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3초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뮤지컬 관람 실태와 활성화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strengthening of Watching the Children's Musical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 오선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4441-4449
    • /
    • 2015
  •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뮤지컬 관람에 대한 현장의 실태를 알아보고, 문제점 및 활성화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의 뮤지컬 관람이 어떻게 실시되어지고 있는가 둘째, 유아교육기관의 뮤지컬 관람과 연계한 교육활동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셋째, 뮤지컬의 관람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은 어떠한가 이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유치원 어린이집 교사 159명을 대상으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 대부분의 유아들은 뮤지컬 관람을 매우 흥미로워하며 새롭고 다양한 경험의 제공과 새로운 문화를 접할 수 있다고 하였다. 둘째, 뮤지컬 관람 시 사전교육 활동으로는 홍보지, 미디어 홍보영상 등을 활용한다고 답하였으며, 사후활동으로는 뮤지컬관람의 내용과 관련하여 그리기미술활동, 이야기 꾸미기활동, 동극활동으로 전개했을 때 교육적으로 효과적 이였다고 하였다. 셋째, 뮤지컬관람을 실시할 때 문제점으로는 단체유아들의 이동에 있어 통제의 어려움이 많다고 답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뮤지컬관람의 교육적 효과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다양한 교육접근 방법의 뮤지컬관람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의 확대를 제안하였다.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영재 대상 차별화 교육 실태 및 지원요구 (The Realities of the Differentiated Education for the Gifted Child and Support Need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 이현지;태진미
    • 영재교육연구
    • /
    • 제26권3호
    • /
    • pp.473-49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영재 대상 차별화 교육 실태와 지원 요구를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는 서울과 경기, 인천 지역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및 기타(영어유치원 및 놀이학교)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교사 및 원장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최종 수집된 설문지는 총 309부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치원, 어린이집, 기타기관 등의 유아교육기관에는 유아영재 대상의 차별화 교육을 위한 인프라가 충분히 구축되어 있지 않았다. 특히 유아영재를 위한 '차별화 교육 경험'이 세 기관 모두 보통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영재 대상 차별화 교육에 대한 교사의 요구도는 세 기관 모두 필요수준에 비해 현재 수준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규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영재 대상으로 교육적 요구와 발달특성에 부합하는 차별화 교육 방향 모색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교수내용지식, 교수효능감과 교사의 태도 간의 구조분석 (The Structural Model Analysi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s Attitude for Childhood Music Education)

  • 김지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270-278
    • /
    • 2018
  • 본 연구는 유아 교사의 음악교육을 위한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음악교수효능감, 음악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 사이에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 하고자 하였으며, 검증을 위해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유아 교사 132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SPSS와 AMOS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연구모형에 대한 적합도는 적절하였으며, 유아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음악교수효능감, 음악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 변수 사이의 인과관계를 명확하게 확인하였다. 첫째, 유아 교사의 음악 교수내용지식은 음악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교사의 음악 교수내용지식은 유아 교사의 음악교육에 대한 교수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 교사의 음악 교수내용지식은 음악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에 음악교수효능감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개 효과는 부분매개 효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음악적 발달을 위한 유아 교사의 전문성 강화에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유아 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 변수가 유아들의 음악교육에서 매우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다.

영유아 학대예방 관련 부모교육 및 가정에서의 자녀교육 실태 (State of Parent Education and of Child Education at Home Related to Infant/Preschooler Abuse Prevention)

  • 성영화;이숙자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25-146
    • /
    • 2018
  • 본 연구는 부모들이 경험한 영유아학대예방과 관련한 부모교육 실태 및 가정에서 실시되고 있는 자녀교육실태에 대해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I시에 거주하고 있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302명의 부모들이며, 연구결과는 부모들이 응답한 설문지의 내용을 빈도분석하거나 카이검증을 실시하여 도출하였다. 먼저, 부모교육 실태를 살펴본 결과 영유아학대예방과 관련하여 교육을 받은 부모들이 12.6%로, 네 가지의 학대 유형 각각에 대해 교육을 받은 부모들이 그렇지 않은 부모들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들은 유아교육과 관련한 기관에서, 아동학대 및 유아교육관련 전문가에 의해 교육을 받았으며, 받은 교육에 대해 만족한다고 응답하였다. 다음으로 자녀교육 실태를 분석한 결과, 가정에서 자녀에게 학대예방교육을 실시한다고 응답한 부모들은 25.2%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적 학대와 학대 시 대처하는 방법에 대해 교육을 실시한다고 응답하였다. 가정에서는 영아기부터 학대예방교육을 시작하고, 일상에서 수시로, 주로 대화를 통해서 교육을 실시한다고 부모들은 응답하였다. 부모들은 학대와 관련한 자료의 부족으로 가정에서 학대예방교육을 실시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하였다. 또한 부모교육의 경험 유무에 따른 가정에서의 자녀의 학대예방교육 실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가정에서 바로 연계하고, 쉽게 활용 가능한 학대예방교육 매뉴얼의 개발과 방임에 대한 교육 및 홍보의 활성화에 대해 제시하였다.

브레인댄스 집단프로그램이 예비보육교사의 자기수용,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 Brain Dance Group Program for Pre Early Childhood Care Teachers' Self Acceptance and Self Control)

  • 고은교;신수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624-639
    • /
    • 2015
  • 본 연구는 브레인댄스 집단프로그램이 예비보육교사의 자기수용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효과 검증을 통해 보육교사의 인간적 자질 함양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한 N대학의 보육교사 자격 이수과정 학생 중 참여를 원하는 20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 10명씩 무선 배정 하였다. 브레인댄스 집단프로그램 실시 전 후 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14.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한 결과, 브레인댄스 집단프로그램의 자기수용과 자기조절력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가 규명되어 브레인댄스가 예비보육교사의 자기수용과 자기조절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유용한 매체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브레인댄스를 활용한 다양한 교육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는 브레인댄스 전문가와 교육 분야 전문가를 양성하는 대학교육기관의 교사인성교육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유보충식 도입 시기에 따른 유아기 우식증 관련성 연구: 2008~2015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Relationship between Complementary Feeding Introduction and Early Childhood Caries: Result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5)

  • 연미영;신혜선;이행신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97-105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infant feeding type and duration are related to the introduction of complementary feeding, and whether the appropriate introduction of complementary feeding in infancy is related to tooth decay in toddlers. Methods: The subjects were 1,521 toddlers among 2~3 year old children i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rom 2008 to 2015. The toddlers were divided into the appropriate group (4~6 months) and delayed group (>6 months) according to the timing of complementary feeding introduction. Results: The delayed group were 26.5% of subjects and the formula feeding period in the appropriate group and delayed group was 8.4 and 10.3 months, respectively (P=0.002).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breastfeeding period between the appropriate group and delayed group (P=0.6955). Early childhood caries was more common in the delayed group (P=0.0065). The delayed introduction of complementary feeding was associated with a risk of early childhood caries according to the logistic models (OR 1.81, 95% CI 1.27-2.57). Conclusions: The introduction of complementary feeding is associated with early childhood caries. Therefore, the importance of the proper introduction of complementary feeding in infancy should be emphasized, and public relations and education for maternal care and breastfeeding should be provided through health care institutions.

다중지능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유아 학부모의 인식, 실태 및 요구 (Awareness of Parents with Preschoolers on Multiple-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s, the State of Multiple-intelligences Education and their Needs)

  • 하순련;서현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331-355
    • /
    • 2013
  • 본 연구는 유아기 다중지능의 발굴과 지원에 있어서 유아 학부모의 중요한 역할을 인식하고 유아 학부모가 바라보는 다중지능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과 실태 및 요구 조사를 통해 유아기 다중지능 교육 프로그램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 소재 6개 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유아의 학부모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 학부모들의 다중지능교육에 대한 전반적 인식 높게 나타났으며, 둘째 유아 학부모들은 자녀의 강점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으로 주로 유아교육기관과 유아용 학습지에 의존하는 경향이 많았다. 셋째 유아 학부모들은 다중지능 교육 시기는 만2세-만7세 이하가 적절하며 유아의 심리와 욕구에 대한 이해가 있는 교사를 선호하였다. 그리고 유아자녀의 다중지능 교육에의 참여와 이와 관련한 부모교육을 희망하였다. 그러나 일부 유아학부모들은 다중지능 교육을 영재교육이나 특수교육의 일환으로 오해하고 있는 부분도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유아 부모의 다중지능 교육에 대한 올바른 이해의 도모와 또한 다중지능 교육을 위한 유아교육기관과 교사 역할의 중요성에 대하여 인지하고 이후 다중지능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관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교육부 중심 0-5세 유아학교 모델(안)의 단계별 정책 방향과 과제: 설립주체와 교사고용의 관점을 중심으로 (Step-by-step Policy Directions and Tasks of the 0-5-year-old Young Children School Model centered the Ministry of Education: Focusing on the Perspective of the Establishment Entity and Teacher Employment)

  • 김대욱;박창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569-580
    • /
    • 2022
  • 현재, 교육부 장관이 교육부 중심으로 유보통합추진하는 것을 공식 발표하였다. 유보통합의 핵심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통합으로, 구체적인 모델(안)을 개발할 필요가 있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유보통합 논의 이후 유아학교를 중심으로 논의가 되어 왔고, 구체적인 사안에서 의견 차이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부 중심으로 유치원과 어린이집이 통합된 이후 유아학교 모델(안)의 단계별 방향을 제안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문제는 교육부 중심 0-5세 유아학교 모델(안)은 어떠한지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보통합이 실현된 이후의 설립유형별 유아교육기관 통합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 첫째, 국가책임 단계별 0-5세 유아학교 모델(안)이 요구된다. 둘째, 다양한 설립유형별 특성을 반영한 세부적인 유아학교 모델(안)이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유아학교 체제시 교원양성체계 개편, 방과후과정 운영 모델, 교육청 및 지자체 통합 방안 등의 구체적인 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Current Status and Parents' Perception on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s for Preschoolers in Korea

  • Lee, Joo Eun;Hong, Jong Won;Kim, Jongyun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5-65
    • /
    • 2020
  •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163 parents in Korea to investigate their interest in plants, experience in growing plants, and perception on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s (HAP) for their children. Most children (80.4%) of the respondents had experience participating in HAPs, and most of their experience occurred during school hours in preschool educational institutions more than once a month (60.3%). The more interest in plants and experience in growing plants the parents had, the more experience the preschoolers had in participating in HAPs, which implies that the experience of the parents with plants affected their children's participation in HAPs. Parents' most preferred location of HAPs was preschool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most preferred time was school hours with a frequency of more than once a week (57.1%), which is more frequent than the current status of HAPs in preschool educational institutions. Parents also responded that the most preferred instructors of HAP has are those with a professional background in horticulture. Among the activities in HAP for preschoolers, parents most preferred cooking (M = 4.05) activity, and they did not dislike any of the activities. They responded that the facilities for HAP needed to be improved to make HAP more active in preschool educational institutions. Overall, based on the current results, developing suitable HAPs and facilities for preschoolers, fostering professional HAP instructors, and educating parents about horticulture would enhance HAPs in preschool educational institutions, thus providing preschoolers with many benefits of HAPs.

교사이미지와 교육실습에 대한 인식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acher's Image and Recognition of Teaching Practice for Student Teacher's Practicum Satisfaction)

  • 이정희;조성연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50권8호
    • /
    • pp.113-123
    • /
    • 2012
  • This research has an objective of investigating the challenges that student teachers encounter during practicum, the difference between teachers' image based on sociodemographic variables,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for practicum, and the effect of teachers' image and practicum experience on the satisfaction for the practicum.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included 500 student teachers who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a 2 or 3-year college or a 4-year university and completed practicum in the Chungcheong area. The instruments for this study were Teacher's Image Scale, Practicum Experience Scale, Practicum Satisfaction Scale and a questionnaire for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highest level of teachers' image was obtained for student teachers enrolled in a 2-year college, completed practicum in large cities and finished practicum at an institution with a size of 3-6 classes. Also, the highest level of 'recognition for practicum' of student teachers was observed when they were instructed by a guidance teacher with a degree from a graduate school and with a first degree certification in public kindergarten. Second, the satisfaction for practicum of student teachers was mostly affected by' the atmosphere of the practice institutions', while personality affected the teachers' image.