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ffect of Regulation

검색결과 3,128건 처리시간 0.035초

아동의 내면화·외현화문제행동 관련변인들 간의 인과적 구조분석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Related Variables of Children'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 문대근;문수백
    • 아동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9-65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related variables of children's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of problems. A total of 709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iding in Daegu City and Kyungpook province completed questionnaires which assessed family interaction functions, emotional regulation, self-control, and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of problems. The sample variance-covariance matrix was analyzed using AMOS 19.0, and a maximum likelihood minimization function. Goodness of fit was evaluated using the SRMS, RMSEA, and its 90% confidence interval, CFI, and TL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First, the function of family interac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 internalization of problems. Moreover, emotional regulation, self-control and internalization of problems had a statistically substantial direct effect on the externalization of problems. Second, family interaction functions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on children's externalization of problems, although it may well have an indirect effect on children's externalization of problems through emotional regulation and self-control. Finally, self-control did not enjoy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internalization of problems.

초등과학영재 학생과 일반학생의 자기조절능력과 사회성의 비교 (A Comparison of Self-Regulation and Sociality between Elementary Scientific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 이여진;최선영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5권4호
    • /
    • pp.406-415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self-regulation and sociality between elementary scientific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The subjective students are composed of fifth and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 survey on self-regulation and sociality had been conducted to 106 general students, 38 gifted class students and 43 students in science educational institute for the gif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ANOVA test showed that the scientific gifted students were significantly better than general students on all subscales of self-regulation and sociality. Second,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self-regulation and sociality and their subscales were all highly positive relationship on students in science educational institute for the gifted, gifted class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Third,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motivational factor of self-regulation gave the greatest effect to the sociality of students in science educational institute for the gifted, whereas, the cognitive factor of self-regulation gave the greatest effect to the sociality of the general students and gifted class students.

불법복제에 대한 규제가 콘텐츠 제작자의 수익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gulation against Unlicensed Contents Sharing on the Contents Producers' Profit)

  • 고병완;송희석;;이상호;김동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320-329
    • /
    • 2010
  • 소프트웨어 제작자들이 불법복제로부터 그들의 제품을 보호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처럼 콘텐츠 제작자들도 사용자간 불법 콘텐츠 공유를 규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도가 과연 저작권자의 권익을 보호하고 그들의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하여 경제적 측면에서 논의한다. 이를 위해 불법 콘텐츠 공유에 대한 규제가 제작자의 수익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분석적 모형을 개발하고 규제와 비 규제하에서 콘텐츠 제작자의 수익극대화를 위한 최적 조건을 제시한다. 분석결과, 정품 콘텐츠와 불법 복제 콘텐츠간의 충분한 차별화가 어려운 경우에는 불법 복제의 규제가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으나 정품 콘텐츠와 불법 복제 콘텐츠 사이에 충분한 차별화가 가능한 경우에는 오히려 규제가 없는 경우에 저작권자의 수익이 극대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유아-교사 상호작용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on Youth Children's Self-Regulation)

  • 문혁준;최윤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169-176
    • /
    • 2019
  • 본 연구는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유아-교사 상호작용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3~5세 유아와 그들의 어머니 358명, 그들의 담임교사 28명이며,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의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유아-교사 상호작용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그 중 유아-교사 상호작용이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에 비해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행동조절보다는 정서조절에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서의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유아-교사의 상호작용을 확인하였으며 어머니의 훈육방식에 대한 교육, 그리고 교사의 상호작용에 관한 지속적인 교육과 예비 교사 대상의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부각시켰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어머니의 정서표현이 유아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 기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Mothers' Emotion Expression on Preschool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 Focusing on the Mediation of Children's Temperament)

  • 김정민;김지현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2권3호
    • /
    • pp.137-146
    • /
    • 2014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mothers' emotion expression, preschool children's temperament, and preschool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75 5-year-old children from five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imple regress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positive emotion express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hildren's effortful control, and mothers' negative emotion express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hildren's negative affect. Second, mothers' positive emotion express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while mothers' negative emotion expression had a negative influence on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Last, the effect of mothers' positive emotion expression on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was fully mediated by children's effortful control. Also, the effect of mothers' negative emotion expression on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was partially mediated by children's negative affe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thers' emotion expression and children's temperament may predict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직장인 정서인식이 부정적 피드백 수용에 미치는 영향: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및 부하가 지각한 상사 정서조절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emotion recognition on negative feedback acceptance of employees: The mediating effect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upervisor's emotion regulation)

  • 정지현;탁진국
    •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
    • /
    • 제7권1호
    • /
    • pp.1-31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인의 정서인식이 부정적 피드백 수용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와 부하가 지각한 상사 정서조절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의 다양한 기업에 종사하고 있는 비관리자 직장인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273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AMOS 22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가설검증을 위해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인식은 적응적 인지적 정서 조절을 매개로 하여 부정적 피드백 수용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둘째, 상사의 정서조절은 정서인식과 부정적 피드백 수용의 관계를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상사의 정서조절이 낮을 때 정서인식과 부정적 피드백 수용 관계가 더 강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직장인이 자신과 타인의 정서에 대한 인식 수준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그리고 부정적 피드백을 받아들이는 심리적 과정을 확인하고, 부정적 피드백을 긍정적으로 수용하는 데 있어 상사의 정서조절이 갖는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 및 코칭에서의 시사점, 그리고 제한점과 미래 연구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벡터자기회귀(VAR) 모형을 활용한 온라인 게임 규제 영향에 대한 실증적 연구: 웹보드 게임을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of Regulation in Online Gaming Industry via Vector Autoregression Model)

  • 장문경;전성민;유병준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9권1호
    • /
    • pp.123-145
    • /
    • 2017
  • 한국의 게임시장은 전 세계 시장의 약 29%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할 정도로 급성장하였다. 특히, 온라인게임의 수출 규모는 24억 USD를 달성할 정도로 국가경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렇게 게임 산업이 급성장하면서 게임 산업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정책과 규제에 대해 여러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웹보드 게임에 대해 정부는 여러 주무 부처를 통한 셧다운제, 행정처분, 게임산업진흥법 시행령 등 다양한 규제정책을 시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2012년 11월에 이루어진 웹보드 규제정책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2010년 12월부터 2014년 11월까지 약 4년여 간의 게임 트릭스 시계열 자료를 단위근 검정, 벡터자기회귀(VAR, Vector Auto-Regression) 분석, 그랜저 인과관계 검정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웹보드 규제 정책 시행 전후의 웹보드 게임서비스 간의 충격 파급효과와 예측 이용시간 변화를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웹보드 규제 정책이 실질적으로 정부가 의도한 결과대로 나타냈는지 알아보고, 나아가 웹보드 게임 산업을 보다 건강하게 발전시키기 위한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어머니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아동의 인지조절 및 정서조절이 아동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other's Daily Hassles, Cognitive Regulation and Emotive Regulation on School Readiness)

  • 박윤조;송하나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7-51
    • /
    • 2018
  • 본 연구는 어머니의 일상적 스트레스, 아동의 인지조절과 정서조절이 아동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 뿐 아니라 어머니의 일상적 스트레스가 아동의 인지조절과 정서조절을 통해 아동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고, 아동의 성별에 따른 매개효과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송파구, 경기도 용인시 및 분당구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4곳에 재원 중인 만5세반 취학전 아동 273명과 그들의 어머니 273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4.0과 Mplus 6.0($Muth{\acute{e}}n$ & $Muth{\acute{e}}n$, 2010)을 사용해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및 적합도 지수를 통해 가설의 적합성을 확인하였고,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사용하였다. 또한 아동의 성별에 따른 경로의 통계적 유의성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다중집단분석(multi group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일상적 스트레스는 아동의 인지조절 및 정서조절에 직접적으로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인지조절은 아동의 학교준비도의 하위요인 중 단체생활을 위한 기본자세 및 학습활동을 위한 능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아동의 정서조절은 아동의 학교준비도의 하위요인 중 사회정서적 유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일상적 스트레스는 아동의 인지조절을 매개로 아동의 학교준비도의 하위요인 중 단체생활을 위한 기본자세 및 학습활동을 위한 능력에 영향을 주었으며, 아동의 정서조절을 매개로 아동의 학교준비도의 하위요인 중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남아의 경우에는 어머니의 일상적 스트레스가 아동의 인지조절에 미치는 영향이 여아의 경우보다 적은 반면에, 인지조절이 아동의 학교준비도의 하위요인 중 단체생활을 위한 기본자세에 미치는 영향은 여아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리더십과 자기조절능력이 또래 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ildren's Leadership and Self-regulation Upon Peer Play Behaviors)

  • 장윤희;문혁준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9권2호
    • /
    • pp.73-87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hildren's socia-demographic variables(i.e., gender, birth order, and the amount of time staying in kindergarten) on, leadership, self-regulation and children's peer play behavior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336 children aged between five and seven in four classes in a private kindergarten and eight classes in a private preschool located in the capital reg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girls showed more leadership, self-regulation, and play interaction section than boys: whereas, boys showed higher response in play disruption and the lack of play disconnection. However, birth order,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ub-domain of leadership, self-regulation competence, and peer play behaviors. As for the duration children stay in preschool or in preschool or kindergarten, children who spend half-day showed higher reaction in behavioral self-control and emotional taking abilities than children who stay in the preschool or kindergarten full day. On the other hand, self-esteem of full-time children was higher than half-time children. Children who were emotionally sensitive, knew how to lead their peer group, and those who were sociable and self-regulated presented to be more active in peer-interaction than others. Second, as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reveals, children's leadership, self-regulation competence, peer play behaviors, and play interaction had a meaningful effect on the sub-variations of children's leadership and self-regulation and they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upon play disruption and play disconnection. In addition, girls who were not able to manage or to inspect their behavior and had insensitive emotion demonstrated higher tendency to play disconnected.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full-day program with having difficulties in self-regulation or inspecting their behavior properly but had a strong leadership and insensitive showed play disruption highly.

어머니의 가정관리능력이 자녀의 자기관리에 미치는 영향: 자녀의 자기조절능력을 매개로 (The Effects of Mothers' Home Management Ability on the School-Aged Children's Self Management Skills: via the Mediation of Self-Regulation of Children)

  • 권보라;장영은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9-41
    • /
    • 2013
  •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mothers' home management ability on school-aged children's time and life management skills through the mediation effect of children's self-regulation. Study subjects were 317 5- and 6-grade children at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area and their 317 mother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SEM model of predicting children's time management skill, greater mothers' home management ability significantly predicted better time management skills among their children. Second, mothers' home management ability also indirectly affected children's time management skill through its significant effects on children's self-regulation. The test yielded a significantly mediation effect of self-regulation. Children's self-regualtion was strongly related to time management skills. Third, in the SEM model predicting children's life management skills, maternal ability of home management again directly predicted greater life management skills of their children. However, mediation of self-regula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findings suggested the important role of mothers' home management ability in instilling and modeling self-regulation and self-management skills of school-aged child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