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al Psychology

검색결과 319건 처리시간 0.024초

치위생과 전공심화과정을 위한 학습자 요구분석 및 결과활용 사례 (Analysis of learner needs for advanced dental hygiene major courses)

  • 정영란;최혜숙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93-205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needs of learners in an advanced major course in a bid to strike a balance between theory and practice. And it's also meant to suggest an actual case of that effort in an advanced cours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the largest number of the learners who signed up for the advanced course chose that course to earn a bachelor's degree, and the second greatest group did that to bolster their expertise. The name of the college that offered that course (41.4%) had the most impact on their choice of it, followed by accessibility(28.6%). The most common thing they practiced in the oral health education course as one of major courses was forming a lesson plan, followed by teaching at schools and kindergartens, trial student teaching, producing PPT, making OHP materials, making a bulletin board and producing leaflets. During clinical activities for oral health education, the largest group considered it necessary to learn about more theories on educational psychology(54%), followed by the production of teaching media(29.9%) and teaching methods(25.3%). Likewise, the greatest group found it more necessary to practice educational psychology(42.5%), followed by the utilization of media(37.9%) and teaching methods(28.7%). An one-on-one interview was implemented before and after their classes to obtain more detailed information on their needs, and what their needs were in relation to the given curriculum was eventually confirmed, which made it possible to offer better education in response to their needs.

  • PDF

Studying the Amount of Depression and its Role in Predicting the Quality of Life of Women with Breast Cancer

  • Shakeri, Jalal;Golshani, Sanobar;Jalilian, Elham;Farnia, Vahid;Nooripour, Roghieh;Alikhani, Mostafa;Yaghoobi, Kianoosh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2호
    • /
    • pp.643-646
    • /
    • 2016
  • Background: Depression is the most common psychological reactions in women with breast cancer.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amount of depression and its role in predicting the quality of life of women suffering from breast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The present descriptive study in volved a correlation method with 98 women living in Kermanshah-Iran with breast cancer. According to the access to the patients and the condition of conducting the research, they were chosen by available sampling. Life quality inventory (World Health Organization, 1989) and depression inventory (Beck et al., 2000) were used to gather the data. Moreover,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correlation analysis with Pearson method, as well as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enter method and frequency analysis were applied. Results: The findings revealed that not only is depression high, but also there is a negativ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the quality of life, with predictive potential. Conclusions: The finding of a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the quality of life points to the need for addressing psychological problems of the affected individuals more appropriately. It is suggested that we consider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services for patients in treatment planning to make people aware of different psychological aspects of their disease and ways of struggling and overcoming the problems.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THE PARENT INFLUENCE ON STUDENT'S TEST ANXIETY)

  • 김문주;이혜성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권1호
    • /
    • pp.24-31
    • /
    • 1991
  • 시험불안이 어떻게 해서 생기는 가에 대해서는 학자들마다 보는 관점이 조금씩 다르지만, 대부분 어릴 때부터 가정이나 학교에서 경험을 중요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 중 가정에서 부모의 양육태도(자율-통제, 수용-거부, 보호-방임, 성취-안일)와 자녀의 시험불안과 관계를 보기 위해서 우리나라 학생들을 위한 시험불안도 진단검사(TAK-I)와 연구자가 작성한 자녀용 부모태도 진단도구를 초등학교 4학년 이상의 남, 녀학생 481명과 중, 고등학생 500명에게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보면, 부모의 거부적인 태도는 시험불안과 정적 상관($r=.25{\sim}.29$)이 있으며, 자율적이고, 수용적인 태도는 부적 상관($r=-.15{\sim}-.24$)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태도에 따라 각 집단별로 그 시험불안도의 평균을 비교해 보면, 국민학생, 중, 고등학생 모두에게 부모의 성취지향적인 태도는 높은 시험불안을 불러 일으키고, 수용적인 태도를 가진 부모 밑에서는 자녀가 낮은 시험 불안을 갖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차이는 유의하였다.($P{\leq}.05$). 그러므로 자녀가 무조건 좋은 시험결과를 가져오도록 기대하는 부모 밑에서 자녀의 시험불안은 높아지게 되므로, 자녀의 능력을 고려하고, 격려해주는 부모들의 태도가 요구된다고 볼 수 있겠다.

  • PDF

수학 학습과 관련한 고등학생들의 긍정심리분석 및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ositive Psychology Experience Inventory in Mathematics)

  • 홍진곤;김태국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2권1호
    • /
    • pp.69-99
    • /
    • 2012
  • 본 연구는 수학 학습과 관련한 긍정적인 심리체험의 구성요소 전반에 대한 특성을 보다 포괄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검사 도구를 개발하여 학생들의 강점들을 각각 측정하고,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강점에 대한 자료를 학생들에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여러 가지 문헌연구를 통하여 수학 학습과 관련한 긍정적 심리체험의 요소들을 추출하였고, 개방형 설문조사를 통하여 문헌연구의 결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거쳐 얻어진 요소들을 이용하여 106개의 문항으로 된 1차 예비 설문지와 이를 수정 보완한 66문항의 2차 예비 설문지를 만들어 꾸준히 검사지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여, 최종적으로 65문항의 '수학 학습과 관련한 학생들의 긍정적 심리체험 검사'를 위한 측정도구를 만들었다.

  • PDF

과제 유용가치의 시간적 근접성과 자기효능감의 상호작용이 흥미에 미치는 영향 (Interaction Effect Between Temporal Proximity of Utility Value and Self-efficacy on Interest)

  • 우연경;김성일;봉미미
    • 교육심리연구
    • /
    • 제28권1호
    • /
    • pp.1-21
    • /
    • 2014
  • 이 연구에서는 과제의 유용가치가 상황적 흥미와 재참여 의지에 미치는 영향이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유용가치를 단기 유용가치(proximal utility)와 장기 유용가치(distal utility)로 각각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연구 1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산 과제에 대한 유용가치의 시간적 근접성과 자기효능감의 상호작용이 흥미유발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 결과,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장기적인 유용가치가 흥미 유발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대학생과 발달적으로 차이가 있으며 학습 환경에서 수학이 필수적인 요소인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교실학습 상황에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과 마찬가지로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장기적인 유용가치가 흥미 유발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은 과제에 대한 상황적 흥미를 증진시키기 위해 유용가치를 제공하는 경우 시간적 근접성과 자기효능감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수학·과학 영재성 검사에서 창의성과 사고력 및 수학·과학 학업성취 간의 관계와 영재판별 준거 분석 (A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Thinking Skill,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Identifying Reference of the Gifted Students in Math and Science)

  • 이경화;박춘성;유경훈;최병연
    • 교육심리연구
    • /
    • 제23권3호
    • /
    • pp.543-560
    • /
    • 2009
  • 본 연구는 영재교육이 확산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최근 상황에서 영재를 판별하기 위하여 타당한 방법이 무엇인지를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학과 과학교과에서 탁월한 학생들을 판별하기 위한 영재성 검사를 개발하여 전국 단위로 검사를 실시한 결과를 활용하여 각 하위변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영재성 검사에 포함된 하위변인은 영재성 영역에는 창의성과 사고력, 학업성취 영역에는 수학과 과학에서의 학업성취이다. 연구대상은 전국의 초등학교 3학년-6학년과 중학교 1학년 학생 6,237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첫째로 창의성, 사고력, 교과 간의 관련성을 본 결과, 창의성과 사고력은 수학과 과학에서의 학업성취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특히 과학에서의 성취는 창의성과 사고력 하위요인 모두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로 영재집단의 선별 방법에 따라 창의성, 사고력, 수학 과학 교과의 학업성취의 영향력은 매우 다르게 나타나는 양상을 보였으며 4가지 특성을 모두 고려하는 것이 상위 1%의 영재선별에 매우 근접한 선별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학생이 지각한 전공에 대한 상향적 사후가정 사고, 전공 만족, 취업불안 및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 학년 간 차이를 중심으로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Upward Counterfactual Thinking in Academic Majors, Academic Major Satisfaction, and Job-seeking Anxiety and University Students' Happiness: Differences between Grade Levels)

  • 김다인;안도희
    • 교육심리연구
    • /
    • 제32권3호
    • /
    • pp.355-37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전공에 대한 상향적 사후가정 사고, 전공 만족 및 취업불안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학년(저학년, 고학년)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서울에 소재한 A대학교 581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전공에 대한 사후가정 사고(전공 관련 학업 측면, 전공 관련 취업 측면)는 전공 만족에 유의한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취업불안에는 전공 관련 취업 측면의 상향적 사후가정 사고가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 만족은 취업불안을 감소시키고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취업불안은 행복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인 간 관계모형에서 전공에 대한 학업 측면의 상향적 사후가정 사고가 전공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취업불안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학년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대학에서 학생들의 행복교육을 실천하기 위한 개입 방안을 탐색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만화 텍스트 빈칸 메우기 전략을 활용한 읽기 학습이 흥미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loze Procedure with a Cartoon on Academic Interests and Reading Achievements)

  • 최인희;김성일
    • 교육심리연구
    • /
    • 제22권1호
    • /
    • pp.215-234
    • /
    • 2008
  • 이 연구는 학습자의 받아쓰기 성취도와 독해력을 향상시키고 흥미를 유발하는 교수 학습 방법으로서 만화와 문자 빈칸 메우기 전략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실시되었다. 초등학교 1학년 학급 중 교과 흥미 사전검사와 국어과 읽기 학업성취 사전평가에서 동질성을 확보한 3개 학급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1은 만화 텍스트 빈칸 메우기 전략, 실험집단 2는 문자 텍스트 빈칸 메우기 전략을 활용하여 읽기 학습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기존의 교과서 위주의 읽기 학습을 실시하도록 하여 총 15차시에 걸쳐 수업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첫째, 만화 텍스트 빈칸 메우기 전략의 활용은 교과흥미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쳤으며, 특히 하위 성취도 집단에서 더 큰 효과를 보였다. 둘째, 빈칸 메우기 전략의 활용은 사후 받아쓰기 성취도 및 지연된 받아쓰기 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하위 성취도 집단에서는 만화 텍스트의 활용이 더 효과적이었다. 셋째 직후 독해력 검사에서는 텍스트 유형에 상관없이 빈칸 메우기 전략을 활용한 읽기 학습이 독해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으며, 독해력 하위 요소 중 사실적 이해를 묻는 문항보다 추론적 이해를 묻는 문항에서 더욱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국어 읽기 학습에서 흥미 유발 및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텍스트의 유형과 학습 전략에 대한 시사점도 논의하였다.

Collaborative Information Seeking in Digital Libraries, Learning Styles, Users' Experience, and Task Complexity

  • Sangari, Mahmood;Zerehsaz, Mohammad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8권4호
    • /
    • pp.55-66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aborative information seeking and users' learning style preferences and their experience of information systems. The study investigates the role of four different factors including learning style, task complexity, and user experience in collaborative information seeking in digital environments. Sixty participants (30 pairs) were randomly chosen from volunteer graduate students of Kharazmi University (Iran). Participants completed Kolb's learning style questionnaire and a user experience questionnaire and then performed two information seeking tasks (one simple and one difficult) in a lab setting. They could exchange information with their partners or a librarian using Skype. The sessions were recorded using Camtasia. The results showed that with an increase in task difficulty, collaborative information seeking activities increased and more interactions with partners and the librarian occurred. The number of executive help-seeking requests was higher than the number of instrumental help-seeking requests. This research confirms that learning style is related to the way users interact with the digital library and help seeking. The research showed that in difficult tasks, the differences among users with different learning styles become more evident, and that generally interactions increase in more difficult tasks. Among the learning styles, the accommodating style had the highest number of relationships with collaborative information seeking variables. Most of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users' prior computer experience and collaborative information seeking variables were related to the time variable.

Professional Mobility as a Factor of Professional Success of a Modern Specialist in the Conditions of Distance Learning

  • Semchuk, Bohdan;Havryliuk, Svitlana;Karnaukh, Lesia;Balakirieva, Viktoriia;Palshkova, Iryna;Leonova, Veronika;Bida, Olen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8호
    • /
    • pp.260-268
    • /
    • 2022
  • The article considers the training, competitiveness of specialists, professional mobility, professionalism and competence of specialists in the context of distance learning. The advantages of distance learning are shown.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distance learning in the preparation of students and in the implementation of these technologies in the educational process of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determined. Competitiveness, professional mobility, professionalism and competence of a specialist are qualities that determine a person's life and work success. Professional mobility is interpreted as a systemic quality of a specialist's personality, which includes a whole range of knowledge, skills, abilities, personal qualities, value orientations, and so on. The vision of mobility of specialists by foreign scientists is presented. It is noted that the classification of professional mobility presented in the article makes it possible to organize various movements from a single position, to present them as separate manifestations of the general process of professional and pedagogical mobility, to determine which type of mobility ensures the performance of certain social functions. It was found that mobility can be differentiated into differentiated and intergeneration. According to the subject, individual and group mobility are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 internal and external. The classification of employees according to their attitude to mobility is shown, which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groups: actually mobile; potentially mobile; actually stable; potentially st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