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22755/kjchs.2021.54.3.106

Methods and strategies for cultural heritage education using local archaeological heritage  

KIM, Eunkyung (BK21 Research Team, Stage 4 Department of Culture and Anthropology, Yeungnam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v.54, no.3, 2021 , pp. 106-125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paper presents several reasons for the necessity of archaeological hands-on training and strategies for its implementation. First, it is necessary to produce a specialized manual for local cultural heritage education that can enhance the specialization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archaeological experience education. In addition, in order to secure professionalism in hands-on education and conduct it systematically, the ability of instructors to conduct education is important, so instructor competence reinforcement education needs to be conducted regularly. In addition, hands-on education needs a strategy of planning and content development of archaeological education programs, with consideration given to the subjects of learning, and the establishment of a cooperative network. It is time to cooperate with various experts to establish an education system necessary for cultural heritage education in the region and develop customized content for local archaeological heritage supplementary textbooks. Finally, due to Covid-19, we agonized over effective education plans for online archaeological heritage education, which requires active interaction class design and a strategy to promote interaction between professors and learners. In addition, such archaeological heritage education should be compatible with the goal of providing customized lifelong education.
Keywords
Local archaeological heritage; hands-on education; hands-on manual; archaeological content; lifelong educ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문화재청, 2021, 「포스트 코로나 시대 문화유산 미래 정책 방안 연구 최종보고서」.
2 이명석, 2002, 「거버넌스의 개념화 : '사회적 조정'으로서의 거버넌스」, 「韓國行政學報」 36, 한국행정학회.
3 강귀형.이헌종.김선영, 2019, 「마한(馬韓) 역사고고학 콘텐츠를 통한 컬포츠(Culports) 활용 연구 -보드게임 소재를 중심으로-」, 「고문화」 93, 한국대학박물관협회.
4 곽삼근, 2016, 「현대인의 삶과 문화예술교육」, 집문당, p.202.
5 김동윤, 2017, 「문화재 발굴현장 체험학습 활성화 방안 연구 -영남문화재연구원 「어린이 발굴학교」 운영사례 중심으로-」, 「 야외고고학」 28, 한국문화유산협회.
6 김미영, 2015, 「에릭슨의 심리사회 발달적 인간 고찰」, 「사회복지경영연구」 2,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p.28.
7 김은경, 2019, 「연령별 문화재 교육의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 -'돌돌탐험대'와 '고고학 체험교실' 사례를 중심으로-」, 「야외고고학」 35, 한국문화유산협회, pp.40~41, 44, 50.
8 김종수, 2011, 「평생교육에 관한 의식 및 활성화 전략방안 연구 : 초등학교 교사를 중심으로」, 「한국정책연구」 11, 경인행정학회, p.83.
9 김준식, 2020, 「매장문화재 사회교육의 현상과 활성화 방안」, 「고문화」 95, 한국대학박물관협회, pp.121~122.
10 김진호, 2017, 「중등 교육에 고고학의 연구 성과를 반영하는 것이 가능한가? :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한국사 과목을 중심으로」, 「한국고고학회 학술대회」, 한국고고학회, p.107.
11 류춘열, 2006, 「국내 자연사박물관 전시 특성의 과학교육적 분석」,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8, 「문화예술교육 효과 분석 연구 결과보고서」.
13 문화재청, 2007.2009.2015, 「문화유산 교육 이렇게 해봐요」.
14 문화재청, 2009, 「재미있는 문화유산 수업 I~II」.
15 문화재청, 2018, 「꿈과 끼를 찾아 떠나는 문화유산 여행」.
16 문화재청, 2020a, 「2020년 지역문화유산교육 운영 지침」, p.5.
17 문화재청, 2020b, 「문화재교육 프로그램 인증제 사전 컨설팅 운영 결과보고서」.
18 신경숙, 2014, 「고고학 자료를 활용한 교육 콘텐츠화 방안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안성민, 2016, 「고고실험자료의 대중적 활용 방안 : 매장문화재 조사 전문법인의 입장에서」, 「한국고고학전국대회발표문」, 한국고고학회.
20 이기정, 2020, 「교구재를 활용한 언택트 교육 프로그램 사례 - 우리은행 은행사박물관 'WOORI 경제 홈스쿨'」, 「박물관교육연구」 23, 한국박물관교육학회, pp.40~42.
21 이남규, 2015, 「역사 연구와 교육에서 고고학의 위상과 역할에 대한 新摸索」, 「歷史敎育」 138, 역사교육연구회.
22 이상석.김선영.이헌종, 2018, 「컬포츠를 통한 구석기시대 접합석기 퍼즐의 교육적 활용」,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7,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pp.142~143, 145.
23 이수경.김선영.이헌종, 2017, 「한국 전통문화요소 기와를 활용한 컬포츠 교육 방안 연구」,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6,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p.78.
24 이상미, 2021, 「게임하며 역사도 배우는 어린이박물관 가상전시 - 어린이박물관 마인크래프트 활용 전시 사례」, '박물관, 코로나 이후 미래 교육을 묻다' 국립중앙박물관 교육 심포지엄, pp.15~16.
25 조우택.최성락, 2014, 「고고학의 대중화에 관한 試論 - 대중 인식과 소통을 중심으로」, 「한국고고학보」 90, 한국고고학회, p.196.
26 이헌종.김선영.문경오, 2016, 「고고문화유산을 통한 컬포츠 활용 및 지역문화 인재 양성 시론 -신안 다도해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지역을 중심으로-」, 「지방사와 지방문화」 19, 역사문화학회.
27 이헌종.류호철, 2017, 「고고문화유산의 컬포츠 활용과 그 의미」, 「지방사와 지방문화」 20, 역사문화학회.
28 임보아.김은석, 2018, 「선사유적 박물관 전시 및 교육 프로그램 분석」, 「초등교육연구」 22, 제주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p.52.
29 장대훈.김선향, 2013, 「대학박물관 교육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PEP 개발과 운영 연구」, 「고문화」 81, 한국대학박물관협회, pp.151, 157, 172~173.
30 장재일.오종열, 2014, 「역사문화환경을 활용한 해외 도시재생 사례의 문헌적 고찰」, 「不動産學報」 57, 한국부동산학회.
31 조해진, 2019, 「지역문화유산의 콘텐츠 제작 활성화에 관한 연구 -강릉대도호부 관아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5, 한국디자인문화학회.
32 최희경.이진민, 2020, 「도시재생에서 역사문화 콘텐츠 사업 유형화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8, 한국전통조경학회, p.61.
33 이현경, 2019, 「'과정(process)'으로서의 유산과 그 유산의 해석」, 「미술이론과 현장」 28, 한국미술이론학회, p.497.
34 Linda S. Levstik.Keith C. Barton 지음, 배한극 외 옮김, 2009, 「(초.중학교에서 학생들과 조사 연구하는) 역사하기」, 아카데미프레스, pp.403~405.
35 이숙영, 2020, 「문화예술교육의 가치와 생애주기별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5-2, 한국체육교육학회, p.11.
36 이지연.성은모.이지은.임규연.한승연, 2020, 「코로나19 시대 온라인 수업의 도전과 과제」, 「교육공학연구」 36, 한국교육공학회, pp.677~678.
37 이화종, 2017, 「문화유산 교육과 실험고고학 : 2017년 전곡리 안으로 살아보기」, 「한국고고학전국대회발표문」, 한국고고학회.
38 이헌종.김선영, 2018, 「나주 지역 고고학 자원 기반 컬포츠와 글로벌 문화 인재 양성 교육 체계 활용」,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7,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39 장영기, 2021, 「문화재지킴이 정책의 협력적 거버넌스 운영 체계 연구」, 「문화재」 54, 국립문화재연구소, pp.185, 189.
40 조성래, 2013, 「문화재교육사의 자질과 역량, 역할 수행에 관한 사례연구」, 「博物館學報」 25, 한국박물관학회.
41 유득순, 2021, 「학교 밖 역사교육을 위한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 다시 보기 -대구교육박물관의 1일 현장체험학습을 중심으로- 」, 「역사교육논집」 76, 역사교육학회, p.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