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생태네트워크 설정을 위한 공간의사결정지원체계에 관한 연구 ; 경관생태학 이론을 기반으로

A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 for Establishing Urban Ecological Network ; Based on the Landscape Ecology Theory

  • 발행 : 2009.11.30

초록

생태계 회복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특히 GIS를 이용한 환경정보자료의 구축과 분석기법의 개발은 이를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하게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관생태학 이론을 기반으로 도시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공간의사결정지원체계를 제시하였다. 제시된 공간의사결정지원체계는 다음과 같은 4단계로 구성된다. 첫째, 생태네트워크의 주요 골격을 형성하는 핵심 녹지를 중첩기법을 통해 도출한다. 둘째, 서식지 분포자료를 이용하여 서식녹지를 파악하고, 중력모형을 적용한 연결성 평가를 통해 연결녹지의 도입이 필요한 지역을 도출한다. 셋째, 최소비용경로분석을 이용하여 파편화된 녹지를 연결하기 위한 최적의 경로를 도출한다. 마지막으로 도시 생태네트워크 분석결과와 현재 토지이용간의 비교를 통하여 분석결과의 적정성을 검증한다. 본 연구는 도시 내 생태공간을 증진하기 위한 계획적 도구로서 난개발 방지, 종 다양성 증진 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s a result of the current trend towards promoting conservation of the ecosystem, there have been various studies conducted to determine ways to establish an ecological network. The development of analytical methods and an environmental database of GIS has made the creation of this network more efficient. This study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an urban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 based on 'Landscape Ecology Theory'. The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 suggested in this study consists of four stages. First, landscape patch for the core areas, which are major structures of the ecological network, was determined using the GIS overlay method. Second, a forest habitat was investigated to determine connectivity assessment. Using the gravity model, connectivity assessment at the habitat forest was conducted to select the needed connecting area. Third, the most suitable corridor routes for the eco-network were presented using the least-cost path analysis. Finally, a brief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onflict areas between the study result and landus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urban green network planning. Moreover, the method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tilized to control urban sprawl, promote biodivers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김태진, 2008, "국가GIS 연구를 위한 사례연구방법론의 탐색", 한국GIS학회지 16(1): pp.145-155.
  2. 박창석.오규식 외, 2007, "도시 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토지이용계획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3. 사공정회.나정화, 2006, "녹지 상호간 연계성 및 기질특성 평가를 통한 녹지 연계망 조성 방안", 한국조경학회지:34(4): pp.18-36.
  4. 오규식. 1998. 컴퓨터응용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편저, "도시계획론". 보성각
  5. 오규식, 권오경. 2001. "다기준-공간의사결정 지원시스템(MC-SDSS)의 구축과 활용: 폐기물 매립시설 입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GIS학회지 9(2): pp.227-238.
  6. 이동근.송원경.전성우, 2008, "경관투과성 및 최소비용경로 분석을 통한 수도권 지역의 광역생태축 구축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11(3): pp.94-106.
  7. 조규현.이인성, 2002, "도시공원 입지선정을 위한 GIS기반의 의사결정 지원시스템의 개발", 한국GIS학회지 9(1):pp.91-105.
  8. 최희선.김현애.김귀곤, 2008, "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목표종 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복원녹화기술학회지 11(5): pp.12-24.
  9. 한봉호.이수동, 2000, "도시 생태네트워크 기법연구: 서울시를 대상으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10. 환경부, 2002, "국토생태네트워크의 추진전략에 관한 연구".
  11. 환경부, 2004, "도시지역의 자연환경성 확보방안 연구".
  12. 환경부, 2008, "광역생태축 구축을 위한 연구".
  13. Adriaensen, F., et al., 2003, "The application of least-cost modelling as a functional landscape model",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64: pp.233-247. https://doi.org/10.1016/S0169-2046(02)00242-6
  14. Cook, E.A., van Lier, H.N., 1994, Landscape planning and ecological networks. Elsevier, Amsterdam.
  15. Cook, E.A., 2002, "Landscape structure indices for assessing urban ecological network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58: pp.269-280. https://doi.org/10.1016/S0169-2046(01)00226-2
  16. Fabos, J.G., 2004, "Greenway Planning in the United Stats: It's Origins and Recent Case Studie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68: pp.321-342. https://doi.org/10.1016/j.landurbplan.2003.07.003
  17. Forman, R.T.T., and Godron, M., 1986, Lanscape Ecology, New York, USA:John wiley & Sonns, Inc.
  18. Forman, R.T.T, 1995, Land Mosaics: The Ecology of Landscape and Reg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Inc.
  19. Knaapen, J.P., Scheffer, M., Harms, B., 1992, "Estimating habitat isolation in landscape planning", Land urban plan, 23:pp.1-16. https://doi.org/10.1016/0169-2046(92)90060-D
  20. Singelton, P.H., et al., 2002, Landscape Permeability for Large Carnivores in Washington;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Weighted-Distance and Least-Cost Corridor Assessmen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Pacific Northwest Research Station.
  21. Tischendorf, L., Fahring. L., 2000, On the usage and measurement of landscape connectivity. Okikos 90:7-19. https://doi.org/10.1034/j.1600-0706.2000.900102.x
  22. van Lier, H.N and Carsjens, G.J., 2007, "Ecological networks to balance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examples from landuse planning in the Netherland", USA and Argentina
  23. Wang H., Zhang. L., 2006, "Planning an Ecological Network of Xiamen Island (China) using Landscape Metric and Network Analysi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78 pp.449-456. https://doi.org/10.1016/j.landurbplan.2005.12.004
  24. Weber, T., Sloan. A., Wolf. J., 2006, "Maryland's Green Infrastructure Assessment: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Approach to Land Conservation",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58: pp.157-170. https://doi.org/10.1016/S0169-2046(01)00218-3
  25. 법제처 홈페이지 http://www.moleg.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