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 Goal and Content

검색결과 256건 처리시간 0.022초

고등학교 정보보안단원의 체험형 스마트교육 콘텐츠 적용 수업이 정보통신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n Information Communication Ethics of Experience Type Smart Learning Contents Application for High School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 서현정;김성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81-89
    • /
    • 2016
  • 사회적 기술적 환경이 급변함에 따라 수동적인 지식습득자였던 학습자는 주어진 정보를 단순히 기억하고 재생하는 차원을 넘어 실생활의 현상을 비판적으로 파악하고 창의적인 문제해결력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는 새로운 형태의 교육목표 및 내용, 교육방법과 평가방법과 더불어 교육환경도 함께 요구됨을 의미한다. 변화된 교육패러다임에 부합하는 스마트교육에 대해 분석하고, 스마트교육모형에 의거 고등학교 정보윤리부분 '정보보호와 보안' 단원에 해당하는 교수-체험형 교육콘텐츠를 개발하여 수업에 적용해 봄으로써 스마트교육이 정보통신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N 세대를 위한 소비자 교육정책연구 -사회적 지원시스템의 구축을 중심으로 - (Consumer Education Policy for Net Generation -focused on Developing Social Support System-)

  • 박명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43-159
    • /
    • 2002
  • Consumer Education Policy for -Focusing on developing Social support System-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change of future consuming environ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future potential consumer: the net generations. With those research results, we deduced our goal, content and method of consumer education for these net generations. Finally, I suggested a scheme of the social construction by demand of our future society. Literature review and depth interview are used for this research. The main factors of the change of our future consuming environment are Digitalization, globalization, improvement of consumer sovereignty, Sustainable consumption culture, the increasing pursuit of safe life. It is necessary to educate our future consumer, net generations, the information searching skills in order to be able to obtain right information. We also need to educate them how to practice the safe life and Sustainable consumption and how to get consumers sovereignty. The method of the education requires interchangeable communication. We need social networking system for the support of consumer education, in order to build this social system. We need an administrative support from the government and financial support from corporations. We have suggested that it is very desirable to share all the information developed among Academic field, Consumer related organizations and schools by this network be build.

중.고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의 의생활 수업매체에 대한 의식 조사 (Research o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eachers′Awareness of Instructional Media on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 박일록;이은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75-88
    • /
    • 2001
  • This research aims to obtain basic information on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instructional media on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s. It also strives to get various information needed in order to improve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teaching methods. The targets of this survey were 225 teachers who teach home economics at middle and high schools in Taejeon, Choongchungnamdo and Junrabookdo. I made up questions their awareness about the instructional media on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the educational circumstances of their schools having to do with new media, and their real educational goal. Methods such 3s frequency, percentage, and Chi-square(${\chi}^2$)(statistical significance of differences between variables) were used to research the differences of awareness on using instructional media, according to teachers'various characters, were checked using the SPSS WIN computer progra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ellows; 1. They thought content on the management and the materials of clothing were the ones that need to be developed, compared to other content having to do with the curriculum on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2. The real things tuned out to be the molt useful and effective. So the most frequently used media was the Over Head Projector. Also, the teachers expressed in general that they wished to increase the use of computers in order to teach more efficiently. 3. We knew the teachers had little knowledge on the software developed for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The infrastructures for educating the using of clothing and textiles, using computers and the internet, were very poor in most schools. The new curriculum that has been proposed needs a more enlarged investment in order for it to function properly and effectively.

  • PDF

지역 고고유산 체험 교육의 활성화 방안과 전략 (Methods and strategies for cultural heritage education using local archaeological heritage)

  • 김은경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4권3호
    • /
    • pp.106-125
    • /
    • 2021
  • 고고유산 체험 교육은 오늘날 역량 중심의 교육 과정을 중요시하는 교육 목적과도 부합된다. 고고학이 가진 융합적 성격을 통해 다양한 역량 강화 교육이 가능하다고 생각하는데, 학습자들의 역사적 사고력 신장과 창의 융합 사고력 향상, 문제 해결력, 의사소통 역량 강화 등에서 장점으로 작용한다. 이 논문은 이러한 고고학 체험 교육의 필요성과 활성화를 위한 몇 가지 전략을 제시해 본 것이다. 우선 고고학 체험 교육의 전문화와 교육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지역 고고유산 활용에 대한 자체 운영 지침서 제작이 필요하다. 이러한 '지역 문화유산 교육 전문 매뉴얼'은 해당 지역의 고고유산의 정체성을 담아내는 한편 지역의 문화유산 교육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필수적이다. 그리고 체험 교육의 전문성 확보와 체계화된 교육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교육을 진행하는 강사의 역량이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에 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한 매뉴얼 학습과 강사 역량 강화 교육이 주기적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체험 교육은 학습 대상을 고려한 고고학 교육 프로그램의 기획과 콘텐츠 개발은 물론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이라는 전략이 필요하다. 지역의 문화유산 교육에서 필요한 교육 시스템 구축과 맞춤형 콘텐츠 개발은 지역의 문화유산 활용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에서의 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통해 지역의 문화유산 교육 콘텐츠가 실제로 지역의 여러 문화유산 교육 현장에서 '부교재'로 활용되기 위한 다각적 노력과 개발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고고유산 교육의 한계를 인식하고, 효과적인 고고학 온택트(Ontact) 교육 방안에 대해 고민해보았다. 고고유산 교육의 중요한 전략은 활발한 상호작용 수업 설계와 교수자-학습자 간 상호작용의 촉진이며, 고고학 콘텐츠를 매개로 한 다채로운 교육 설계가 필요한 시점이다. 또한 이러한 고고유산 교육은 평생 교육으로서 생애 주기별 맞춤형 교육의 입장에서 모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초.중학생의 영재분야에 따른 ICT 리터러시 능력 수준 분석 (Analysis of ICT literacy level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ir skill sets)

  • 이승진;김자미;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69-78
    • /
    • 2013
  • 21세기 지식기반사회의 핵심역량으로 ICT 리터러시 능력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2007년부터 학생들의 ICT 리터러시 측정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교육의 수월성 관점에서 영재분야에 따라 ICT 리터러시 능력이 어떻게 다른지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목적 달성을 위해 영재교육원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초등학생 167명, 중학생 159명을 대상으로 영재분야에 따른 ICT 리터러시 능력을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초등학생들은 영재분야에 따라 내용요소 중 '컴퓨터와 네트워크', '정보사회와 윤리', 능력요소 중 '문제의 인식', '정보의 소통'에서 차이를 나타내었다. 둘째, 중학생은 영재분야에 따라 '정보사회와 윤리', '정보의 조직 및 창출' 요소에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일반학생들과는 달리 정보, 과학, 수학영재를 대상으로 ICT 리터러시 능력을 측정하고, 교육에 대해 제언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PDF

초등학교 문화유산 교육 현황과 방향 제언 - 교육 과정 분석 및 교사의 문화유산 교육 경험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suggestions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in primary school Focused on curriculum analysis and teachers' cultural heritage education experiences)

  • 한건수;김다원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4권4호
    • /
    • pp.132-151
    • /
    • 2021
  • 본 연구는 초등 교육에서 문화유산이 학교에서 어떻게 교육적으로 이용되고 있는지, 그리고 교사는 문화유산 교육을 어떻게 실행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에 의거하여 문화유산 교육의 방향을 제언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개 교과서를 살펴보고 문화유산 교육 경험이 있는 1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음의 다섯 가지를 제언하였다. 첫째, 문화유산 교육의 목표를 시민성 함양으로 확대해야 한다. 둘째, 문화유산 교육에서 무엇을 교육 내용에 포함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와 학생 환경, 지역 사회 환경, 교과 내용 등과 연계하여 체계적인 내용 구성이 필요하다. 셋째, 문화유산 교육은 문화유산이 현재 세대에서 미래 세대로 이어질 수 있게 지속 가능 발전 개념과 연계되어야 한다. 문화유산은 국가의 경계를 넘어선 인류의 보편적 가치, 지역별 정체성, 문명 간 대화와 이해, 창의성의 원천 등 특성을 갖고 있어서 지속 가능 발전의 토대가 된다. 넷째, 학교에서 문화유산 교육의 효과적 실행을 위해서는 단계별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학교에서 문화유산 교육의 성패는 교사 연수에 달려 있다. 다섯째, 문화유산 교육을 교육 과정에 통합하는 정도를 강화해야 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가 문화유산에 대한 지식과 비판적 사고력을 함양하여 향유하고 보호하고 지속 가능 발전 사회와 연결해 나갈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한다.

홀로그래피와 증강현실을 활용한 융합형 문화콘텐츠 제작시스템 제안 (A Suggestion for the Convergent Type of the Cultural Content Production System Using Holography and Augmented Reality)

  • 오문석;원종욱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177-184
    • /
    • 2012
  • A hologram projects a 3 dimensional video as same as a real subject and it is made by principles of holography. Many researches about holographic technology have been developed. Studies for visualization of 3D videos, holographic storages, and optical media have proceeded mostly in engineering. It is hard to find any researches about the convergent system from the viewpoint of interactive elements and motion graphic design such as this paper's concept. Most studies of augmented reality have been developed in the domain of technology and education but the field of content production. AR has been convergent with various fields and media, so it is time to make an active progress in the study of convergent content developmen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ultural contents and create new values through the convergence of holography and A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the way of developing the convergent type of cultural contents and construct the production system by the new approach to users using the convergence technology of holography and augmented reality.

게임 컨텐츠 가치 평가 모델 분석 및 요소 추출에 관한 연구 (Delphi Study on Game Content Valuation Model Element Extraction and Analysis)

  • 이성태;조옥희
    •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 /
    • 제31권4호
    • /
    • pp.145-155
    • /
    • 2018
  • 본 연구는 게임 관련 전문가 23명에게 델파이 기법을 사용해 기존의 게임 가치평가에 추가적 요소들을 추출해 보고자 한다. 기존에 제시된 게임 컨텐츠의 평가 모델을 이용하여 개발 모델의 특성을 전반적으로 검토 한 결과, 컨텐츠를 선정 할 때 가치 평가 요소가 선정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델파이 분석은 2차에 걸쳐서 이루어졌으며, 1차는 전문가 FGI, 2차는 델파이 설문으로 진행되었다. 결과, 기술 이전 및 보급, 상용화 촉진을 위한 세부 내용 등 관련 항목등에서 보다 세밀한 요소들이 제시되었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추가 요인을 추출하고 게임 업계의 컨텐츠 성공에 대한 시장 분석을 통해 시장 규모, 성장 잠재력, 규제 및 시장 매력과 위험을 예측 했으며 이를 통해 관련업계는 성공 목표에 대한 시장 분석을 통해 시장 규모, 성장 잠재력, 규제, 시장 호소력 및 위험성을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 연구는 제안 된 평가 요소가 게임 및 문화 콘텐츠 산업 전체에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또한 콘텐츠의 시장 가치 평가, 목적 및 목표 설정, 진입 방법 선택, 전략 요소 등 시장 요인을 구성하는 것에 도움이 될 것이다.

영유아보건생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Health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for Infants, Toddlers and Preschool Children)

  • 이자형;김일옥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62-269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child care workers of infants, toddlers and preschoolers to improve their care ability. The program provided child care teachers and children with information on how to take care of their health. Method: This program development was based on a systematic design of instruction by Dick & Carey(1996). The process included a review of literature, setting an instructional goal, getting advice from various experts, designing instruction and instructional medias, designing formative evaluation, revising the program and making a summative evaluations. Result: The products of this program were the 'Teachers Guide Book & CD-ROM.' The guide book included health education programs for infants, toddlers and preschoolers. The infant program included a basic baby care program for teachers. The toddlers and preschoolers program included basic health promotion, dental health, nutrition management, communicable disease prevention, substance abuse prevention and a safety program. Conclusion: These programs provided a systematic content of health education for children and their teachers, and useful data which can be applied to child care centers.

초등학교 수학의 교수를 위한 모바일 가상조작물 앱 분석 (An Analysis of Mobile Virtual Manipulatives Apps for the Teaching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 신미경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935-949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virtual manipulatives apps that can be used to teach students struggling to learn mathematics. To achieve this goal, ten general characteristics of 23 virtual manipulatives apps were evaluated. The instructional, interface, and interactive design features of apps were also evaluated on five-point scale ratings of 18 items. In addition, SPSS frequency analysi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feature was analyzed. Frequently presented instructional contents among 23 virtual manipulatives apps were geometry, arithmetic operation, number concept and measurement. The frequently presented level of instructional contents was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and kindergarten age. The frequently presented instructional type was the simulation. Regarding the design features, instructional design was rated as the highest (mean = 3.7); interactive design (mean = 3.6) and interface design (mean = 3.3) were also rated higher than neural. In addition, as the learning strategy was appropriately presented, it was evaluated that there was less screen linkage and content err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