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bp1

검색결과 280건 처리시간 0.028초

Variable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of Brazilian Women with External Breast Prostheses after Mastectomy

  • Borghesan, Deise Helena Pelloso;Gravena, Angela Andreia Franca;Lopes, Tiara Cristina Romeiro;Brischiliari, Sheila Cristina Rocha;Demitto, Marcela de Oliveira;Agnolo, Catia Millene Dell;Carvalho, Maria Dalva de Barros;Pelloso, Sandra Maris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2호
    • /
    • pp.9631-9634
    • /
    • 2014
  • Background: : In 2012, the breast cancer estimate worldwide stood at 1.67 million new cases, these accounting for 25% of all types of cancer diagnosed in women. For 2014, 57,120 new cases are expected, with a risk estimated at 56.1 cases for every 100,000 wome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atisfaction regarding the use of external breast prostheses by women undergoing mastectomy. Materials and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with 76 women who used an external breast prosthesis (EBP), registered in the services of the Cuiaba Center for Comprehensive Rehabilitation, Mato Grosso, Brazil, from 2009 to 2012.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records of women who had requested the opening of a process of external breast prosthesis concession. Results: Satisfaction with the EBP was identified in 56.6% of the women. Those satisfied with the EBP reported that its weight was not annoying (p<0.01). Although the women felt body sensations of stitches, pains, pulling, dormancy and phantom limb, they are satisfied with the EBP. The variable related to the displacement of the breast prosthesis during activity of everyday life has demonstrated that even though the women have reported the possibility of displacements, they are satisfied with the EBP. The satisfaction with the use of external breast prosthesis did not affect the sexuality of the women with mastectomy. Conclusions: Learning the specificities of the EBP,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satisfaction of its use, allows the rehabilitation team, by listening to their clientele more attentively, following up this woman throughout her life journey, supporting and guiding the best way of use, with an eye to her personal, emotional and social life, as well as to her self-esteem.

패턴인식의 MLP 고속학습 알고리즘 (A Fast-Loaming Algorithm for MLP in Pattern Recognition)

  • 이태승;최호진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8권3호
    • /
    • pp.344-355
    • /
    • 2002
  • MLP(multilayer perceptron)는 다른 패턴인식 방법에 비해 여러 가지 훌륭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패턴인식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MLP의 학습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EBP(error backpropagation) 알고리즘은 학습시간이 비교적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패턴인식에 사용되는 학습 데이타는 풍부한 중복특성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패턴마다 MLP의 내부변수를 갱신하는 온라인 계열의 학습방식이 속도의 향상에 상당한 효과가 있다. 일반적인 온라인 EBP 알고리즘에서는 내부변수 갱신시 고정된 학습률을 적용한다. 고정 학습률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패턴인식 웅용에서 상당한 속도개선을 얻을 수 있지만, 학습률이 고정되고 학습이 진행됨에 따라 학습패턴 영역이 달라지는 학습과정의 각 단계에 효과적으로 대웅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에 대해 본 논문에서는 학습과정을 세 단계로 정의하고, 각 단계별로 필요한 패턴만을 학습에 반영하는 패턴별 가변학습속도 및 학습생략(ILVRS) 방법을 제안한다. ILVRS의 기본개념은 다음과 같다. 학습단계마다 학습에 필요한 패턴의 부분이 달라지므로 이를 구별 하여 학습에 적용할 수 있도록 (1)패턴마다 발생하는 오류치를 적절한 범위 이내로 제한하여 가변 학습률로 사용하고, (2)학습이 진행됨에 따라 불필요한 부분의 패턴을 학습에서 생략한다. 제안한 ILVRS의 성능을 입증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패턴인식 응용의 한 갈래인 화자증명을 실험하고 그 결과를 제시한다.

사상자 에탄올 추출물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the Ethanol Extract of Torilis Japonica Decandolle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in 3T3-L1 Cells)

  • 남건희;위지향;김상용;백지영;김영민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9호
    • /
    • pp.1016-1022
    • /
    • 2019
  • 고령화 사회에서 비만을 예방하는 것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추세에 따라, 남성과 여성 모두 비만 관리에 상당한 비용과 노력을 지불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항비만 효과를 증명하기 위해서는 3T3-L1 지방전구세포를 이용한 연구가 필수적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항비만 효과를 지닌 천연물에 조사하였다. 70% 에탄올을 이용한 사상자(Torilis Japonica Decandolle) 추출물이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성숙한 지방세포로의 분화에 미치는 효과를 Oil red O assay, western blot을 통해 확인하였다. 대조군에 비해 사상자 추출물의 $100{\mu}g/ml$ 농도에서 지방세포 분화와 세포 내 triglyceride (TG) 수준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TG 함량 감소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해, peroxisome-proliferatorsactivated-receptor-${\gamma}$ ($PPAR{\gamma}$) 및 CCAAT enhancer-binding-proteins-${\alpha}$ ($C/EBP{\alpha}$), acetyl-CoA carboxylase (ACC)의 인산화 등 항비만 관련 단백질의 표현 수준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사상자 추출물은 $PPAR{\gamma}$, $C/EBP{\alpha}$, ACC 인산화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현저하게 감소시켰다. 종합하자면, 사상자 추출물이 비만 예방에 가장 효과적인 후보임을 명백하게 보여준다. 더 나아가서, 천연물인 사상자의 항비만 효과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활성 화합물을 탐색 및 분리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조릿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지방세포에서 분화전사인자 조절을 통한 지방형성 저해 효능 (Inhibitory Effects of Sasa borealis on Mechanisms of Adipogenesis)

  • 박희숙;김건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837-843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3T3-L1 지방전구세포를 이용하여 조릿대조추출물(SBE)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SBEA)의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 축적 저해 활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먼저 SBE의한 지방세포 분화 저해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추출물을 3T3-L1 지방전구세포에 분화를 유도하면서 농도별(10, 50, 100 ${\mu}g/mL$)로 처리하였고, 그 결과 SBE가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시켜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 축적을 저해시켰다. 또한 SBE를 용매 극성에 따른 분획한 분획물들의 항분화 효능을 확인하였다. 그중 항분화 효능이 가장 뛰어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로 지방세포 분화에 따른 세포 내 중성지방축적이 억제 되었다. 그러나, 지방세포 분해를 통한 glycerol release의 증가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항분화 효능의 기전을 연구하기 위해 PPAR${\gamma}$, C/EBP${\alpha}$ 등 전사활성과 지방세포 분화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활성을 확인해 보았다. 실험 결과 SBEA는 PPAR${\gamma}$와 C/EBP${\alpha}$의 mRNA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따라서 SBEA 항비만 효과는 지방 생성의 주요 전사인자인 PPAR${\gamma}$와 C/EBP${\alpha}$의 유전자 발현조절을 통해 지방 분화 억제 및 지방 축적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이며, 효과가 있는 농도가 100 ${\mu}g/mL$로 천연물질로써 비교적 낮은 농도에서 우수한 지방 분화억제 활성을 나타내어 경제적이며 효과적인 항비만 기능성식품으로서 개발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상심자와 건조상심자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전지방세포 분화억제 효과에 관한 연구 (Study of Mori Fructus and Dried Mori Fructus Extracts on the Antioxidant Effect and the Inhibitory Effect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 김형구;왕경화;임동우;채희성;진영원;최한석;김호준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13
    • /
    • 2014
  •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capacity, antiobesity effect and anti-diabetes effects of Mori Fructus and dried Mori Fructus in Raw 264.7 cells and 3T3-L1 cells. Methods 3 different types of Mori Fructus extracts (water 100%, ethanol 30%, ethanol 100%) were used in this study. And 3 different types of dried Mori Fructus extracts (water 100%, ethanol 30%, ethanol 100%) were used in this study. Total polyphenol compund, total favonoid compound, DPPH radical scavenging, ROS activity, NO, cell proliferation were measured in the experiment. Expressions of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including $C/EBP-{\alpha}$, $C/EBP-{\beta}$, $PPAR-{\alpha}$, $PPAR-{\gamma}$, $AMPK-{\alpha}$ were analyzed by Real time PCR. Results Mori Fructus extracts measurements are higher than dried Mori Fructus extracts measurements at Total flavonoid compound and total flavonoid compound. Mori Fructus extracts measurements are lower than dried Mori Fructus extracts measurements at DPPH radical scavenging, ROS activity, NO. In RT-PCR analysis, there is a tendency that dried Mori Fructus extracts inhibit the expression of $C/EBP-{\alpha}$, $C/EBP-{\beta}$ genes. In RT-PCR analysis, there is a tendency that dried Mori Fructus extracts promote the expression of $PPAR-{\alpha}$, $PPAR-{\gamma}$, $AMPK-{\alpha}$ genes. Conclusions Mori Fructus is effective on inhibiting the oxidation and dried Mori Fructus is effective on inhibiting the obesity and diabetes.

포도씨 탈지박 추출물 처리가 3T3-L1 Preadipocyte 내 지방 생성에 미치는 영향 (Defatted Grape Seed Extracts Suppress Adipogenesis in 3T3-L1 Preadipocytes)

  • 최용민;이선미;김영화;전건욱;성지혜;정헌상;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927-93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농산 가공 폐기물로 버려지고 있는 포도씨 탈지박 methanol 추출물의 항비만 활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DGSE에 의한 TG 생성 저해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시료를 3T3-L1 preadipocyte에 농도별(0, 25, 50, 100, 200 ${\mu}g/mL$)로 처리하면서 분화를 유도하였다. 실험 결과 DGSE는 지방세포내의 TG 생성과 GPDH 활성 및 주요 전사 인자인 PPAR$\gamma$ 및 C/EBP $\alpha$$\beta$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GSE는 100 ${\mu}g/mL$의 비교적 낮은 농도에서도 우수한 지방 분화억제 활성을 나타내어 경제적이며 효과적인 항비만 기능성식품으로서의 활용가치가 기대된다.

A Modified Error Function to Improve the Error Back-Propagation Algorithm for Multi-Layer Perceptrons

  • Oh, Sang-Hoon;Lee, Young-Jik
    • ETRI Journal
    • /
    • 제17권1호
    • /
    • pp.11-22
    • /
    • 1995
  • This paper proposes a modified error function to improve the error back-propagation (EBP) algorithm for multi-Layer perceptrons (MLPs) which suffers from slow learning speed. It can also suppress over-specialization for training patterns that occurs in an algorithm based on a cross-entropy cost function which markedly reduces learning time. In the similar way as the cross-entropy function, our new function accelerates the learning speed of the EBP algorithm by allowing the output node of the MLP to generate a strong error signal when the output node is far from the desired value. Moreover, it prevents the overspecialization of learning for training patterns by letting the output node, whose value is close to the desired value, generate a weak error signal. In a simulation study to classify handwritten digits in the CEDAR [1] database, the proposed method attained 100% correct classification for the training patterns after only 50 sweeps of learning, while the original EBP attained only 98.8% after 500 sweeps. Also, our method shows mean-squared error of 0.627 for the test patterns, which is superior to the error 0.667 in the cross-entropy method.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our new method excels others in learning speed as well as in generalization.

  • PDF

바위수염 메탄올 추출물이 3T3-L1 지방전구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yelophycus Simplex Papenfuss Methanol Extract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Adipogenesis in 3T3-L1 Preadipocytes)

  • 김향숙;권다혜;천지민;최은옥;김지현;한민호;최영현;김병우;황혜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62-67
    • /
    • 2015
  • 본 연구는 바위수염 메탄올 추출물이 3T3-L1 지방세포의 분화 및 지방생성의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바위수염 메탄올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3T3-L1 세포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MTT assay로 분석한 결과 $100{\sim}500{\mu}g/ml$l의 농도에서는 80% 이상의 비슷한 수준의 세포생존율을 보였다. 바위수염 메탄올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고 분화를 유도하였을 경우에 세포질 내 지방구의 형성이 활발하게 유발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바위수염 메탄올 추출물에 의한 지방구의 형성이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바위수염 메탄올 추출물을 100, 300, $500{\mu}g/ml$ 처리한 후의 중성지방의 양은 바위수염 메탄올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았을 때보다 35%, 42%, 76%로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Insulin, dexamethasone 및 IBMX를 처리하여 분화를 유발하였을 경우 $PPAR{\gamma}$, $C/EBP{\alpha}$$C/EBP{\beta}$의 발현이 현저하게 증가되었으며, 이러한 분화유도 과정에서 바위수염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100{\mu}g/ml$의 농도보다 $500{\mu}g/ml$의 처리군에서 $PPAR{\gamma}$, $C/EBP{\alpha}$$C/EBP{\beta}$의 발현이 단백질 수준에서 감소하였다. 본 연구결과 바위수염 메탄올 추출물은 lipid droplet 및 TG 생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항비만 식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Anti-Obesity Effect of Garlic-added Kochujang in 3T3-L1 Adipocytes

  • Kong, Chang-Suk;Park, Kun-Yo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3권2호
    • /
    • pp.66-70
    • /
    • 2008
  • In order to develop a functionally improved kochujang with antiobesity effects, garlic-added kochujang was prepared with freeze-dried garlic powder and followed by fermentation for 60 days at $30^{\circ}C$. Antiobesity effect of the garlic-added kochujang was investigated by measuring the leptin secretions and mRNA expression levels of obesity-related gene such as TNF${\alpha}$, PPAR${\gamma}$, C/EBP${\alpha}$, and SREBP1c, in cultured 3T3-L1 adipocytes. Fermentation of garlic-added kochujang led to decreased levels of leptin secretions and reduced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TNF${\alpha}$, PPAR${\gamma}$, C/EBP${\alpha}$, and SREBP1c in the 3T3-L1 adipocytes. According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ddition of garlic to kochujang has a potential as a valuable functional food for controlling obesity.

항비만소재의 lipoprotein lipase 억제 작용 연구 (Study of Lipoprotein Lipase Inhibitory Activity of Anti-obesity Herb Extracts)

  • 이성미;강윤환;김경곤;김태우;최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246-253
    • /
    • 2015
  • 본 연구에는 항비만소재로 연구되어진 11종의 소재를 대상으로 lipoprotein lipase (LPL)의 억제효능을 확인하고자 배양배지내 LPL의 함량과 LPL 효소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3T3-L1 adipocyte에서 LPL의 분비를 억제하는 소재로 능이추출물(NE)을 선택할 수 있었다. 선택된 NE의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16.61{\pm}0.44mg/g$$6.58{\pm}0.01mg/g$이 각각 확인되었다. NE의 LPL 분비억제기작을 확인하기위해 먼저 세포내 LPL단백질의 함량과 mRNA 발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함량이 감소했던 배양배지와는 다르게 NE를 처리한 3T3-L1 adipocyte의 세포내 LPL은 유의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mRNA의 발현에는 영향이 없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생성된 LPL 단백질의 exocytosis에 문제가 발생했을 것으로 유추하고 다양한 단백질 이동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LPL의 이동과 분해에 관여하여 세포내 LPL의 활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진 SorLA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고 이를 조절하는 transcription factor의 발현과 nuclear로의 이동에 NE가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NE를 처리함으로써 SorLA promoter에 작용하는 $C/EBP{\beta}$의 단백질 발현이 nuclear에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NE가 SorLA 유전자의 transcription factor인 $C/EBP{\beta}$의 단백질 발현을 nuclear에서 증가시킴으로서 결과적으로 LPL의 분비억제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NE의 항비만 효과기전을 설명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