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ves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D expenditure and economic growth

연구개발투자와 경제성장의 상호관계 실증분석

  • 최현이 (성균관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KDI 국제개발협력센터) ;
  • 조근태 (성균관대학교 시스템경영공학과/기술경영전문대학원)
  • Received : 2022.12.15
  • Accepted : 2023.04.11
  • Published : 2023.05.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duct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short- and long-term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ublic R&D investment, corporate R&D investment, and university R&D investment on economic growth in Korea. To this end, based on the time series data from 1976 to 2020, a causality test was conducted through the unit root test, cointegration test, and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VECM).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long-run equilibrium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growth in Korea, public R&D investment, corporate R&D investment, and university R&D investment, in which a causal relationship exists in the long run. Also, while public R&D investment has a short-term effect on economic growth, corporate and university R&D investment does not have a short-term effect on economic growth. In addition, the results shows that there is a bidirection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growth and public R&D investment, corporate R&D investment and public R&D investment, and university R&D investment and public R&D investment in the short term. Through this research, it was empirically found that a highly mutual relationship exists between public R&D investment, corporate R&D investment, university R&D investment and economic growth. In order to increase the ripple effect of R&D investment on economic growth in the future, R&D investment between universities and corporations should be mutually promoted, and R&D investment by corporations sh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public R&D investment so that public R&D investment can contribute to future economic growth.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경제성장과 연구수행 주체별 공공 연구개발투자, 기업연구개발투자, 대학 연구개발 투자 간의 장·단기 인과관계를 실증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1976년부터 2020년 동안의 시계열 자료를 바탕으로 단위근 검정, 공적분 검정, 백터오차수정모형(VECM)을 통한 인과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 경제성장과 공공 연구개발투자, 기업 연구개발투자, 대학 연구개발투자 간에는 장기적으로 인과관계가 존재하는 장기균형관계가 있다는 것을 도출하였다. 그러나, 공공 연구개발투자가 경제성장에 단기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데에 비해 기업 및 대학 연구개발투자는 경제성장에 단기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경제성장 및 공공 연구개발투자, 기업 연구개발투자와 공공연구개발투자, 대학 연구개발투자와 공공 연구개발투자 간에 단기적으로 양방향의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단기적으로 공공 연구개발에 인과관계가 있는 것은 GDP 경제성장이며, 대학의 연구개발에 단기적으로 인과관계가 있는 것은 공공 및 기업의 연구개발투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서 공공 연구개발투자, 기업 연구개발투자, 대학 연구개발 투자와 경제성장 간에는 높은 상호 유기적인 관계가 존재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도출하였다. 향후 연구개발투자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대학과 기업의 연구개발투자가 상호 촉진되고, 기업의 연구개발투자가 공공 연구개발투자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 공공 연구개발투자가 향후 경제성장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곽기호.박주형.오승훈.이운규 (2017). "과학기술계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개발 성과의 경제적 파급효과 추정에 관한 연구".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pp. 409-422.
  2. 김대용.류성현 (2020). "패널 오차수정모형(ECM)을 이용한 특허와 연구개발이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과학기술정책」, 제3권 제1호, pp. 57-85.
  3. 민철구.박성욱 (2013).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기술혁신연구」, 제21권 제3호 pp. 121-140.
  4. 박진석 (2020). "우리나라 경제성장과 기술진보의 관계에 관한 연구", 「기업과 혁신연구」, 제43권 제3호, pp. 55-67.
  5. 박철민.구본철 (2016). "R&D 투자와 기술무역 간의 인과관계 분석", 「기술혁신연구」, 제24권 제2호, pp. 91-113.
  6. 송성수 (2002). "한국 과학기술정책의 특성에 관한 시론적 고찰", 「과학기술학연구」, 제2권 제1호, pp. 63-83.
  7. 설명환.최종인 (2018). "트리플 힐릭스와 대학 창업보육의 발전방안". 「벤처창업연구」 , 제13권 제3호, pp. 99-112. https://doi.org/10.16972/APJBVE.13.3.201806.99
  8. 성지은 (2012). "탈추격 혁신을 위한 출연(연)의 구조적 한계와 과제: ETRI를 중심으로". 「기술혁신연구」, 제20권 제2호, pp. 1-28.
  9. 신태영 (2004). "연구개발투자의 경제성장에 대한 기여도", 「정책자료」, pp. 1-27.
  10. 오세홍.임수진.손소영 (2002). "국내 연구개발투자와 경제성장간의 인과관계", 「기술혁신연구」, 제10권 제1호, pp. 65-82.
  11. 유병규 (2004). "R&D 투자와 경제 성과", 「과학기술정책」, 제146호, pp. 1-20.
  12. 유승훈 (2003). "정부 R&D 투자와 기업 R&D 투자의 인과관계 분석", 「기술혁신연구」, 제11권 제2호, pp. 175-193.
  13. 이계우.박지훈 (2007). "한국의 공적개발원조 20년의 평가", 「Journal of Economic Policy」, 제 29권 제2호, pp. 1-34.
  14. 이근 (2013). "한국의 국가혁신체제: 추격형에서 선진국형으로의 전환을 위한 정책 시사", 「경제논집」, 제52권 제2호, pp. 183-186.
  15. 이명환(2013). "주거용 지가와 아파트가격 간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서울도시연구」, 제14권 제2호, pp. 51-65. https://doi.org/10.23129/SEOULS.14.2.201306.51
  16. 이민형.안두현.정미애.이혜진.고영주.변영지. (2012). "연구성과 제고를 위한 정부출연연구기관 역할 및 운영체계 효율화 방안". 「정책연구」, pp. 1-221.
  17. 이병헌.송민근.김남수.임재성.한재희.김선영.송위진 (2017). "한국 기술혁신연구의 현황과 과제", 「정책연구」, pp. 1-364.
  18. 이상민.조근태 (2017). "기술이전 이후 연구자의 사업화 지원이 사업화 성공에 미치는 영향: ETRI의 사례". 「기술혁신연구」, 제25권 제2호, pp. 35-57.
  19. 임의주.김창완.조근태 (2013). "대학 산학협력단의 기술사업화 인적구성과 산학협력 성과", 「기술혁신연구」, 제21권 제2호, pp. 115-136.
  20. 정수관. (2018). "구조변화를 고려한 국제원유시장의 통합 연구". 「에너지경제연구」, 제17권 제1호, pp. 153-177. https://doi.org/10.22794/KEER.2018.17.1.006
  21. 조상섭.강신원 (2013). "연구개발의 인과관계에 대한 실증분석: 시계열영역접근과 주기영역접근비교", 「국제지역연구」, 제17권 제3호, pp. 99-117.
  22. 하정훈.이동욱 (2009). "우리나라 연구개발투자와 경제성장의 관계분석", 「KISTEP R&D FOCUS」, 제13권, pp. 1-34.
  23. 하준경 (2005). "연구개발의 경제성장 효과 분석", 「경제분석」, 제11권 제2호, pp. 73-107.
  24. 한웅용.전용일 (2016). "공적분 관계를 고려한 연구개발과 경제성장의 상호관계 연구", 「국제지역연구」, 제20권 제1호, pp. 147-165.
  25. 홍미영 (2014). "외국인 투자자본의 국내 서비스산업에 대한 영향 그랜저 인과관계검정을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제38권 제5호, pp. 101-120.
  26. 홍성주.전찬미.김종립 (2013). "한국 경제발전 초기 과학기술 도입과 내재화 방안", 「Knowledge Sharing Program: 경제발전경험 모듈화 사업」 .
  27. 홍성훈 (2009). "지역 연구개발투자가 지식 창출 및 확산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경제연구」, 제14권, pp. 3-16.
  28. Chung, S. (2002), "Catching up through international linkages: science, technology and the Korean experience", Science and Public Policy, Vol. 29, No. 6, pp. 431-437. https://doi.org/10.3152/147154302781780750
  29. Cohen, W. M., Nelson, R. R., and Walsh, J. P. (2002), "Links and impacts: the influence of public research on industrial R&D", Management science, Vol. 48, No. 1, pp. 1-23. https://doi.org/10.1287/mnsc.48.1.1.14273
  30. Engle, Robert F., and Clive WJ Granger (1987), "Co-integration and error correction: representation, estimation, and testing", Econometrica: journal of the Econometric Society, pp. 251-276.
  31. Granger, C. W. (1969). "Investigating causal relations by econometric models and cross-spectral methods", Econometrica, Vol. 37, No. 3, pp. 424-438. https://doi.org/10.2307/1912791
  32. Jaffe, Adam B (1989), "Real effects of academic research",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pp. 957-970.
  33. Johansen, Soren (1988), "Statistical analysis of cointegration vectors", Journal of economic dynamics and control, Vol. 12, No. 2-3, pp. 231-254. https://doi.org/10.1016/0165-1889(88)90041-3
  34. Jones, Charles I (1995), "R & D-based models of economic growth",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 103, No. 4, pp. 759-784. https://doi.org/10.1086/262002
  35. Kim, Jin Woong (2011), "The economic growth effect of R&D activity in Korea." Korea and the World Economy, Vol. 12, No. 1, pp. 25-44.
  36. Mazzoleni, R. and Nelson, R. R (2007), "Public Research Institutions and Economic Catch-up", Research Policy, Vol. 37, No. 10, pp. 1512-1528. https://doi.org/10.1016/j.respol.2007.06.007
  37. OECD (2022), "Main science and technology indicators", OECD Science, Technology and R&D Statistics.
  38. Phillips, Peter CB, and Pierre Perron (1988), "Testing for a unit root in time series regression", Biometrika, Vol. 75, No. 2, pp. 335-346. https://doi.org/10.1093/biomet/75.2.335
  39. Romer, Paul M (1990), "Endogenous technological change",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 98 No. 5, Part 2, pp. 71-102. https://doi.org/10.1086/261725
  40. Shin, Taeyoung, Sungjoo Hong, and Juyoun Kang (2012), "Korea's strategy for development of STI capacity A historical perspective", Policy Reference, Vol. 12, No. 1, pp. 7-44.
  41. Stock, James H., and Mark W. Watson (1989). "Interpreting the evidence on money-income causality", Journal of Econometrics, Vol. 40, No. 1, pp. 161-181. https://doi.org/10.1016/0304-4076(89)900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