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al models

검색결과 562건 처리시간 0.03초

초등 정보통신윤리 교육수준 제고를 위한 3중 연계교수학습모형 연구 (A Triple Connected Teaching & Learning Model to Improve the Educational Leve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in Elementary School)

  • 이대호;조기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345-353
    • /
    • 2011
  • 정보통신은 편리하기도 하지만 일면 심각한 부작용이 존재한다. 특히, 가치관이 정립되지 못한 초등학생들의 정보통신윤리 확립은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학생들이 가장 일반적으로 접하고 있는 대표적 방법인 수업을 통해 초등 정보통신윤리 교육수준을 제고하고자 3중 연계교수학습모형을 제안한다. 3중 연계교수학습모형은 임의의 수업모형 3가지를 선택하여 차시별로 내용을 연계하여 각각의 수업시간에 독립적으로 적용하는 형태이다. 수업모형 3가지는 수업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에 맞게 선택 가능한 형태이다. 본 실험에서는 배려모형, 가정연계모형, 가상체험모형을 연계하였다. 실험은 동일한 조건 속에서 적용되는 모형을 달리하여 실행한다. 정보통신윤리 수준 제고에 미치는 교육적 효과를 비교 분석하여 3중 연계교수학습모형이 단일 교수학습 모형에 비하여 학생들의 정보통신윤리 함양 및 실천능력을 신장시키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보이고 있다.

  • PDF

A Systematic Review of Evidence for Education and Training Interventions in Microsurgery

  • Ghanem, Ali M.;Hachach-Haram, Nadine;Leung, Clement Chi Ming;Myers, Simon Richard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0권4호
    • /
    • pp.312-319
    • /
    • 2013
  • Over the past decade, driven by advances in educational theory and pressures for efficiency in the clinical environment, there has been a shift in surgical education and training towards enhanced simulation training. Microsurgery is a technical skill with a steep competency learning curve on which the clinical outcome greatly depend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vidence for educational and training interventions of traditional microsurgical skills courses in order to establish the best evidence practice in education and training and curriculum design. A systematic review of MEDLINE, EMBASE, and PubMed databases was performed to identify randomized control trials looking at educational and training interventions that objectively improved microsurgical skill acquisition, and these were critically appraised using the BestBETs group methodology. The databases search yielded 1,148, 1,460, and 2,277 citations respectively. These were then further limited to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from which abstract reviews reduced the number to 5 relevant randomised controlled clinical trials. The best evidence supported a laboratory based low fidelity model microsurgical skills curriculum. There was strong evidence that technical skills acquired on low fidelity models transfers to improved performance on higher fidelity human cadaver models and that self directed practice leads to improved technical performance. Although there is significant paucity in the literature to support current microsurgical education and training practices, simulated training on low fidelity models in microsurgery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that leads to acquisition of transferable skills and improved technical performance. Further research to identify educational interventions associated with accelerated skill acquisition is required.

수리계획법 학습을 위한 부분집합총합문제 기반 퍼즐 게임 개발 (Developing a Subset Sum Problem based Puzzle Game for Learning Mathematical Programming)

  • 김준우;임광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680-689
    • /
    • 2013
  • 최근 즐거움과 학습 효과를 동시에 제공하는 교육용 기능성 게임이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육용 게임들을 유아나 아동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고, 고등 교육에서 이러한 게임을 활용하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실정이다. 반면, 본 논문은 대학생들에게 수리계획법을 가르치는데 활용할 수 있는 교육용 게임을 개발하고자 한다. 잘 알려져 있듯이, 대부분의 퍼즐 게임들은 연관된 최적화 문제로의 변형이 가능하며, 본 논문에서는 부분집합총합문제 기반 교육용 퍼즐 게임을 제안한다. 이 게임은 사용자가 퍼즐을 플레이하거나 이를 풀기 위한 수리계획모형을 작성할 수 있게 도와준다. 나아가, 사용자들은 모형 작성을 위한 적절한 안내를 제공받으며, 작성된 모형은 자동 생성된 데이터들에 의해 평가된다. 본 논문의 교육용 게임은 산업공학이나 경영과학 분야 대학생들에게 기본적인 수리계획모형을 가르치는데 특히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초등 정보통신 윤리수준 개선을 위한 사례 기반 다중형 교수학습모형 (A Case based Multiplex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o Improve the Educational Leve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in Elementary School)

  • 이대호;조기환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31-39
    • /
    • 2011
  • 정보통신환경에는 관련지식이 부족하고 가치관도 정립되지 못한 초등학생들에게 특히 큰 위험요소가 상존한다. 본 논문에서는 초등 학생들의 정보통신윤리 수준을 개선시키고자 학생들이 더욱 많이 참여하고 흥미도 느낄 수 있는 사례 기반의 다중형 교수학습모형을 제안한다. 제안 모형은 실제 생활속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보통신윤리 갈등상황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수업은 사례기반으로 진행하기 적합하도록 세 종류의 교수학습모형(가치 갈등, 가치 명료화, 역할놀이 교수학습모형)을 통합하여 적용한다. 적용 후, 제안모형이 정보통신윤리 수준 향상에 미치는 교육적 효과를 차시별로 비교 분석한다. 검증은 평가지와 설문방법을 통하여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종합적인 영역의 4가지로 나누어 실시한다. 연구결과, 제안모형이 학생들의 정보통신 윤리수준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보이고 있다.

  • PDF

교육용 디지털 콘텐츠 수명주기 정책에 대한 국내 사례 탐색 연구 (A study on the exploration of domestic cases about the life-cycle policy related to educational digital contents)

  • 차현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5호
    • /
    • pp.11-21
    • /
    • 2019
  • 급변하는 교육 기술과 트랜드로 교육용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는 기존 콘텐츠가 내용적 변화와 영상적/기술적 품질의 재평가 및 폐기 등이 필요한지에 대한 관리보다는 최신의 기술과 트랜드에 맞춤화된 콘텐츠를 제공하는데 급급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용 디지털 콘텐츠의 질 관리를 위해 적합한 수명주기와 효과적인 재평가 주기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국내 교육 서비스에 대한 사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교육 서비스 중 초 중등, 고등, 평생교육에서 대표적인 서비스 사례를 선정하여 담당자로 구성된 초점그룹인터뷰(FGI, Focused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였다.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각각 학교급에 따른 교육용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수명주기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용 디지털 콘텐츠에 대해 수명주기에 의한 질 관리의 필요성을 제기함으로써 기관 자체적으로 체계 없이 수행하고 있는 기 콘텐츠의 관리를 좀 더 체계화된 수명주기 정책을 통해 관리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남녀 청소년 소비자의 온라인 문제행동 차이에 대한 종단 분석 (Gender Differences in Problematic Online Behavior of Adolescent Users over Time)

  • 김정은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3권6호
    • /
    • pp.641-654
    • /
    • 2015
  • This study identifies and tracks changes gender differences in adolescent users' problematic online behavior. This study used Korea Youth Panel Survey (KYPS), which has tracked respondents over 7 years, with self-control theory and social learning theory applied as a theoretical framework. The model included individual-level variables such as self-control and respondent's experience of problematic behavior (offline), as well as socialization variables such as the number close friends who engaged in problematic offline behavior,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parental monitoring. Dependent variables included problematic online behavior, unauthorized ID use (ID theft) and cyberbullying (cursing/insulting someone in a chat room or on a bulletin board). Control variables consisted of academic performance, time spent on a computer,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father's educational attainment. Random and fixed effects models were performed by gender. Results supported self-control theory even for the within-level analysis (fixed effects models) regardless of gender, while social learning theory was partially supported. Only peer effects were found significant (except for unauthorized ID use) among girls. Year dummy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negative associations; however, academic performance and time spent using computers were significant in some models. Father's educational attainment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were found insignificant, even in the random effects models. We also discus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olicy makers.

딥러닝을 이용한 스마트 교육시설 공사비 분석 및 예측 - 기획·설계단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nalysis and Estimation of the Construction Cost by Using Deep learning in the SMART Educational Facilities - Focused on Planning and Design Stage -)

  • 정승현;권오빈;손재호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35-44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more accurate construction costs and to support efficient decision making in the planning and design stages of smart education facilities. The higher the error in the projected cost, the more risk a project manager takes. If the manager can predict a more accurate construction cost in the early stages of a project, he/she can secure a decision period and support a more rational decision. During the planning and design stages, there is a limited amount of variables that can be selected for the estimating model. Moreover, since the number of completed smart schools is limited, there is little data. In this study, various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were used to accurately predict the construction cost in the planning and design phase with limited variables and lack of performance data. A theoretical study on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deep learning was carried out. As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has frequent problems of overfitting, it is found that there is a problem in practical applica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mproved models of Deep Neural Network and Deep Belief Network are more effective in making accurate predictions. Deep Neural Network (DNN) and Deep Belief Network (DBN) models were constructed for the prediction of construction cost. Average Error Rate and Root Mean Square Error (RMSE) were calculated to compare the error and accuracy of those models. This study proposes a cost prediction model that can be used practically in the planning and design stages.

Analysis of SNE Learner's Performance Using NASA Scaling

  • Naveen, A.;Babu, Sangita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45-51
    • /
    • 2014
  • Computer science and computing technologies are applied into mathematical, science, medical, engineering and educational applications. The models are used to solve the issues in all the domains. Educational systems are used top down, bottom up, Gap Analysis model in the educational learning system. Educational learning process integrated with Lerner, content and the methodology. The Learners and content are same in the educational system or similar courses but the teaching methodologies are differing one with another. The determinations of teaching methodologies are based on the factors related to that particular model or subject. The learning model influencing determinations are made by the surveys, analysis and observation of data to maximize the learning outcome. This paper attempted to evaluate the SNE learners cognitive using NASA Scaling.

소외된 과학영재들의 사고력 향상을 위한 수업모형 설계 (Design of Instructional Models for Underserved Science Gifted Students)

  • 박기용;박은영;정은식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3권2호
    • /
    • pp.321-335
    • /
    • 2009
  • 본 연구는 소외된 과학영재들의 창의적 사고는 단계적이고 점진적으로 개발되어야하며, 사고력과 정의적 태도는 통합되어야한다는 논지를 토대로 구체적인 수업모형을 설계하는 것이 최종 목적이다. 이를 위해 소외영재의 정의와 특성을 리뷰하고, 교육목표분류학과 인지과학분야의 관련 이론 및 연구들을 토대로 소외된 과학영재 사고력 개발 수업모형 설계를 위한 기본방향과 구체적인 방법론을 설정하며, 이 방법론에 근거하여 4단계 사고력 향상 수업모형을 설계하였다. 구체적으로, 소외된 과학영재들의 인지적 사고의 점진적 발달과 정의적 태도와의 통합적 개발을 위해 인지적 및 정의적 교육목표 분류체계를 토대로 목표, 활동, 평가의 구조를 지닌 체계적 수업모형을 설계하였다. 특히 수업모형의 핵심인 수업활동은 단계별 인지적 및 정의 교육목표 체계에 해당되는 핵심적 학습활동을 규명한 다음, 이 학습활동을 촉진하는 중점 전략을 규명하고 "다양한 이론적 수업전략이나 수업모형"을 참조 변형하여 설계하였다.

  • PDF

시각적 모델을 활용한 비례 추론 수업 분석: 비표, 이중수직선, 이중테이프 모델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Lessons to Teach Proportional Reasoning with Visual Models: Focused on Ratio table, Double Number Line, and Double Tape Diagram)

  • 서은미;방정숙;이지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7권4호
    • /
    • pp.791-810
    • /
    • 2017
  • 본 연구는 비례 추론에서 형식적 절차의 기계적 사용에 대한 비판과 이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되는 시각적 모델의 사용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비례 추론 수업에서 시각적 모델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했다. 이를 위해 6학년 2학기 비례식과 비례배분 단원을 비표, 이중수직선, 이중테이프 모델을 활용한 수업으로 구성하여 한 학급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시각적 모델이 비례의 의미를 이해하고 비의 성질 및 비례식의 성질을 발견하는 데, 그리고 비례식 문제 및 비례배분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시각적 모델을 활용하는 데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과 이를 지도할 때 유의할 점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시각적 모델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교과서 개발 및 비례 추론 수업에 대한 지도 방안을 마련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