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osystem/Ecological System

검색결과 301건 처리시간 0.024초

빗물을 이용한 소규모 생태연못 및 습지 모형 개발 (Construction of the Ecological Pond & Wet Biotop Using Rainwater)

  • 이은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92-100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thod to spread out the ecological ponds in urban areas more effectively. It is urgent to supply the ecological ponds in more broad scope to ensure the water space in urban areas which has been dried out. It is necessary to formulate a plan for improving the amenity in the cities through creation a biotop in swampy land by building rainfall ponds. Thus, a model of the ecological pond in this study has been developed by reviewing the related researches which provide the theoretical basis and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nature for a naturally approached pond. This study has produced a ecological pond model in order to introduce and spread out damp biotop. Ecological aspects have been mainly considered in designing and building the pond model. This model consists of areas for emerged plants and bog plants and has its advantage in providing animals and insects with habitats and shelters. In addition, the model includes areas for emerged plants, which are very effective in purification of the rainfall from the rooftop.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pond, the plants were planted according to the plan, and the infiltration trench was installed beside the pond to drain out the overflow of the pond. The result of this research has shown the possibility of supplying the ecological pond in small parks and in schools of the city in an easy way.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is pond system, the water cycle and the ecosystem in urban areas will be improved.

  • PDF

생태계 서비스를 위한 주민 참여형 수변완충녹지 설계 고찰 - 한강수계 경안천변 매수토지 사례 연구 - (Design of Riparian Buffer Zone by Citizen's Participation for Ecosystem Service - Case Study of Purchased Land along Gyeongan-cheon in Han River Basin -)

  • 반권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70-184
    • /
    • 2022
  • 수변완충녹지는 유역의 비점오염원을 친환경적으로 정화시키고 탄소흡수원으로서 유용하며 다양한 생태계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자연기반해법이다. 더불어 수변완충녹지는 생물 다양성과 인간의 행위 빈도가 높은 수역과 육역의 중간지대에 구축되는 지속가능한 사회생태시스템으로서 지역 공동체와의 긴밀한 상호 소통적 환경계획 과정으로 조성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강수계 경안천변 용인시 모현읍 갈담리 582-2 일원의 매수토지에 추진되는 수변생태벨트 사업을 대상으로 계획 및 설계를 소통적 행위로 이해하고 실천하기 위해 세 가지의 전략을 제시하고 이를 과정으로 구현하였다. 첫 번째, 관 주도의 사업을 지양하고 지역 거버넌스인 협의체를 중심으로 주민과 이해관계자들이 함께 참여하는 과정으로 개선하였다. 두 번째, 주민이 공감할 수 있는 생태계 서비스 기능 증진 측면의 설계 요소를 도입하고 선호하는 공간, 시설의 계획을 통해 수용성과 인식을 높이고자 하였다. 세 번째, 생물 서식처, 물순환 기반의 생태환경, 주민 생태체험·휴식공간 등의 균형있는 계획과 더불어 향후 이용 주체인 주민들이 조성 효과와 생태자원으로서의 가치를 체감하고 조성지의 운영, 관리에 참여, 환원될 수 있도록 하는 체계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설계 과정을 통해 사업 초기부터 주민참여 기반의 프로세스 모델을 정착하여 주민의 수용성, 주민 의견을 투영하는 사회생태시스템으로 작동되어 주민의 가치 인식, 조성 유지관리 단계까지 솔선수범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국내 수변완충녹지 정책 패러다임의 변화와 향후 유사 사업 추진 시에 적용 가능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도시 생태네트워크 설정을 위한 공간의사결정지원체계에 관한 연구 ; 경관생태학 이론을 기반으로 (A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 for Establishing Urban Ecological Network ; Based on the Landscape Ecology Theory)

  • 오규식;이동우;정승현;박창석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7권3호
    • /
    • pp.251-259
    • /
    • 2009
  • 생태계 회복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특히 GIS를 이용한 환경정보자료의 구축과 분석기법의 개발은 이를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하게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관생태학 이론을 기반으로 도시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공간의사결정지원체계를 제시하였다. 제시된 공간의사결정지원체계는 다음과 같은 4단계로 구성된다. 첫째, 생태네트워크의 주요 골격을 형성하는 핵심 녹지를 중첩기법을 통해 도출한다. 둘째, 서식지 분포자료를 이용하여 서식녹지를 파악하고, 중력모형을 적용한 연결성 평가를 통해 연결녹지의 도입이 필요한 지역을 도출한다. 셋째, 최소비용경로분석을 이용하여 파편화된 녹지를 연결하기 위한 최적의 경로를 도출한다. 마지막으로 도시 생태네트워크 분석결과와 현재 토지이용간의 비교를 통하여 분석결과의 적정성을 검증한다. 본 연구는 도시 내 생태공간을 증진하기 위한 계획적 도구로서 난개발 방지, 종 다양성 증진 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DMZ(Demilitarized Zone) 접경지역의 문화서비스 평가 (Cultural Services Assessment in DMZ(Demilitarized Zone) Border Areas)

  • 고하정;권혁수;김정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1권6호
    • /
    • pp.46-60
    • /
    • 2023
  • 본 연구는 접경지역 문화서비스 평가를 통해 지표와 방법론의 적절성을 고찰하고, 국내 핵심 생태자산인 접경지역의 생태계서비스 기반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평가지표와 방법을 바탕으로 7개 시군을 평가 및 비교하였다. 문화서비스 평가 결과, 여가·관광은 파주시, 경관미는 인제군, 교육은 양구군, 유산은 인제군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문화서비스의 종합적인 평가를 위한 향후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국가 및 광역 단위의 생태계서비스 평가를 위해서는 문화서비스 평가 및 모니터링을 위한 지표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둘째, 문화서비스 평가 지표 체계 구축시 평가대상지역 스케일에 따른 지표 간의 상·하위 개념 단위나 일관성에 대한 검토가 선행되어야 한다. 셋째, 생태계 유형에 따라 문화서비스 평가를 위한 구체적인 DB 구축 및 활용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국내의 문화서비스 연구가 현저히 부족한 상황에서 비물질적이고 정성적인 인식을 포함한 문화서비스 평가를 위해서는 기초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향후 광역단위의 문화서비스 평가를 위해서는 생태계 유형별로 추가적인 기초 연구 결과 축적이 필요하며, 적절한 평가지표와 방법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법의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도시성장에 따른 토지이용패턴의 시공간적 영향 평가 (The Spatiotemporal Impact of Urban Growth based on Landuse Pattern)

  • 이동근;최혜영;오규식
    • 환경영향평가
    • /
    • 제18권3호
    • /
    • pp.161-170
    • /
    • 2009
  • As urban growth continues, the earth ecosystem is increasingly dependent on the patterns of urban growth. The impact intensity from urban growth is expected to change predictably with distance from the urban center. However we can't fully understand yet how urban development pattern affects urban ecosystem. In researches about urban ecosystem, it is important to relate the spatial pattern of urbanization to ecological processes. So we used gradient analysis with time data; 1980's, 1990's and 2000's. We attempted to quantify the urban spatiotemporal impacts in Daejeon-city and Cheonan-city, Korea, along a 75km long and 3km wide transect. Through the results, we found the impacts range of urbanization with urban development process of two cities. When the urban growth was concentrated on in both cities, the impacts intensity and range were much stronger and wider. As a result, in urban planning or green space planning, we have to consider suitable urban development forms with surrounding areas, and make legal clauses which limits landuse change. This quantifying the urban gradient is an important step in understanding urban ecology.

인과순환구조 분석을 통한 큰고니 서식환경 유지방안 -을숙도를 중심으로- (Management Plan of Whooper Swan(Cygnus cygnus) Habitat Using Causal Loop Analysis : Focused on Eulsukdo)

  • 최윤의;유수진;강성룡;최병구;전진형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53-36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을숙도 큰고니 서식지의 생태계 건강성 유지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시스템 사고를 통해 큰고니 서식환경 변화 현상에 대한 피드백 구조를 분석하였다. 을숙도 내 큰고니와 기타 수조류의 개체수에 대한 인과지도를 통해 을숙도 큰고니 개체수는 휴식환경 및 먹이환경 변화와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큰고니의 휴식환경 인과지도에서는 탐조 및 탐방활동, 수위, 소음에 의한 휴식환경 변화가 큰고니 개체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큰고니의 먹이환경 인과지도를 통해 담수의 면적, 수면동결, 을숙도 염분, 새섬매자기 밀도에 의한 먹이환경 변화가 큰고니 개체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하였다. 마지막으로 통합인과지도를 통해 낙동강하굿둑 방류량과 건설행위가 큰고니의 휴식환경과 먹이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파악하였으며 큰고니 서식환경 관리를 위한 전략지점으로 선정하여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장기적 관점에서 을숙도의 생태계 건강성을 유지를 위한 관리방안마련에 기여할 것이다.

국립공원 서식지 유형 분류 체계 구축 (Habitat Type Classification System of Korean National Parks)

  • 김정은;노백호;이정윤;조형진;진승남;최진우;명현호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8권2호
    • /
    • pp.97-111
    • /
    • 2021
  • 국립공원에 서식하는 생물종과 서식지 간의 관계를 공간적 평가에 활용하기 위해 생물종의 생태적 특성, 공간 유형, 식생군락, 지형 및 지질 조건을 기준으로 서식지 유형 분류 체계를 개발하고 서식지 분류 지도를 제작하였다. 서식지 유형의 체계적 분류 및 판정을 위해 분류기준표를 제작하였다. 분류 체계는 구조적 서식지를 중심으로 6개 대분류로 구분하였으며, 중분류는 59개의 생태계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산림생태계는 20개, 하천 및 습지생태계는 8개, 해안생태계는 16개, 농경지는 6개, 개발지는 9개, 해양생태계는 1개로 분류하였다. 서식지 분류 체계를 기반으로 정사영상, 정밀식생도, 임상도를 활용하여 서식지 분류 지도를 작성하였다. 서식지 분류 지도는 21개 국립공원에 대해 1,461개 도엽으로 구축하였다. 본 연구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국내 서식지 조건을 고려한 서식지 분류 체계 고도화와 조사 프로토콜을 개발하여 서식지 평가에 적용하여야 한다.

생태네트워크로서의 토양네트워크(Gold Network) 제안 (Introduction of Soil Network(Gold Network) as one of the Ecological Network)

  • 이동근;이호철;김은영;송원경;김영자;황상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45-257
    • /
    • 2013
  • Lately, besides promoting the biodiversity of the natural ecosystems, there is a demand for climate change mitigation features that will reduce greenhouse gases and prevent disasters that will bring damages such as torrential rains. However, there was not a lot of discussion on the soils that are key in these features.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network (Gold Network) as an alternative that will solve the problem that was filed earlier by figuring out how to compose the soil environment. First, in order to maximize the ecological status and value of the soil, a soil network can be proposed through the vertical and horizontal connections of the fragmented soil. Second, there is a need to understand and research the organic system of the ecosystems as well as the complex perspective of the ecosystem services, not only the fragmentary perspectives of the soil remediation, planting improvements or the other existing elements. Third, there is a need to apply the integrated perspective of the Landscape Ecology, Ecological Engineering and Restoration Ecology for the connectivity of the soil (network) due to it being in the execution of the soil network. If a soil network was to be built, a fundamental ecological network would be realized to not only promote biodiversity but also to prepare effective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Long-term Management Plan of Natural Parks - A Focus on Jeollabuk-do Provincial Parks -

  • Jeong, Nara;Kang, Sanghui;Ahn, Deugsoo
    • 휴양 및 경관연구
    • /
    • 제12권4호
    • /
    • pp.59-66
    • /
    • 2018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the long-term management objectives, policy objectives, implementation plans, and detailed plans of four provincial parks established in 2013 using various analysis frameworks. Through this, the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nagement plan and extract the implementation plan important to each park by analyzing the priorities in the detailed plan. The long-term management objectives of most parks were to maintain recreational functions by utilizing all the resources of the park, rather than merely preserving the ecosystem.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information on major plants and legal protection species are included for most parks, and geological and topographic features considered a major resource. For sustainable forests, it is important to induce the dispersion of concentrated use space. Efficient management systems are distinctively differentiated among the parks. For regional revitalization, the management of programs to link provincial parks and their surrounding areas has become most important.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priorities differed for the parks according to their ecological characteristics. For sustainable forests, Moaksan Provincial Park prioritized the visitor reservation system related to the overall park, while the other three parks prioritized alleviating the concentrated use of specific areas. From an efficient management perspective, Daedunsan Provincial Park prioritized aspects related to the cableway. Maisan Provincial Park prioritized inducing the linkage between the use of natural and cultural resources, and Seonunsan Provincial Park prioritized establishing an ecological and cultural commentary operating system. For the base-type leisure activity space, Moaksan Provincial Park prioritized the systematic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 pilgrimage route, Maisan Provincial Park the connection between the Maisan geography and residents' income, and Seonunsan Provincial Park providing a space for ecological education.

훼손된 보전지역 관리를 위한 환경복원방안 연구 - 일본 오가사와라(小笠原) 제도의 이입생물의 피해 및 관리방안 - (An Environment Restoration Plan Study for Management of Conservation Area Devastated - Damage and Management Plan of Imported Organism in Japan's Ogasawara Island -)

  • 신현탁;박석곤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23-132
    • /
    • 2008
  • The problems caused by new biological organisms in Ogasawara Island of Japan include : (1) loss of native species' habitats and extinction of native species due to the multiplication of invasive species; (2) reduction of native species and confusion in the food chain in result of invasive species' predation; (3) confusion in genes due to hybridization of new and native plants; and (4) destruction of ecosystem and erosion of earth due to rapid increase of invasive species. The natural ecosystem of preserved areas in Korea is constantly confused and destroyed by new animals and plants, but Korea does not has any solutions because new animals and plants rarely affect human lives. Invasive species are manually introduced by humans and are considered disasters caused by humans. Korea is in desperate need of campaigns as the general public does not understand the seriousness of the destruction and confusion of natural ecosystem caused by new biological organisms and their indirect/direct influences on humans.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biological characteristics, ecological influence, and harms of invasive species in preserved areas to establish a system to manage invasive species and plan the priority removal of species that are highly harmful and locally distributed. Manual removal and suppression of new biological organisms that cause problems is effective, but it takes cost, effort, and time. Therefore, we would need to research and develop the most efficient and effective techniques and measures to manage invasive species in our eco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