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onomic Ripple Effect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27초

미국연방준비제도의 양적완화 정책이 주가 변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Ripple Effect of the US Federal Reserve System's Quantitative Easing Policy on Stock Price Fluctuations)

  • 홍성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161-166
    • /
    • 2021
  • 거시경제는 한 나라의 경제 전반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경제주체인 기업, 정부, 가계경제 활동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 거시경제는 국민소득, 물가, 실업, 통화, 금리, 원자재 등의 변화를 살펴보면 경제 주체들의 행위와 상호작업이 제품과 서비스의 가격에 영향을 파악할 수 있다. 미국연방준비제도(FED)는 코로나 경제침체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경기부양책을 내 놓으며, 세계경제를 이끌고 있다. 현재 코로나로 인한 주가가 2020년3월20일에 지속적으로 하락하였지만, FED의 강력한 경지부양책인 양적완화로 미국의 S&P500지수는 3월 23일이후 반등을 시작해 12월 15일 3,694.62까지 회복에 성공했다. 따라서 주가의 예측을 기업의 재무제표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거시경제지표에 따른 FED의 경기부양책이 더 영향을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FED의 경기부양책과 주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주식투자에 손실을 줄이고 건전한 투자 정착을 위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수요유도형 모형을 이용한 4차 산업혁명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The Analysis of Economic Impact for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dustry using Demand-driven Model)

  • 정은희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70-77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산업연관표와 한국표준산업분류를 비교하여 4차 산업혁명 관련 산업을 제조업, 정보통신서비스, 금융 및 보험서비스 그리고 과학기술서비스 4부문으로 재분류하였다. 그리고 수요유도형 모형을 이용해 4부문 산업을 외생화하여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에 대한 분석결과, 제조업, 정보통신서비스 그리고 과학기술서비스 부문에서는 도소매 및 상품중개서비스가 큰 것으로 계측되었고, 금융 및 보험서비스 부문에서는 금융 및 보험서비스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입유발효과는 4차 산업 모든 부문에서 광산품이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후방연쇄효과 분석결과, 제조업과 정보통신서비스 부문은 경기변동에 민감한 중간수요적 원시사업형이고, 금융 및 보험서비스와 과학기술서비스 부문은 최종수요적 원시사업형임을 확인하였다.

개인위치정보 측위 고도화 정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Analysis of Economic Effect of Accuracy Improvement in Location Based Services)

  • 박성기;송재도;이병헌
    • 벤처창업연구
    • /
    • 제6권4호
    • /
    • pp.173-19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방송통신위원회에서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위치정확도 기준 고시와 관련하여 위치정확도 제고의 경제적 효과를 추정해 보았다. 분석에서는 기업관점의 매출증가효과 및 이를 포괄하는 사회적 관점의 가치창출을 분석하였으며, 산업연관분석을 활용하여 타 산업에의 파급효과까지도 분석을 하였다. 분석의 결과 상당한 수준의 경제적 가치가 확인되었으며, 기업 관점의 가치 대비 사회적 관점의 가치 수준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는 LBS가 공공 목적의 서비스 비중이 크며, 기업간, 소비자간 외부성이 큰 서비스라는 직관적 판단을 지지하는 것이며, 위치정확도 제고의 추진에 있어 정부가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함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개략적인 추산이나 위치정확도 제고의 편익-비용비율도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LBS 위치정확도 제고를 위한 정책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 PDF

연구개발투자와 경제성장의 상호관계 실증분석 (Inves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D expenditure and economic growth)

  • 최현이;조근태
    • 기술혁신연구
    • /
    • 제31권2호
    • /
    • pp.59-82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경제성장과 연구수행 주체별 공공 연구개발투자, 기업연구개발투자, 대학 연구개발 투자 간의 장·단기 인과관계를 실증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1976년부터 2020년 동안의 시계열 자료를 바탕으로 단위근 검정, 공적분 검정, 백터오차수정모형(VECM)을 통한 인과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 경제성장과 공공 연구개발투자, 기업 연구개발투자, 대학 연구개발투자 간에는 장기적으로 인과관계가 존재하는 장기균형관계가 있다는 것을 도출하였다. 그러나, 공공 연구개발투자가 경제성장에 단기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데에 비해 기업 및 대학 연구개발투자는 경제성장에 단기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경제성장 및 공공 연구개발투자, 기업 연구개발투자와 공공연구개발투자, 대학 연구개발투자와 공공 연구개발투자 간에 단기적으로 양방향의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단기적으로 공공 연구개발에 인과관계가 있는 것은 GDP 경제성장이며, 대학의 연구개발에 단기적으로 인과관계가 있는 것은 공공 및 기업의 연구개발투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서 공공 연구개발투자, 기업 연구개발투자, 대학 연구개발 투자와 경제성장 간에는 높은 상호 유기적인 관계가 존재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도출하였다. 향후 연구개발투자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대학과 기업의 연구개발투자가 상호 촉진되고, 기업의 연구개발투자가 공공 연구개발투자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 공공 연구개발투자가 향후 경제성장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인구구조 변화가 성장 잠재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emographic Changes on the Growth Potential of Korea)

  • 주상영;현준석
    • 분석과 대안
    • /
    • 제4권2호
    • /
    • pp.71-102
    • /
    • 2020
  •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demographic changes on economic growth. We use the supply-side output identity to forecast the growth potential of the Korean economy. According to the results, even based on optimistic assumptions and prospects, the economic growth rate is likely to fall drastically starting in 2020. Of course, to maintain growth potential, efforts to increase productivity are necessary. However, given the historical experience of developed countries, it is not clear whether the huge trend of demographic change can be offset by efforts to increase productivity. In the so-called '30-50 club' countries, both labor productivity and growth rate tend to fall after reaching the per capita income of $30,000. The degree of decline in the growth rate is closely related to changes in the working age population and the prime-age workforce. The results are similar when tracking the path of changes in total factor productivities of the economy. When a certain level of income is reached, the increase in total factor productivity also tends to slow down. The ripple effects of rapid changes in demographics will indeed be extensive. The negative impact is likely to be concentrated at a time when the working age population, the prime-age workforce, and the total population shrink simultaneously. Above all, it is necessary to use the government's fiscal space to block the possibility of a rapid fall in the growth rate.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continuously implement various reform tasks that should be promoted, such as improving the education system and strengthening the social safety net.

  • PDF

A Study on the Internalization of Sensor Technology by Comparison of IT Leading Countries

  • Cho, JaeHyuk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61-70
    • /
    • 2020
  •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a revolutionary change through intelligence, big fusion and personalization, and the importance of sensor technology that is the basis of core technology is emerging.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derivation of national strategy for R&D of sensor technology, and draws out the effect of technology internalization effort through strategic R&D activities on technical performance and further on national economy.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results are calculated for each type of technology internalization, an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are verified to establish a structure that contributes to the national economic performance. As a national technology internalization strategy, considering its own R&D investment and joint research and development, we examine the impact of each factor on patents and GDP, focusing on causality and ripple effects. For causality analysis, Grandeur causality analysis shows that R&D investment and joint research and development in all countries have mutual causal relationship with GDP.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policy of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through the internalization of technology and knowledge.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policies according to the type of knowledge internalization. Third, it will be necessary to create an ecosystem environment based on a virtuous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internalization and national technology and economic development.

동태CGE모형을 이용한 홍수피해의 경제파급효과 분석 (Analysing the Economic Effects of Flood Damage by Dynamic CGE Model)

  • 정기호;황성윤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3권4호
    • /
    • pp.689-718
    • /
    • 2014
  • 본 연구는 홍수피해가 관련 산업부문의 자본을 감소시킬 경우 국가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완전예측형 동태CGE모형을 이용하여 2010년을 기준연도로 분석하였다. 여러 홍수피해 항목들 중에서 통계자료가 확보될 수 있는 농경지, 선박, 공공시설의 물적 피해 항목에 분석을 한정하였다. 홍수피해의 시나리오는 1991년~2010년 기간 홍수피해를 2010년 기준으로 불 변화하여 항목별 홍수피해의 평균과 최대로 각각 채택하였다. 분석 결과, 산업별 생산의 경우에는 자본스톡이 직접적으로 감소하는 수산업+운송업의 생산 감소율이 가장 크고 다음으로 농임 업의 생산감소율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GDP는 충격 기준연도에 벤치마크 해 대비로는 0.001%~0.057% 그리고 초기 자본감소 대비로는 약 11%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동태적으로는 GDP는 말기로 가정된 2030년까지 서서히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어서 홍수피해가 자본을 감소시킬 경우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은 오래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 산업연관분석을 중심으로 (An Economic Ripple Effect Analysis of National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 : Focusing An Input-Output Analysis)

  • 박성욱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296-1312
    • /
    • 2018
  • 문재인정부 들어 제4차 산업혁명의 키워드가 부각되며서 정부의 국가 연구개발예산에 대한 효율성이 주목받기 시작하여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는 그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는 성과, 과제, 연구시설장비, 인력, 사업 등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정보를 세계 최초로 한곳에서 서비스하는 국가 R&D 정보 지식포털이다.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는 지난 2005년부터 주관기관으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이 선정되면서부터 서비스를 시작하게 되어 10년 이상 서비스를 지속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지난 13년동안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한국은행의 투입 산출표인 산업연관표에 의거하여 산업연관분석을 실시하여, 이론적 차원에서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취업자유발효과와 전방 후방 연쇄효과를 분석한다.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에 대한 정부의 R&D예산(1,214억원, 2006~2018년)을 투입계수로 설정했을 때,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한 생산유발효과는 2,113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는 1,008억원, 취업자유발효과는 10억원당 1,822명으로 분석되었다.

국립공원 구역 조정에 따른 환경·경제·사회적 파급효과 분석 (Analysis of Environmental and Socio-Economic Effects on the Adjustment of National Parks)

  • 홍현정;최현아;변병설;박용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49-62
    • /
    • 2013
  • As ten years have passed since national parks were adjusted and released inceptively, it is the time for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national park policy and improving it on the basis of the evaluation result. In this study, the method of appraising the environmental and socio-economical ripple effect on the implementation of national park regulation were provided, based on the institutional consideration, the environment analysis, the survey of residents consciousness, the statistical analysis and so on. It is applied to target sites where were released from national parks, and the policy direction was suggested for sustainable use and management of national parks. National parks, that exhibit various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geographical and local conditions, were categorized through the statistical approach. Released sites from Seoraksan National park, where was categorized as the core national park for sustainable use and management, were evaluated environmentally based on the time-series analysis of environmental thematic maps and socio-economically based on the survey on residents perception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environmental effect of released sites has been declined or threatened, and the residents' economic, social and living condition in these areas are still not improved(p<0.05) since the adjustment of national parks. Based on the policy approach reflec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natural resources are kept and enhanced for the sustainable use and management of national parks. And a consensus on the national park policy of national park should be developed between local residents and voluntary participation and public awareness should be attracted from them, based on the construction and the supplement of the infrastructure.

임도시설 투자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An Analysis for the Economic Impact of Forest Road Investment)

  • 이승정;정병헌;김기동;전현선;조민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6권2호
    • /
    • pp.219-229
    • /
    • 2017
  • 임도는 산림자원의 조성과 관리, 그리고 목재와 단기소득 임산물 생산 운반 등 산림경영을 위한 필수적인 기반시설이다. 최근에는 산림 병해충 방제, 산불예방 및 진화뿐만 아니라 산림휴양과 산림스포츠 등에도 적극 활용되고 있다. 임도를 건설하면 산림 내에서 경제적 기능이 활성화되어 생산 및 부가가치 유발은 물론 고용창출의 파급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임도를 건설함에 따라 경제 전반으로 발생하는 파급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해 산업 간의 상호연관관계를 수량적으로 분석하는 산업연관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자료는 2014년 한국은행의 투입산출표를 사용하였다. 임도를 건설하면 임도 건설에 따른 경제적 효과도 발생하지만, 임도 건설 후 임산물 생산 증대로 인한 경제적 효과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두 가지 효과에 대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할 것이다. 몇 가지 가정을 통해 임산물 재배의 경제적 효과인 임산물 생산액 예측치를 계산하고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임도 건설부문은 농림수산토목 부문으로 정의하였고, 임산물 부문은 원목, 식용임산물, 기타임산물의 합으로 정의하였다. 임도건설과 임업임산물로 정의한 2개 부문을 제외하고 나머지 부문은 기존 한국은행 30개 통합대분류의 분류체계에 맞게 통합하여 총 32개 부문으로 분류하였다. 분석결과 임도건설에 대한 생산유발계수는 2.767로 분석되었고 임업임산물에 대한 생산유발계수는 1.565로 분석되었다. 이는 임도를 건설하면 임도건설에 따라 그 투자수요의 2.767배 만큼의 생산이 전체 산업에서 유발됨을 나타내고 임업임산물 생산 증대에 따라 전체 산업에서 임업임산물 생산액의 1.562배 만큼의 생산이 유발되는 것을 의미한다. 임도건설에 대한 부가가치유발계수는 0.977로 분석되었고 임업임산물에 대한 부가가치유발계수는 0.985로 분석되었다. 임도시설은 임업발전의 필수적인 기반시설로서 산림경영, 산림휴양, 산림스포츠, 마을연결 등의 기능과 함께 목재생산과 단기임산물 생산의 필수적인 요소이므로 지속적인 투자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