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iunctio Oppositorum in Korean Fairytale - <Gurungdungdung Sin Seonbi> -

한국 민담에 나타난 대극의 합일 - <구렁덩덩 신 선비> 중심으로 -

  • Youkyeng Lee (Jungian Psychoanalyst, Analytical Psychology Center)
  • 李裕瓊 (융학파 정신분석가 분석심리학연구소)
  • Received : 2012.04.09
  • Accepted : 2012.05.21
  • Published : 2012.12.25

Abstract

It aims to deal with a topic of coniunctio oppositorum, hieros gamos in a Korean fairytale <Gurungdungdung Sin Seonbi>, in which a human heroine was marrying an animal husband. This Korean fairytale may be compared with Greek mythology <Eros and Psyche> introduced by Apuleius and <Dassingende springende Löweneckerchen> collected by Grimm Brothers. All these fairytales commonly tell that animal husband figures have divine nature. Because animals live their lives totally obeying instincts, the collective unconscious principles of species are completely accomplished. The animal nature excludes ecocentric attitude so that it has transpersonal divinity. The hero is transformed into an animal in the fairytales, which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change a one-sided exaggerated attitude of the ego consciousness and acquire universal humanity. During being an animal, the hero would have experienceds to recognize true meaning and value of other living creatures in nature and have attained wisdom of nature. The animal is a symbolic being who will realize value of collective and universal life so as to act therapeutically and contribute to the total personality, individuation processes. Animals in the fairytales correspond to the compensatory contents of the unconscious. Animal figure itself is opposite to the ego consciousness itself because the ego understands the unconscious contents like animal figures have instinctual impulse that the ego will not accept at all. Coniunctio oppositorum in the fairytales is going to show the ego's rendezvous processes to meet the unconscious. The fact that the hero turns into an animal or marries animal partner is a psychic event which greatly lowers under the level of ego consciousness. To overcome the state, it is essential for the hero to regain humanity or to transform animal partner into a human being. By the recovery of humanity or reaching the human level, compensation of the unconscious can be realized in the conscious life. In a Korean fairytale <Gurungdungdung Sin Seonbi>, male partner is a serpent but the heroine marries the serpent and make it cast off skin. Over sufferings and complishment of several tasks, heroine truly meets her husband. In this processes, the heroine obtains divinity. As result, her marriage to animal husband means hieros gamos. In this fairytale, we will be able to look through the ways how female ego-consciousness to make relations to the unconscious and to fulfill individuation.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 민담에서 대극의 합일(coniunctio oppositorum, Vereinigung der Gegensötze), 신성혼(hieros gamos, göttliche Hochzeit) 주제를 다루어보는 것이다. 한국 민담 <구렁덩덩 신 선비>는 동물형상의 배우자를 맞이하는 민담 중의 하나이다. 특히 여성주인공이 남성의 동물 배우자를 맞이하는 민담이다. 이 민담은 아플레이우스(Apuleius)가 소개한 그리스 민담 <아모르와 프쉬케>와 그림 형제 모음 민담 <노래하며 날아오르는 종달새>와 비교할 수 있다. 민담에 등장하는 동물들은 신성(神性)과 통한다. 동물들은 본능에 충실한 삶을 살기 때문에, 종(種)의 집단무의식의 법칙성을 고스란히 실현하고 있다. 1) 동물성은 자아중심적 태도가 배제되어 있어서 인간 이하의 본능적 측면뿐 아니라, 인간성을 초월한 신성도 함께 나타낸다. 민담에서 주인공이 동물이 되는 경우 개별적으로 지나치게 강조된 일방적 의식의 태도를 교정하고, 보편적 인간성을 획득할 기회가 된다. 동물이 되어 지내는 동안 주인공은 자연계의 다른 생명체의 의미와 가치를 알아차릴 수 있는 경험을 하기 때문에, 신이한 자연의 지혜를 획득하게 된다. 결국 동물 형상은 상징적으로 집단적, 보편적 삶의 가치를 실현하는 존재이므로, 자아의식에 치유적으로 작용하고, 전체성에 이르도록 기여한다. 민담의 동물 형상들은 모두 무의식의 보상적 내용을 반영하고 있다. 동물의 형상으로 등장하는 무의식의 내용들은 자아의식에 수용되기 어려운 본능적 충동으로 이해될 것이기 때문에 그 자체 의식에 대극적이다. 민담에서 다루는 대극의 합일은 자아의식에 의하여 어떻게 무의식적 정신이 수용되고 이해될 것인가를 보여주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렇지만 주인공이 동물이 되는 것은 물론이고, 동물 배우자를 만나게 되는 것도 심한 의식 수준의 저하를 가져오는 심적 사건이다. 동물이었던 주인공이 인간성을 회복하는 것이나, 동물 배우자를 인간으로 변환하게 하는 일은 모두 의식 수준을 회복하는 작업에 해당한다. 동물에서 인간성의 회복이나 인간 수준으로 끌어올리게 될 때, 무의식의 보상적 내용이 의식의 삶에 반영될 수 있다. 민담 <구렁덩덩 신 선비>는 남성 배우자가 구렁이 형상을 하고 있다. 여성주인공이 구렁이를 신랑으로 맞이하여 혼인을 함으로써, 구렁이의 허물을 벗게 한다. 그리고 여러 시련을 겪어내고, 어려운 과제를 완수함으로써 진정한 남녀의 만남을 성공적으로 실현한다. 결과적으로 여성주인공이 신성을 획득하는 것이고, 동물 배우자와의 결합은 신성혼을 의미한다. 우리는 이 민담을 통하여 여성의 자아의식이 무의식과 관계하여 어떻게 대극의 합일 및 전(全)인격적 실현을 하는지를 살펴볼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최인학.엄용희 편저(2003) : 《옛날이야기꾸러미 2》, 집문당.
  2. Jung CG(1916) : "Die transzendente Funktion", GW8, Walter-Verlag.
  3. Jung CG(1928) : "Die Beziehung zwischen dem Ich und derm Unbewussten", GW7, Walter-Verlag.
  4. Jung CG(1936) : "Uber den Archetypus mit besonderer Berucksichtigung des Animabegriffes", GW9/I, Walter-Verlag.
  5. Jung CG(1946) : "Die Psychologie der ubertragung", GW16, Walter-Verlag.
  6. Jung CG(1951) : Aion, GW9/II, Walter-Verlag.
  7. Jung CG(1968) : Mysterium Coniunctionis, GW14/II, Walter-Verlag.
  8. Von Franz ML(2004) : Der Goldene Esel, Verlag Stiftung fur Jung'sche Psychologie.
  9. Neumann E(1973) : Amor and Psyche, Bollingen Series LIV, Princeton University Press.
  10. Neumann E(2004) : Ursprungsgeschichte des Bewusstseins, Patmos-Verlag.
  11. Bruder Grimm(1980) : "Das singende springende Loweneckerchen". Kind-und Hausmarchen B2, Reclam Verlag.
  12. Birkhauser-Oeri S(2003) : Die Mutter im Marchen, Verlag Stiftung furJung'sche Psychologi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