에 의하여 어떻게 무의식적 정신이 수용되고 이해될 것인가를 보여주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렇지만 주인공이 동물이 되는 것은 물론이고, 동물 배우자를 만나게 되는 것도 심한 의식 수준의 저하를 가져오는 심적 사건이다. 동물이었던 주인공이 인간성을 회복하는 것이나, 동물 배우자를 인간으로 변환하게 하는 일은 모두 의식 수준을 회복하는 작업에 해당한다. 동물에서 인간성의 회복이나 인간 수준으로 끌어올리게 될 때, 무의식의 보상적 내용이 의식의 삶에 반영될 수 있다. 민담 <구렁덩덩 신 선비>는 남성 배우자가 구렁이 형상을 하고 있다. 여성주인공이 구렁이를 신랑으로 맞이하여 혼인을 함으로써, 구렁이의 허물을 벗게 한다. 그리고 여러 시련을 겪어내고, 어려운 과제를 완수함으로써 진정한 남녀의 만남을 성공적으로 실현한다. 결과적으로 여성주인공이 신성을 획득하는 것이고, 동물 배우자와의 결합은 신성혼을 의미한다. 우리는 이 민담을 통하여 여성의 자아의식이 무의식과 관계하여 어떻게 대극의 합일 및 전(全)인격적 실현을 하는지를 살펴볼 수 있다.

성폭력피해 청소년의 정서안정감, 자아탄력성,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인간중심미술치료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the person centered art therapy for improving sexual victimized adolescent's emotional stability, ego-resiliency, self-esteem)

  • 이숙민;송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2호
    • /
    • pp.385-402
    • /
    • 2018
  • 본 연구는 인간중심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성폭력피해 청소년의 정서안정감, 자아탄력성, 자아존중감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사례 연구하였다. 연구대상은 15세 중학교 3학년 여학생으로 성폭력피해 직후 무기력하고 자신감이 결여되어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주1회, 매회기 60분, 총 20회기 인간중심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심리적 변화(정서안정감, 자아탄력성, 자아존중감)사전-사후 검사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고 연구대상자의 작품 및 행동의 변화를 질적 분석 하였다. 본 프로그램 실시 후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안정감의 사전 110에서 사후 96점으로 변화 되었고 점수는 낮을수록 긍정적 효과이다. 자아탄력성의 사전 63에서 사후 133으로 변화 되었고 점수는 높을수록 긍정적이다. 자아존중감은 사전 16에서 사후 35로 변화 되었고 점수는 높을수록 긍정적이다. 분석결과 본 연구대상자의 정서안정감과 자아탄력성,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인간중심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성폭력피해 청소년의 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초기단계에서 연구자와 라포 형성에 성공적이었으며 중기와 종결과정을 통해 내면의 감정을 표출하거나 관계를 탐색하는 일이 가능하였다. 창작활동을 통해 자신의 미래를 탐색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프로그램은 성폭력피해 직후 청소년이 PTSD로 진행되지 않도록 하는데 초점을 두었지만 성폭력 후유증으로 인해 장기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우울, 분노, 무기력감 등을 회복하고 적극적인 삶을 살아낼 수 있도록 추수지도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도심자율주행을 위한 라이다 정지 장애물 지도 기반 차량 동적 상태 추정 알고리즘 (LiDAR Static Obstacle Map based Vehicle Dynamic State Estimation Algorithm for Urban Autonomous Driving)

  • 김종호;이호준;이경수
    • 자동차안전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4-19
    • /
    • 2021
  • This paper presents LiDAR static obstacle map based vehicle dynamic state estimation algorithm for urban autonomous driving. In an autonomous driving, state estimation of host vehicle is important for accurate prediction of ego motion and perceived object. Therefore, in a situation in which noise exists in the control input of the vehicle, state estimation using sensor such as LiDAR and vision is required. However, it is difficult to obtain a measurement for the vehicle state because the recognition sensor of autonomous vehicle perceives including a dynamic object. The proposed algorithm consists of two parts. First, a Bayesian rule-based static obstacle map is constructed using continuous LiDAR point cloud input. Second, vehicle odometry during the time interval is calculated by matching the static obstacle map using Normal Distribution Transformation (NDT) method. And the velocity and yaw rate of vehicle are estimated based on the Extended Kalman Filter (EKF) using vehicle odometry as measurement. The proposed algorithm is implemented in the Linux Robot Operating System (ROS) environment, and is verified with data obtained from actual driving on urban roads. The test results show a more robust and accurate dynamic state estimation result when there is a bias in the chassis IMU sensor.

원형탈모증 환자의 정서상태와 성격특성에 관한 임상적 연구 (Clinical Study of Emotional State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in Patients with Alopecia Aerata)

  • 이경규;백기청
    • 정신신체의학
    • /
    • 제5권2호
    • /
    • pp.158-167
    • /
    • 1997
  • Objectives: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emotional state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alopecia aerata patient and to determine whether these characteristics are similar with those of neurotic patient. Methods : 20 alopecia aerata patients, 20 neurotic patients, and 20 normal healthy controls were studied.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State and Trait Anxiety Inventory(STAI) and Korean standardized edition of Catell's 16 Personality factors Questionnaire(16PF) were used for assessment. Results: 1) Total score of BDI was higher in neurosis group than alopecia aerata group and normal control group(p<0.05). Inspire of statistical non-significance, total score of in alopecia aerata group was higher than normal control group. 2) Total scores of state anxiety and trait anxiety in alopecia aerata and neurosis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normal control group(p<0.001). 3) In first-stratum source traits of 16PF, normal contro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alopecia aerata group and neurosis group in B-factor(intelligence) and C-factor(ego-strength)(p<0.05). Alopecia aerata group and neurosis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normal control group in O-factor(guilt-proneness) and $Q_4-factor(tension,\;anxiety)$(p<0.001). 4) In second-stratum source traits of 16PF, alopecia aerata group and neurosis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normal control group in ANX-factor(anxiety)(p<0.05).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emotional state and personality characterstics of patients with alopecia aerata are a distinguishable different to compare with normal control, and are very similar with those of neurotic patients. The authors propose that psychiatric management in patient with alopecia aerata will be more benificial.

  • PDF

청소년의 외재화 및 내재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Influencing Factors on Externalized and Internalized Problem Behaviors among Adolescents: Focused on First Grade High School Students)

  • 윤미경;박은영;손정아;현명선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52-162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ing factors on externalized and internalized problem behaviors among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707 students in two high schools in K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October to November, 2014 by use of questionnaires. The instruments used were the Korean Youth Self-report, Daily Hassles Questionnair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and Ego Resiliency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Results: Significant predictors to explain externalized problem behaviors comprised anger-out, anger-in, anger-control, relation with parents, daily stress, and religion. It was found that these factors explained 46% of externalized problem behavior. Ego resiliency, anger-in, daily stress, gender, relation with parent, and anger-out were significant predictors to explain internalized problem behaviors. It was found that these factors explained 45% of internalized problem behavior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nfluencing factors on problem behaviors differ from externalized and internalized problem behaviors. So these findings will provide the basic data to develop a program that is differentiated by problem behavior ty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