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conomic Ripple Effect Analysis of National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 : Focusing An Input-Output Analysis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 산업연관분석을 중심으로

  • 박성욱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정책연구실)
  • Received : 2018.08.16
  • Accepted : 2018.08.29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The wav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as spreaded in Moon Jae-in Government. The efficiency of the R&D budget of government began to pay attention, the role of the National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 (NTIS) which provides all national R&D information in real time World's first R&D information portal has been emphasized. NTIS provides information on national R&D projects with their participating researchers, outcomes, and facilities & equipment through of information from each ministry and institution. NTIS supports to build science and technology policies, to enable transparent and efficient management of national R&D projects and to promote joint utilization of the R&D data among researchers and industrial utilization of the R&D data. NTIS provides since 2005. In this paper, I have analyzed the economic ripple effect of NTIS using the Input-Output model technique based on the input-output tables published by the Bank of Korea. When I set the NTIS R&D budget (about 120M$ for the last 13 years) as input coefficients, the effect on production inducement, value added inducement and employment inducement was analyzed by 211M$, 100M$ and 1,882 respectively.

문재인정부 들어 제4차 산업혁명의 키워드가 부각되며서 정부의 국가 연구개발예산에 대한 효율성이 주목받기 시작하여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는 그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는 성과, 과제, 연구시설장비, 인력, 사업 등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정보를 세계 최초로 한곳에서 서비스하는 국가 R&D 정보 지식포털이다.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는 지난 2005년부터 주관기관으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이 선정되면서부터 서비스를 시작하게 되어 10년 이상 서비스를 지속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지난 13년동안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한국은행의 투입 산출표인 산업연관표에 의거하여 산업연관분석을 실시하여, 이론적 차원에서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취업자유발효과와 전방 후방 연쇄효과를 분석한다.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에 대한 정부의 R&D예산(1,214억원, 2006~2018년)을 투입계수로 설정했을 때,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한 생산유발효과는 2,113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는 1,008억원, 취업자유발효과는 10억원당 1,822명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8), 보도자료 "NTIS 국제 ICT 어워드 공공부문 최우수상 수상".
  2.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 (2018),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 http://ntis.go.kr.
  3. 김명일.박성욱.김재성 (2016), "슈퍼컴퓨팅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의 산업연관분석 기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11): 340-347. https://doi.org/10.5762/KAIS.2016.17.11.340
  4. (주)기술과가치 컨소시엄 (2015),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구축사업 개방.협력을 위한 NTIS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 대전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5. 김도환 (2007), 산업연관분석에 의한 정보통신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한국경영과학회지, 32(3): 81-96.
  6. 민서현.진세준.임태훈.하진희.유승훈 (2017), "데이터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한국혁신학회지, 12(1): 25-50.
  7. 박성욱 (2008), 국가 지식정보시스템 개발의 경제적 효과분석-한국과학기술정보원(KISTI)의 연구활동을 중심으로, 정보관리연구, 39(1): 73-94.
  8. 박성욱.한선화.성원경 (2010), 시맨틱 기술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정보관리연구, 41(3): 175-190. https://doi.org/10.1633/JIM.2010.41.3.175
  9. 박성욱.한선화 (2011), "국가 과학데이터센터 구축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정보관리연구, 42(3): 55-69. https://doi.org/10.1633/JIM.2011.42.3.055
  10. 신용재.최성욱 (2013), 부가통신서비스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디지털정책연구, 11(12): 1-10.
  11. 한웅용.김주일 (2018), "2018년도 정부연구개발예산 현황분석", 서울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조사자료 2018-005.
  12.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15), "NTIS 백서", 대전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13.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06-2018), 업무보고 자료 각년도.
  14. 한국은행 (2018),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http://ecos.bok.or.kr.
  15. Ciaschini, M. (1988), Input-Output Analysis, London, Chapman and Hall.
  16. Schwab, K. (2016),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orld Economic Forum.
  17. Miller, R. E. and Blair, P. D. (2009), Input-Output Aanlysis: Foundations and Extensions, 2nd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18. Wikipedia (2018),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ttps://en.wikipedia.org/wiki/Fourth_Industrial_Revolution.
  19. World Economic Forum (2016),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at It Means, How to Respond, 14 Jan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