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n Information Communication Ethics of Experience Type Smart Learning Contents Application for High School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고등학교 정보보안단원의 체험형 스마트교육 콘텐츠 적용 수업이 정보통신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

  • 서현정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 김성식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Received : 2016.11.15
  • Accepted : 2016.11.28
  • Published : 2016.11.30

Abstract

As the social and technical circumstance changes rapidly, passive learners who were knowledge-finders not only remember and regenerate about the given information but also critically grasp the phenomena of real life, and then also it became necessary for us to help cultivate the ability to solve the problem creatively in the new form of educational goal, educational content, educational methods and evaluation, educational environment. As a result, this study analyzes the smart learning education, fit the model of smart learning education training in high school information ethics parts, design the lesson that is proposal class of 'Information protection and Security' section, and develop the teaching and experience educational contents, furthermore, It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n the ethics consciousness about information communications.

사회적 기술적 환경이 급변함에 따라 수동적인 지식습득자였던 학습자는 주어진 정보를 단순히 기억하고 재생하는 차원을 넘어 실생활의 현상을 비판적으로 파악하고 창의적인 문제해결력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는 새로운 형태의 교육목표 및 내용, 교육방법과 평가방법과 더불어 교육환경도 함께 요구됨을 의미한다. 변화된 교육패러다임에 부합하는 스마트교육에 대해 분석하고, 스마트교육모형에 의거 고등학교 정보윤리부분 '정보보호와 보안' 단원에 해당하는 교수-체험형 교육콘텐츠를 개발하여 수업에 적용해 봄으로써 스마트교육이 정보통신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철중 (2013). 2017년까지 새로운 고등학교 만들기. 서울:이담북스.
  2. 안종배, 송준호, 신호철(2016). 2015 대한민국 청소년 및 학부모 정직지수조사 결과보고서. 흥사단 투명사회운동본부.
  3. 2015 인터넷이용실태조사.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인터넷 진흥원(KISA).
  4. 권예지, 나은영, 박소라, 김은미, 이지영, 고예나 (2015). 한국의 디지털 원주민과 디지털이주민. 한국방송학보 5-40.
  5. 장상현(2010). 교육 3.0과 스마트교육.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교육정보화 수요 포럼 발표자료집.
  6. 노규성, 주성환, 정진택(2011). 스마트교육의 개념 및 구현 조건에 관한 탐색적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9(2), 79-88.
  7. 강인애, 임병노, 박정영(2012). '스마트 러닝'의 개념화와 교수학습전략 탐색: 대학에서의 활용을 중심으로. 교육방법연구 제24권 제2호(2012. 5.31):pp.283-303.
  8. 김미용, 배영권 (2012). 스마트교육 현장 적용을 위한 스마트교육 모형 개발.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13(5), 77-92. https://doi.org/10.7472/jksii.2012.13.5.77
  9. 조은순, 전영주, 남민우, 김현진, 이해듬 (2014). 스마트교육의 미래 비전 방향 연구최종보고서. 세종: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10.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0). 정보통신윤리지도 안내서. 연구보고 CR 2000-2. 서울: 한국교육할술정보원.
  11. 추병완 (2001). 정보 윤리 교육론. 서울:울력.
  12. 조성환, 김성식 (2008). 청소년의 정보통신윤리 의식 수준 측정을 위한 델파이 분석. 한국정보교육학회(12권4호).
  13. 배영권 (2013). 스마트러닝 콘텐츠 만들기. 서울: 한빛아카데미.
  14. 배영권, 도재춘 (2013). 스토리라인을 활용한 스마트 러닝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 논문지 제17권 2호.
  15. 심연숙(2014). 스마트 교육을 위한 교육용 앱 활성화 방안.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제49호.석사학위논문, 숭의여자대학교.
  16.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4). 스마트교육 콘텐츠 제작을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할 저작권. 2014 하계 스마트교육 워크숍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4 P. 3-25. 충북: 한국교원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