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al Contents

검색결과 3,100건 처리시간 0.037초

소비자상담사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필수이수교과목의 교과내용과 현장실습교육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Consumer Adviser Educational Program)

  • 송인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9-20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educational program of consumer adviser. The educational program proposed in previous study is consisted of the acquisition of 5 require and 2 optional subjects, and field education. For this, based on the role and capacity of consumer adviser we explain in detail the contents of required subjects. And we confirm the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field education. Finally we investigate the confirm the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field education. Finally we investigate the contents of field education and suggest the system and course of desirable field education through case study of several universities.

  • PDF

Creative Factors on the Objectives of Expressional Activities

  • Kim, Lee-kyung;Lee, jiwon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9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339-340
    • /
    • 2019
  • The society seeks creative talents. Expressive activities are educational activities that stimulate imagination, realize such through body, and enable communication with the society. In such perspective, it is quite meaningful to investigate educational objective that expressive activity shall possess as class to cultivate creativi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reativity theory, analyze expressive activities as national curriculum at elementary schools, understand the position of expressive activities in Korea, and understand creative educational objective and value of expressive activities, in order to suggest idea for practical goal of expressive activities.

  • PDF

공업고등학교 전기관련과의 수학 교육 보완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Educational supplement for Department of Electricity of Technical High School)

  • 이상석;신용철;김민회;박찬규;이재용
    • 전기학회논문지P
    • /
    • 제53권4호
    • /
    • pp.216-222
    • /
    • 2004
  • This research is that concern in mathematics education of Technical high school Department of Electricity i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we indicated problem compare 7th with 6th mathematics curriculum subject contents in Technical high school Department of Electricity. And examine major subject contents, analyzed contents of mathematics that must supplement and mathematics which use in major subject. Established contents of electricity mathematics education that need to major learning to satisfy target of technical high school technical education that is presented in the 7th training courses with this analysis. Also, we hope these results are into consideration when writing new mathematics text in Technical high school Department of Electricity.

지식정보화 사회의 주부소비자교육을 위한 기초연구 (A Baseline Study on Housewife-Consumer Education in the Information Society)

  • 김선미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425-440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a foundation for housewife-consumer education programs appropriate in the information society. For this purpose, the authors reviewed existing literature, analysed consumer counseling cases, and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The need for housewife-consumer education was illustrated, and desirable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were proposed. The existing housewife-consumer education programs did not work effectively because the contents were too general, and mostly structured with non-interactive one-way lectures. More effective programs should be designed to accomodate the educational purpose and contents which fitted with the specific needs of housewives as the representatives of the family consumer units. It should also take the family life cycle stages into consideration. The education programs would work better when they were oriented more toward actively participating, locally-based spontaneous small-groups.

  • PDF

실무 기반 건축공사 물량산출 교육용 컨텐츠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ractice-based Construction Quantity Takeoff Educational Contents)

  • 박지환;최창훈;한충희;이준복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5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17-218
    • /
    • 2015
  • There are various standards and manuals on the quantity takeoff for construction estimation. However, a lot of time and money has been spent on retraining because of difference between practice and education. Therefore,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improvement to analyz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existing educational content for quantity takeoff. In order to achieve research objective, comparative analysis for quantity takeoff contents is carried out. This study will be extended to assist in effective quantity takeoff in building projects by supplementing the existing issues with quantity takeoff contents and developing a BIM-based quantity takeoff multimedia contents that use diverse media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n the subject for a non-professional.

  • PDF

Effects of Training Contents on the Work Effectiveness of Learning Workers in the Software field

  • Yoo, Hang-Suk;Seo, Jeong-M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29-35
    • /
    • 2019
  • In this paper, the effects of educational contents on job behavior, the effects of job behavior on job effectiveness and the effects of educational contents on job effectiveness were studied when working in the Software field.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learning workers who conducted the training in the IT field, and 302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earch model was set up to test exploratory factor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hypothesis, and the research hypothesis was tested by applying structural equation. The effects of job behavior on job effectiveness were positiv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customer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생명주기 기반 교육용 콘텐츠 질 관리 (Quality Control of the Educational Contents based on Life Cycle)

  • 임재현;김치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483-495
    • /
    • 2007
  • 교육용 콘텐츠의 질 관리 방안을 정립하기 위해 본 논문은 교육용 콘텐츠의 질 관리 대상이 되는 콘텐츠 범위를 수립하고 소프트웨어의 생명주기와 기존의 콘텐츠 생명주기를 분석한 후, 현재 상황에 적합한 생명주기를 정의하고 단계 별 질 관리 절차를 제시하여 콘텐츠의 개발과 활용을 지원하도록 하였다. 교육용 콘텐츠가 생성되고 소멸하기까지의 모든 과정을 생명주기로 정의하였으며 개발과정은 기획, 설계, 제작단계로 구분하고, 활용과정은 평가, 유통, 관리단계로 구분하여 질 관리 지침을 수립하고 제공하여 콘텐츠를 개발하는 개발자와 개발의 진행을 지원하는 관리자 모두에게 적용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 하였다.

  • PDF

실감형 콘텐츠의 기술동향과 교육용 콘텐츠로의 적용 방안 (Technology Trends of Realistic Contents and Application to Educational Contents)

  • 심연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4호
    • /
    • pp.315-320
    • /
    • 2019
  •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교육산업은 더욱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 가운데, 특히 VR/AR 기술을 활용한 미래형 교육의 성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VR/AR 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실감형 콘텐츠는 몰입감, 상호작용, 지능화의 특징을 통해 높은 현실감과 경험을 제공한다. 본 논문은 국내외 실감형 콘텐츠 기술 동향을 분석하고, 실감형 콘텐츠 개발에 대한 사례 분석을 통하여 향후 교육용 콘텐츠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교육 데이터를 활용한 정보시스템 설계와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formation System Based on Educational Data)

  • 장용수;조재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436-451
    • /
    • 2017
  • 초 중등학교에서는 교육활동 과정에서 생성된 성적 자료, 관찰 상담 자료, 심리검사 자료 등의 다양한 정보를 여러 형태로 축적하여 관리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을 다차원적으로 진단하고 파악하는 데 필요한 분석정보를 제공하는 교육용 정보시스템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것은 마치 환자에 대한 각종 검사 결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의사가 임상 경험에만 의존하여 환자를 진료하는 상황을 연상시킨다. 교육부가 '제5차 교육정보화 기본계획(2014~2018)'의 '교육 빅데이터 활용 활성화 대책'에서 지적하였듯이, 교육용 정보시스템이 존재하지 않는 이유는 아직 이 분야에 대한 기초 연구뿐만 아니라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분석정보시스템의 개념을 교육 분야에 도입하여 맞춤형 학생지도를 가능하게 하는 교육용 정보시스템을 설계하고 프로토타입을 구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직무분석과 표적집단면접조사를 통해 교육용 정보시스템의 핵심 기능과 내용을 정의하였으며, 네이버 프로토나우를 사용하여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였다.

LAMS와 외부 교육용 콘텐츠간의 통신 메커니즘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mmunication Mechanism between External Educational Contents and LAMS)

  • 박찬;정석인;한철동;성동욱;유재수;유관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361-371
    • /
    • 2009
  • LAMS(learning activity management system)[1]는 웹 검색, 채팅, 포럼, 그룹화와 보드와 같은 학습활동을 효과적으로 설계하고 관리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 중의 하나이다. 비록 LAMS가 e-러닝 콘텐츠를 편리하게 제작할 수 있는 방법을 지원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갱신되고 있지만, 플래시, 자바, 비쥬얼 C++ 등과 같은 외부 도구에 의해 만들어진 외부 교육용 콘텐츠(EEC: External Educational Contents)와 통신하기 위한 방법을 아직 제공하고 있지 않다. 웹 환경에서 작동되는 LAMS에서 교육용 콘텐츠로 사용되고 있는 비디오와 동적 콘텐츠 등과 같은 임의의 EEC를 LAMS DB에서 일관성 있게 관리해야 하나, 아직까지 EEC 정보를 LAMS DB에 저장하기 위한 기능 뿐만 아니라 LAMS DB로부터 EEC에 관한 정보를 접근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LAMS와 EEC와 통신할 수 있는 메카니즘을 제안한다. 특히 이 기법은 LAMS에서 불가능한 다양한 외부 교육용 학습 자료를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고, 또한 평가와 같은 목적으로 만들어진 외부 교육용 콘텐츠를 교육적으로 활용하여 다양한 통계 자료 생성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제안된 통신 메카니즘을 통하여 LAMS를 이용하는 교수자가 보다 더 다양한 교육용 콘텐츠를 제작 관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