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fficacy of multiculture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초

예비 중등교사의 다문화 인식이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Awareness of Multiculture on Efficacy of Multiculture in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 이기용;박창언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5호
    • /
    • pp.1026-1036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impact of multicultural awareness of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on multicultural efficacy. Specific content of the study for achieving this purpose is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multicultural awareness of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and multicultural efficacy was analyzed. Second, the effect relation between multicultural awareness of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and multicultural efficacy was examined. As part of quantitative research, the method of study was a survey targeting 234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who were sophomores, juniors and seniors at D University, P University and S University located in Busan. The study results earned from this process are as below: Firs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 positive correlation existed between multicultural awareness of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and multicultural efficacy. The areas of acceptance, openness and respect, which are the sub-scale of multicultural awareness of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showed high positive correlations with all sub-scale of multicultural efficacy including general efficacy, efficacy in instructional function, efficacy in caring perspectives and efficacy in helping multicultural families. Second, the sub-scale of multicultural awareness that significantly affected general efficacy in the sub-scale of multicultural efficacy of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was acceptance and respect. The sub-scale of multicultural awareness that significantly affected efficacy in instructional function was acceptance. The sub-scale of multicultural awareness that significantly affected efficacy in caring perspectives was acceptance and respect. The sub-scale of multicultural awareness that significantly affected efficacy in helping multicultural families was respect. It showed that openness in the sub-scale of multicultural awareness did not affect multicultural efficacy much.

한국과 미국 예비 유아교사의 다문화 관련 경험에 따른 다문화 이해 및 다문화교육 관련 특성에 대한 연구 (The Research on Multicultural Experiences Influence the Multicultural Understanding and Characteristics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 서현아;천희영;위수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69-94
    • /
    • 2011
  •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예비 유아교사의 다문화 관련 경험에 따라 다문화교육의 이해, 다문화교육 인식과 태도 및 다문화교육 효능감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과 미국 대학에서 유아교육을 전공하고 있는 예비 유아교사 512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다문화 관련 경험, 다문화 이해,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 및 다문화교육 효능감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의 예비 유아교사들이 한국의 예비유아교사들보다 다문화 관련 교과목 이수 경험, 다문화 가정 유아 경험, 해외 문화 경험, 다문화 가정학생 동분 수업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과 미국 양국 모두 다문화 경험의 유무에 따라 예비 유아교사들의 다문화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예비 유아교사의 다문화 관련 경험에 따른 다문화교육 관련특성은 다양하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미국 예비교사의 경우 다문화 경험의 유무에 따라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국예비교사의 경우, 다문화가정 학생과 동반 수업의 경험이 있을수록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교육 효능감에 있어서는 미국 예비 교사들은 다문화 관련 경험에 따라 다문화 효능감에 있어서 차이가 없었으며 한국 예비 교사들은 다문화 관련 교과목을 이수한 예비 교사일수록 다문화교육에 대한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다문화 인식과 다문화효능감 (Perceptions and Efficacy of the Multiculture Among Adolescents)

  • 임주용;오윤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8권10호
    • /
    • pp.143-157
    • /
    • 2010
  • This study performed to develop a basic framework of adolescent's perceptions about multicultural families,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impacts of cultural exchange on cultural diversity, and multicultural efficacy. The participants were 368 students from four high schools in the Seoul area. The data were analysyed by ANOVA, Duncan-test,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perception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was the highest among those who believed the perceptions would increase, while the lowest among those believing to decrease.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efficac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ought about education for understanding other country people, the multi media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families, knowledge about the multiculture, and thought about an increasing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perceptions about the multicultural family, the children in the multicultural family, the impacts of cultural exchange on cultural diversity, and efficacy of the multicultural environment.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과 다문화 경험, 학부모의 고정관념이 초등학생의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ulticultural Awareness and Multicultural Experience, Parents' Stereotype on Multicultural afficac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박미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749-2757
    • /
    • 2014
  • 본 논문의 목적은 학부모의 고정관념과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과 다문화 경험이 초등학생의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남양주시 학부모와 초등학생 272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응답결과, 첫째, 초등학생의 다문화 효능감은 5점 만점에 2.84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의 다문화 효능감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다문화 인식 중 개방성, 수용성, 존중성 모두 다문화 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문화 경험은 직접경험과 간접경험만 다문화 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초등학생의 다양한 다문화 경험과 인식을 위하여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간호대학생을 위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Development of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and Evaluation of its Effects on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Efficacy)

  • 채명정;김진일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0-82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and to examine its effects on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efficacy. Methods: A research design for this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pre-post test. The experimental group (n=34) participated in a 13-week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while the control group (n=35) attended regular classes having no relation with multiculture for the same period as that of the experimental group.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efficacy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the PASW 18.0 program. Results: Total scores for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efficac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fter the program. The subcategories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respect for cultural differences', 'interaction enjoyment' and multicultural efficacy; 'general functions', 'considering multicultural families' were increased respectively, whereas others were not changed.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suggested that a 13-week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is effective for improving nursing students' level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efficacy.

대전지역 중학생의 다문화가정생활문화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효능감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Family Life Culture and Multicultural Effic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Daejeon)

  • 이명희;김정현;송진숙;문희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7-2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다문화가정생활문화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다문화효능감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전지역 중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성별에 따른 다문화가정생활문화 인식의 차이는 없었으나, 학년과 가정의 월수입에 따라 다문화적 태도의 다문화적 태도의 하위변인인 관계존중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학년이 높을수록 다문화에 대해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며 다문화인과의 관계를 존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다문화적 태도가 긍정적이고 다문화에 대한 열린자세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어머니의 교육수준은 다문화가정생활문화 인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대전시 중학생의 다문화가정생활문화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효능감 사이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청소년기에 있는 중학생들의 다문화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문화가정생활문화 인식을 개선시킬 수 있는 적극적인 방안 모색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교류 특성 및 자기 효능감과 문화적 역량의 관계 (The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of Cultural Exchanges, Self-efficacy, and Cultural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 양선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334-345
    • /
    • 2014
  •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기 효능감과 문화적 역량 정도, 문화적 교류 특성 및 자기 효능감과 문화적 역량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본 연구의 대상자로 일 대학의 간호대학생 301명이 참여하였다. 자료 수집은 General Self-efficacy Scale, the Caffrey Cultural Competence Healthcare Scale(CCCHS), The Cultural Competence Assessment(CCA) 도구들을 통하여 설문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 결과 자기 효능감과 문화적 역량 정도는 중간수준(자기 효능감: M=3.0, SD=0.38; 문화적 역량: M=2.8, SD=0.55)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간호대학생의 학년이 높을수록 외국인 친구가 있을수록 유의미하게 높은 자기 효능감과 문화적 역량 정도를 나타냈다. 더 나아가 자기 효능감과 문화적 역량의 상관성(r=.394, p < .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교류 및 자기 효능감 증진을 통하여 문화적 역량을 강화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개방성, 고정관념, 다문화 수용성이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Openness, Preoccupati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n Multicultural Efficacy of nursing students)

  • 김경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211-219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개방성, 고정관념, 다문화 수용성, 다문화 효능감의 정도를 알아보고, 다문화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다문화 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B, Y시의 간호대학생 29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17년 5월 8일부터 5월 26일까지 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다문화 효능감은 평균 $3.92{\pm}0.54$점 이었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다문화 효능감은 연령(F=4.516, p=.012), 다문화 학생과의 수업경험(t=2.131, p=.034), 외국어 수강경험(t=2.133, p=.034), 외국인 친구(t=2.759, p=.006)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다문화 개방성, 고정관념, 다문화 수용성, 다문화 효능감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문화 효능감은 다문화 개방성(r=.396, p<.001), 다문화 수용성(r=.471, p<.001)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고정관념(r=-.464, p<.001)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다문화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외국인 친구(t=2.021, p=.048), 고정관념(t=-6.363, p<.001), 다문화 수용성(t=6.122, p<.001)으로 나타났고, 다문화 효능감을 35.5%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다문화 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결혼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가족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of Married Immigrant Women's on Quality of Life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Support -)

  • 문무현;한진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7호
    • /
    • pp.165-175
    • /
    • 2018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의 삶의 질에 자아존중감의 영향력과 가족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언어 및 직업교육 등을 받는 국제 결혼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그 중 279명을 유효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이 삶의 질에 정(+)의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둘째, 가족지지의 정보적지지는 삶의 질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고, 평가적지지, 물질적지지는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아존중감과 상호작용항에서는 정서적지지는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며, 평가적지지, 물질적지지의 상호작용항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보적지지의 상호작용항은 삶의 질에 정적인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결혼이주여성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인은 한국가족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시댁가족들이 결혼이주여성을 자신의 가족으로 받아들이고 지지를 해주어야 한국에서의 안정인 정착과 더불어 삶의 질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