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Mother's Daily Hassles, Cognitive Regulation and Emotive Regulation on School Readiness

어머니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아동의 인지조절 및 정서조절이 아동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 Park, Yoon Joe (Dept. of Young Child Care, Education & Welfare, Yeo Ju University) ;
  • Song, Ha Na (Dept. of Child Psychology and Education, Sung Kyun Kwan University)
  • 박윤조 (여주대학교 보육과) ;
  • 송하나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 Received : 2018.01.30
  • Accepted : 2018.03.24
  • Published : 2018.03.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at mother's daily hassles, children's cognitive regulation and children's emotive regulation are prospectively related on children's school readiness and to investigated the mediating role of children's cognitive regulation and children's emotive regulation between mother's daily hassles and children's school readiness. Also in particular children's sex. This study used data from 273 preschooler and their mothers from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The data was processed by SPSS 24.0 and Mplus 6.0. Pearson's correlati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multi group analysis were us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s and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hassles had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cognitive regulation and children's emotive regulation. However, mother's hassles didn't have a direct effect on physical health and motor development, cognition development and general knowledge, social-emotional development, and life habit and attitude. Second, children's cognitive regulation had a direct effect on physical health and motor development, cognition development and general knowledge. And children's emotive regulation had a direct effect on social-emotional development. Third, children's cognitive regulat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mother's hassles and physical health and motor development, cognition development and general knowledge of school readiness. Also, children's emotive regulat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mother's hassles and social-emotional development of school readiness. Forth, mother's hassles had a little effect on boy's cognitive regulation, but boy's cognitive regulation had effect on physical health and motor development of school readiness stronger than girls.

본 연구는 어머니의 일상적 스트레스, 아동의 인지조절과 정서조절이 아동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 뿐 아니라 어머니의 일상적 스트레스가 아동의 인지조절과 정서조절을 통해 아동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고, 아동의 성별에 따른 매개효과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송파구, 경기도 용인시 및 분당구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4곳에 재원 중인 만5세반 취학전 아동 273명과 그들의 어머니 273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4.0과 Mplus 6.0($Muth{\acute{e}}n$ & $Muth{\acute{e}}n$, 2010)을 사용해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및 적합도 지수를 통해 가설의 적합성을 확인하였고,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사용하였다. 또한 아동의 성별에 따른 경로의 통계적 유의성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다중집단분석(multi group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일상적 스트레스는 아동의 인지조절 및 정서조절에 직접적으로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인지조절은 아동의 학교준비도의 하위요인 중 단체생활을 위한 기본자세 및 학습활동을 위한 능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아동의 정서조절은 아동의 학교준비도의 하위요인 중 사회정서적 유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일상적 스트레스는 아동의 인지조절을 매개로 아동의 학교준비도의 하위요인 중 단체생활을 위한 기본자세 및 학습활동을 위한 능력에 영향을 주었으며, 아동의 정서조절을 매개로 아동의 학교준비도의 하위요인 중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남아의 경우에는 어머니의 일상적 스트레스가 아동의 인지조절에 미치는 영향이 여아의 경우보다 적은 반면에, 인지조절이 아동의 학교준비도의 하위요인 중 단체생활을 위한 기본자세에 미치는 영향은 여아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기숙, 이경님(2001).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사려성이 유아의 자기통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2(4), 115-132.
  2. 권미경(2011). 양육스트레스 관련 국내 학술지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9(2), 1-12.
  3. 김기현, 조복희(2000). 맞벌이 부부의 양육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관련 변인 탐색. 아동학회지, 21(4), 35-50.
  4. 김선영, 안선희(2006).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과 초기 학교적응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아동학회지, 27(6), 183-197.
  5. 김성현, 배율미(2016).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또래유능성 간의 관계: 유아의 자기조절의 중재적 효과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20(2), 471-494.
  6. 김주후, 김경란, 유윤영(2011). 조기 교육 실시에 따른 취학 전 유아 학교준비도에 대한 부모의 신념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5(1), 99-116.
  7. 김태은(2011). 초등학교 준비도 향상을 위한 집중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적 기술과 학교생활 적응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68, 125-146.
  8. 김현미, 도현심(2004).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5(6), 279-298.
  9. 박성연, 강지흔 (2005). 남녀 아동의 정서조절능력 및 공격성과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6(1), 1-14.
  10. 박연정(2007). 학령전 아동의 학교준비도 척도개발 및 학교준비도와 관련 변인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박지현, 송하나(2011). 자기조절능력 증진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지 및 정서조절 능력과 외현적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연구, 31(1), 157-182.
  12. 성미영, 장영은, 이강이, 손승희(2010). 양육신념, 부모협력 및 가정학습환경과 유아의 학교준비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6). 21-29.
  13. 손은영, 손원경(2010). 유아의 초등학교 입학준비에 대한 부모와 유아교사의 인식. 아동교육, 19(1), 215-225.
  14. 송하나(2006). 부모의 정서표현성이 아동의 애착관계에 대한 내적 표상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13(3), 39-55.
  15. 송하나, 최경숙(2009). 아동의 정서 표현성과 사교성, 어머니의 의사소통 유형이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47(6), 1-10.
  16. 윤정순, 이미현, 이유미(2017). 자녀 성별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학교적응기대가 자녀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16(1), 131-155.
  17. 이경님(2001). 아동의 자기통제와 관련변인간의 인과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9(2), 46-68.
  18. 이선애, 현은자(2010). 교사-유아의 관계와 유아의 또래유능성 및 자기조절능력 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31(2), 1-15.
  19. 이수현, 황혜정(2014).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2), 385-410.
  20. 정혜진, 이완정(2009). 유아의 기질과 자기조절능력에 따른 문제행동.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3), 159-170.
  21. 조성연(2002). 학령전 아동의 학교준비도에 대한 가정환경(HOME)과 성격과의 관계. 가정관리학회지, 20(4), 103-111.
  22.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23. Abidin, R. R.(1990).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The stress of parenting.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9(4), 298-301. https://doi.org/10.1207/s15374424jccp1904_1
  24. Berlin, L. J. & Cassidy, J.(2003). Mothers' self-reported control of their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expressiveness: A longitudinal study of associations with infant-mother attachment and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Child Development, 12(4), 477-495.
  25. Blair, C.(2002). School readiness: Integrating cognition and emotion in a neurobiological conceptualization of children's functioning at school entry. American Psychologist, 57(2), 111. https://doi.org/10.1037/0003-066X.57.2.111
  26. Brooks-Gunn, J., & Markman, L. B.(2005). The contribution of parenting to ethnic and racial gaps in school readiness. The Future of Children, 15(1), 139-168. https://doi.org/10.1353/foc.2005.0001
  27. Calkins, S. D., & Hill, A.(2007). Caregiver influences on emerging emotion regulation: Biological and environmental transactions in early development. In J. Gross(ED.), Handbook of emotion regulation(pp.229-248). New York: Guilford Press.
  28. Campos, J. J., Frankel, C. B., & Camras, L.(2004). On the nature of emotion regulation. Child development, 75(2), 377-394. https://doi.org/10.1111/j.1467-8624.2004.00681.x
  29. Connell, C. M., & Prinz, R. J.(2002). The impact of childcare and parent-child interactions on school readiness and social skills development for low-income african american childre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40(2), 177-193. https://doi.org/10.1016/S0022-4405(02)00090-0
  30. Denham, S. A.(2006). Social-emotional competence as support for school readiness: What is it and how do we assess it?.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17(1), 57-89. https://doi.org/10.1207/s15566935eed1701_4
  31. Duncan, G. J., & Magnuson, K. A.(2005). Can family socioeconomic resources account for racial and ethnic test score gaps? The Future of Children, 15(1), 35-54. https://doi.org/10.1353/foc.2005.0004
  32. Eisenberg, N., Fabes, R. A., Guthrie, I. K., & Reiser, M.(2000). Dispositional emotionality and regulation: Their role in predicting quality of social function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8(1), 136-157. https://doi.org/10.1037/0022-3514.78.1.136
  33. Eisenberg, N., Valiente, C., & Eggum, N. D.(2010). Self-regulation and school readiness.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21(5), 681-698. https://doi.org/10.1080/10409289.2010.497451
  34. Fantuzzo, J., Bulotsky-Shearer, R., Fusco, R., & McWayne, C.(2005). An investigation of preschool classroom behavioral adjustment problems and social emotional school readiness competencie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0, 259-275. https://doi.org/10.1016/j.ecresq.2005.07.001
  35. Garner, P. W., & Waajid, B.(2008). The association of emotion knowledge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to preschool children's school-related developmental competence.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9(2). 89-100. https://doi.org/10.1016/j.appdev.2007.12.001
  36. Izard, C. E., Fine, S., Schultz, D., Mostow, A., Ackerman, B., & Youngstrom, E.(2001). Emotion knowledge as a predictor of social behavior and academic competence in children at risk. Psychological Science, 12(1), 18-23. https://doi.org/10.1111/1467-9280.00304
  37. Janus, M., & Eric, D.(2007). The school entry gap: Socioeconomic, family, and health factors associated with children's school readiness to learn.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18(3), 375-403. https://doi.org/10.1080/10409280701610796a
  38. Janus, M., & Offord, D.(2000). Readiness to learn at school. Canadian Journal of Policy Research, 1(2), 71-75.
  39. Lengua, L. J.(2002). The contribution of emotionality and self-regulation to the understanding of children's response to multiple risk. Child Development, 73(1), 144-161. https://doi.org/10.1111/1467-8624.00397
  40. Mauraven, M., & Baumeister, R. F.(2000). Self-regulation and depletion of limited resources: Does self-control resemble a muscle? Psychological Bulletion, 126(2), 247-259. https://doi.org/10.1037/0033-2909.126.2.247
  41. Miech, R., Essex, M. J., & Goldsmith, H. H.(2001). Socioeconomic status and the adjustment to school: The role of self-regulation during early childhood. Sociology of Education, 74(2), 102-120. https://doi.org/10.2307/2673165
  42. NSW Parenting Center(2003). School readiness. NSW Department of Community Services.
  43. Piotrkowski, C. S., Botsko, M., & Matthews, E.(2001). Parents' and teachers' beliefs about children's school readiness in a high-need community.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5(4), 537-558. https://doi.org/10.1016/s0885-2006(01)00072-2
  44. Vernon-Feagans, L., & Blair, C.(2006). Measurement of school readiness.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17(1). 1-6. https://doi.org/10.1207/s15566935eed1701_1

Cited by

  1. The Influence of Self-regulation and Teacher-preschooler Interaction on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vol.33, pp.1, 2018, https://doi.org/10.13000/jfmse.2021.2.33.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