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osystem Service

검색결과 516건 처리시간 0.023초

A Conceptual Framework for Value Co-creation in an Innovation Ecosystem: The Case of Technology-based Collaboration Network

  • 한은정;홍순구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29-43
    • /
    • 2017
  • Innovation Cosystems are Conceptualized as Organizational Networks of Economic Actors, Technologies and Social Contexts that Interact for Knowledge Production, use, and Adaptation. This Paper Proposed a Conceptual Framework to Describe Value Co-creation of Organizational Networks Engaged in Technology Innovation. We Adopted Theory-Based Approach by Integrating the Perspective of Service-Dominant (S-D) Logic Into the Evolutionary Model of the Triple Helix. The Framework Gives a Plausible Explanation on how Actors Collaborate to Create Value in Dynamic Contexts of an Innovation Ecosystem. The Innovation Ecosystem can be Considered as a Composite of Sub-Ecosystems, Including Knowledge, Sectoral, and Business Ecosystems. When these Sub-Ecosystems are Recursively Transformed by Coordination of Functional Mechanisms that Serve Value Co-creation in the Innovation Process, the Innovation Ecosystem will be Re-Organized and Evolve. The case of the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DLNA) was Examined to Demonstrate the Fundamental Mechanisms for Value Co-creation that was Described in the Framework. The case Study Indicates Features of Value Co-creation when Implementing Innovation in Organizational Networks.

A Study on Inclusive Green Growth of South Korea: Focusing o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Climate Change, and Ecosystem Services

  • Park, Hun;Kang, Sunggoo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 /
    • 제2권2호
    • /
    • pp.82-95
    • /
    • 2021
  • Current international negotiation and cooper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re focused on three main themes. The first theme is implement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The second theme is development of measures for climate change. The third theme is sustainable management of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In South Korea, responses of government policies and academic studies have been predominantly to one of these three themes. There have not been many integrated efforts to develop countermeasures considering all three international themes. In addition, while "green growth" policies have been setting national agendas for Korea's sustainable development, they must be scrutinized such as why they have not dealt with some parts of these three themes and whether they have ignored one of these themes due to lack of integrated responses. This study finds critical issues in South Korea on how to harmoniously respond to the three themes of international efforts and improve green growth policies. First, to achieve SDGs, the domestic statistical system must be reorganized to track the achievement of "inclusiveness" and "green growth". Second, the climate change response policy should seek inclusion between countries and between social groups. Third, in the field of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Korea's identity in global geopolitics and enhance its own traditional ecological knowledge. Fourth, it is necessary to consider how to solve discrepancy between climate change response policies and biodiversity-ecosystem service management policies. Finally, proactive improvement of laws and institutions must occur to promote inclusive green growth.

해양 산성화(Ocean Acidification)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이해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ing of Ocean Acidification)

  • 김성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661-674
    • /
    • 2017
  • This study used questionnaires to investigate how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 ocean acidification. As a result of gender, female teachers were more aware of ocean acidification than male teachers, but male teachers had a higher average rate of correct answers, with a lower standard deviation. Teachers from the natural sciences knew more about ocean acidification than did teachers the liberal arts. Teachers ranked environmental crisis in order of most dangerous to least dangerous as follow: global warming and the greenhouse effect, ozone depletion, ocean acidification, and acid rain. About 46.7% of teachers learn about ocean acidification through education, followed by broadcasts, school lectures and the internet. The educational materials most desired for teachers were videos related to ocean acidificatio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have two broad perspectives on ocean acidification. Firstly, they refer to economic loss and food shortages, and secondly, they note that there is a need for improved awareness and publicity about ocean acidification. The rol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s important because their awareness of environmental issues has a considerable effect on teachers perception of the environment. Revitalizing education on ocean acidification and government support are necessary to effectively communicate the seriousness of ocean acidification. Lastly, we need to study ocean acidification in detail so as to be able to persevere toward protecting our ocean ecosystem.

서울시 습지지역의 탄소저장 및 경제적 가치 평가에 대한 연구 (The Evaluation of Carbon Storage and Economic Value Assessment of Wetlands in the City of Seoul)

  • 최지영;오종민;이상돈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8권2호
    • /
    • pp.120-132
    • /
    • 2021
  • 서울시 생태경관보전지역은 자연환경보전법과 자연환경보전조례에 근거하고 있다. 2018년 제13차 람사르협약 당사국총회에서 '습지 생태계서비스 간편평가 도구'가 채택되었으며, 람사르습지 도시 인증제 항목에 습지 생태계서비스 평가 항목이 포함됨에 따라 이를 평가할 자료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서울시 생태경관 보전지역 중 생태적 보전 가치가 높은 습지 5곳을 선정하여 InVEST 모델로 탄소저장량과 경제성 평가를 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탄천습지 3,674.62 Mg, 한강 밤섬 1,511.57 Mg, 고덕동 습지 5,007.21 Mg, 암사동 습지 7,108.47 Mg, 여의도 샛강 습지 290.27Mg으로 도출되었다. 이 중 탄천습지는 2013년의 탄천습지의 탄소저장량은 4,804.99 Mg로 탄소저장량 1,130.37 Mg 감소하여 실효탄소요금 평균값인 $16.06(US)를 적용하였을 경우, $15,910.58(US) 손실된 것으로 환산되었고, 기후변화에 따른 생산성과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포함한 탄소의 사회적 비용 평균값인 $204(US)를 적용하였을 경우, $202,101.97(US) 손실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서울시 주요 습지지역을 선정하여 도심 속 습지가 주고 있는 자연자원의 가치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서울시 주요 습지의 생태적 가치 평가를 통하여 생태경관보전지역 보호 및 관리 방안의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습지 가치 평가에 대한 중요 의제로 간주되고 있음에 따라 향후 람사르 습지도시 인증제 항목에서 생태계서비스 평가 방안 제시가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람사르 습지를 인식하여 중요한 습지의 발굴 유도에 활용이 가능하며, 도심지역 내 습지 보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증진과 람사르 습지의 국제적 교류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된다.

A Descriptive Study on the Job Information Service Market

  • Yoon, Jongwoo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1호
    • /
    • pp.143-152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취업정보 서비스 시장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시장 생태계를 유지하기 위한 전략적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다양한 2차 자료를 활용하여 온라인 취업정보 서비스 시장을 파악하는 기술적 연구로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시장 분석에서는 취업정보 서비스 시장의 높은 잠재적 성장성과 주요 이슈들을 파악하였다. 산업 트렌드 분석에서는 주요 서비스 형태, 구직자들의 유형 및 특징, 서비스 사용 트렌드, 판촉 및 마케팅 방법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시장의 SWOT 분석을 통해 시장 생태계를 선순환 구조로 이끌 수 있는 전략적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일차적으로 취업정보 서비스 시장을 주요 이슈 중심으로 현황을 파악함으로써 시장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하는 데 유용할 것이다. 또한 산업에 속한 기업들에게는 산업 내에서 지속적으로 생존하기 위한 단서를 제공할 수도 있다. 나아가 정보 및 공공기관에서는 취업정보 서비스 시장을 활성화 함으로써 일자리 창출 및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

디지털 헬스케어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라이프로그 공통데이터 참조모델 (A Lifelog Common Data Reference Model for the Healthcare Ecosystem)

  • 이영주;고윤석
    • 지식경영연구
    • /
    • 제19권4호
    • /
    • pp.149-170
    • /
    • 2018
  • Healthcare lifelog, a personal record relating to disease treatment and healthcare, plays an important role in healthcare paradigm shifts in which medical and information technology converge. Healthcare services based on various healthcare lifelogs are being launched domestically by both large corporations and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however, they are being built on an individual platform that is dependent on each company. Therefore, the terms of lifelog data are different as well as the measurement specifications are not uniform. This study proposes a reference model for minimum common data required for sharing and utilization of healthcare lifelog. Literature study and expert survey derived 3 domain, 17 essential items, and 51 sub-items. The model provides definition, measurement data format, measurement method, and precautions for each detailed measurement item, and provides necessary guidelines for data and service design and construction for healthcare service.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as a basic research supporting the activation of ecosystem by ensuring interoperability of data between heterogeneous healthcare devices linked to digital healthcare platform.

Flower Habitat Supplementation can Conserve Pollinators and Natural Enemies in Agricultural Ecosystem: Case Study in the Pepper Field

  • Lee, Changyeol;Jung, Chuleui
    • 한국양봉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41-147
    • /
    • 2019
  • Pollinators play important roles for crop production as well as maintenance of wild plants' reproduction. Pollinator dependency in Korean agriculture have increased, but the degradation of habitat quality pose significant threats to pollination in agroecosystem. Provisioning flower habitat is one of the major activities to increase pollinator abundance and richness. We tested the effect of flower habitat supplementation on the pollinator, pest and natural enemy abundance in pepper field. Results showed that Hymenopteran pollinators were more abundant in the pepper plots close to the flower habitat. Among natural enemies, the similar pattern from pollinators was observed to parasitoids in the family of Eulophidae, but not to those of Ichneumonidae.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insect pests like aphids and thrips, as well as pepper production among plots in the pepper field. Even limited spatial scale, this study showed supplementing the flowering plant habitat to the agricultural landscape could conserve and boost pollinators and natural enemies, and possibly resulting better fruit production by pollination service.

빅데이터 산업 활성화 전략 연구 (Characterizing Business Strategy in a New Ecosystem of Big Data)

  • 유순덕;최광돈;신선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4호
    • /
    • pp.1-9
    • /
    • 2014
  • 본 연구는 빅데이터 생태계의 개념 및 구성요소의 역할과 책임을 파악하여 빅데이터 산업이 활성화되기 위해서 필요한 전략을 도출하였다. 빅데이터 생태계의 구성요소는 거버넌스, 데이터 보유자, 서비스 이용자, 서비스 제공자, 인프라 제공자로 5개 구분하였다. 5개의 구성요소 간 역할과 책임을 통해 총 11개의 활성화 전략을 도출하였다. 또한 빅데이터 산업 활성화를 위해 선행연구자들이 주장한 내용을 요약 정리하여 총 12개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빅데이터 구성요소 간 활성화방안과 선행연구자들이 주장한 내용을 결합하여 본 연구에서 총 13개의 빅데이터 산업의 활성화 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빅데이터 산업 활성화 전략이 빅데이터 사업 및 정책방향과 계획 수립의 기본자료로 활용되기 위하여 빅데이터 산업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태안해안국립공원 학암포 해안사구 초지생태계의 미기상인자 계절변화 (Seasonal Changes in Micrometeological Factors of a Costal Sand Dune Grassland Ecosystem in Hakampo, Taeanhaean National Park, Korea)

  • 이나연;최인영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9-16
    • /
    • 2013
  • 해안사구는 해양생태계에서 내륙생태계로 이행하는 생태 이행대(ecotone)로서 중요한 생태계이다. 이러한 독특한 생태계의 서식지 특성 분석의 일환으로 우리나라에서 사구가 가장 넓게 분포하는 지역인 태안해안국립공원에서 미기상 요인(기온, 지온, 상대습도, 토양수분함량, 강우량 및 일사량, 풍향 및 풍속)의 통년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계절변화를 분석하였다. 해안사구 초지생태계에서 미기상 요인의 계절변화는 산림생태계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고온 다습하며 6월과 7월에 집중 강우를 보였다. 토양온도는 기온보다 평균 $2{\sim}3^{\circ}C$ 높은 상태로 계절변화 하였으며 토양수분함량은 연중 10% 미만으로 매우 건조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2011년 최고 풍속은 156.72m $s^{-1}$(10월 7일)를 기록하였고 현지 측정한 풍향과 기상청 자료는 상이함을 알 수 있었다. 해안사구 초지생태계의 서식지 특성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미기상 요인의 통년 장기관측이 필요할 것이다.

독립 SW기업의 플랫폼 생태계 참여 결정요인 연구 (ISV's Patent Protection, Downstream Capability and Product Portfolio to Join Platform Ecosystem)

  • 임근석;지용구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3-62
    • /
    • 2022
  • 본 논문은 국내 독립 SW기업(ISV, Independent Software Vendor)이 어떤 조건을 갖추었을때 플랫폼 생태계 참여에 더 적극적인가를 분석한 연구이다. 기업은 기술혁신의 결과를 전유할 수 있을 때와 해당 기술을 가치로 전환할 수 있는 보완자산(마케팅, 제조역량 등)을 보유한 경우 기술혁신에 적극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두 조건이 플랫폼 생태계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 SW기업이 보유한 제품 포트폴리오와 플랫폼의 서비스간 경쟁관계가 플랫폼 참여에 영향을 준다고 보고, 해당 요인의 영향도 분석하였다. 디지털 플랫폼 기업들과 파트너 협약을 한 국내 독립 SW기업 그리고 이에 대응하는 비슷한 수의 플랫폼 미참여 기업으로 표본집단을 구성하여 플랫폼 참여, 특허 및 개발 후 사업화 역량, 경쟁관계 등의 데이터를 취합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특허 보유 여부는 플랫폼 참여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혁신기술과 사업모델의 노출에 따른 위험보다 플랫폼 기업과 협력으로부터 발생하는 효익이 크다고 판단한 결과로 여겨진다. 반면, 사업화 역량 보유와 경쟁 관계는 플랫폼 참여에 영향을 주었다. 협력의 결과를 가치로 전환할 수 있는 사업화 역량을 보유한 경우 플랫폼 참여 가능성이 커진다. 또, 제품 포트폴리오가 플랫폼 서비스와 경쟁보다 보완관계가 될 때 협력에 적극적이다. 본 연구는 국내 독립 SW기업과 디지털 플랫폼 기업간 협력을 다룬 실증연구로서 해외에는 유사 선행 연구가 있지만 국내에는 유사한 연구사례가 없다. 플랫폼 생태계 참여 기업과 미 참여 기업을 표본집단으로 구성하여 플랫폼 생태계 참여 결정요인을 실증분석을 통해 규명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